• 제목/요약/키워드: Boletu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그물버섯속(屬)의 검색표(檢索表) (Key to the Species of Boletus)

  • 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6-156
    • /
    • 1993
  • 그물버섯속(屬)(Boletus)의 버섯은 대부분이 소나무과(科), 참나무과(科), 자작나무과(科) 수목과 공생하는 것으로서 기주선택성이 강한 것이 있으면서 기주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기도 한다. 또한 맛과 향기가 특이하여 기호식품으로 즐겨 채집되는 것도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런 면에서 전혀 인기가 없으며 그물버섯(B.edulis)는 국내에서는 아직 채집된 바가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물버섯속(屬)에서 26종(種)이 보고되어 있으나 새로운 종(種)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 여기서는 국내외에서 발표된 기존 논문을 참고로 하여 귀신그물버섯과(科)와 그물버섯과(科)에 이르는 검색표(檢索表), 그물버섯과(科)의 속(屬)에 대한 검색표(檢索表) 그리고 국내 분포 종(種)을 포함하는 111종(種)의 그물버섯속(屬)의 종(種)에 대한 검색표(檢索表)를 제시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주름버섯목(目)에 대한 보고(報告) (Notes on Korean Agaricales)

  • 김양섭;차동열;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07-212
    • /
    • 1982
  • 한국(韓國)에 자생(自生)하는 그물버섯속(屬)을 '80, '82년(年)에 채집(採集)한 결과(結果) '80년(年)에 는 Boletus laetissimus Hongo를 강원도(江原道) 오대산(五臺山), '82년(年)에는 B, quercinus Hongo 와 B, pseudocalopus Hongo를 전남(全南) 대흥사(大興寺)에서 각각(各各) 채집(採集)하였으며 이들은 한국(韓國)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판명(判明)되었기에 한국명(韓國名)을 신칭(新稱)하여 이를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상기종(上記種)에 대(對)한 표본(標本)들은 당연구소(當硏究所)에 보관(保管)되어 있다.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 성분(成分) 연구(硏究)(XIII) ${\sim}$구리빛 그물버섯의 스테롤 성분(成分)${\sim}$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XIII) ${\sim}$A Sterol from Boletus aereus Bull.${\sim}$)

  • 김병각;권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4
    • /
    • 1978
  •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sterol components of Boletus aerus Bull. which grows wildly in Korea. Its carpophores were collected in Gyeong-Gi Province and extracted with chloroform and methanol. A sterol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ergosterol by T.L.C., G.L.C. and chemical tests.

  • PDF

암갈색그물버섯(Boletus umbriniporus)에서 분리한 indole alkaloid (An Indole Alkaloid from the Fruiting Body of Boletus umbriniporus)

  • 이윤주;황병순;송자경;김대원;우이음;이인경;윤봉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8-70
    • /
    • 2015
  • 우리나라 자생 버섯에 함유된 화학적 구성성분을 조사하던 중 암갈색그물버섯에서 indole alkaloid 화합물을 분리하고 mas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flazin으로 동정하였다. 비록 Flazin 화합물이 젖비단그물버섯에서 분리되어 보고된 적은 있으나 본 연구에 의하여 암갈색그물버섯에도 flazin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Boletus rubinellus에서 감수분열 및 감수분열후 유사분열 (Meiosis and Postmeiotic Mitosis in Boletus rubinellus)

  • 윤권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4호
    • /
    • pp.225-247
    • /
    • 1987
  • Meiosis and postmeiotic mitosis in Boletus rubinellus were examined ultrastructurally. Meriosis occurred at the apex of the basidium. A sausage-shaped spindle pole body(SPB) was observed along with the presence of synaptonemal complexes during pachytene and a diglobular SPB was present on late pachytene or diplotene nuclei. During metaphase I, the monoglobular SPB at the spindle pole was surrounded bya membrane and the nuclear enveloope was discontinuous. At anaphase I, the chromosomes became better defined and formed a central spindle. The nucleolus was extruded from the nucleus. During anaphase I, the SPB was excluded from the chromosomal region by a membrane and both poles were fully separated to opposite sides of the basidial wall. In meiosis II, the two nuclei divided synchronously and the spindles were parallel. The spindles were smaller than in meiosis I, while the SPB was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similar stage in meiosis I. During anaphasetelophase II, the SPB was surrounded by a cap of endoplasmic reticulum (ER) that delimited it from the spindle. The postmeiotic interphase nuclei migrated to the mid-region of the basidium before migration to the spores. The SPB at this stage was diglobular. A postmeiotic mitosis occurred within the basidiospore, and the plane of the spindle was obique to the long axis of the spore. The spindle and SPB were smaller than at meiosis I and there were fewer nonchromosomal microtubules. At anaphase, the nucleolus was present inside the nuclear envelope but lateral to the spindle.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V) (Taxonomic Investigations on Korean Higher Fungi(IV))

  • 김병각;김두하;최응칠;심미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5
    • /
    • 1976
  • 1976년 7월${\sim}$9월에 경기도(京畿道) 및 서울지방(地方)에서 채집(採集)한 고등(高等) 균류중(菌類中) 다음 9종(種), Amanita griseofarinosa, Pholiota spectabilis, Pholiota vermiflua, Boletus erythroporus, Russula alutacea, Russula chameleontina, Russula xerampelina and Polyporus sulphureus 및 Mycena haematopoda는 한국(韓國) 미기록종(未記綠種)임을 보고(報告)한다.

  • PDF

소나무목(林)과 포플러목(林)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동정(同定) 및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Pine and Poplar Stands)

  • 이경준;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3
    • /
    • 1983
  • 수원근처(水原近處)에 있는 리기테다소나무림(林) 포플러(은사시나무)림(林)의 임상(林床)으로부터 1981년(年) 6월말(月末)부터 11월초(月初)까지 그리고 1982년(年) 7월초(月初)부터 9월말(月末)까지 외생균근(外生菌根)을 형성(形成)하는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그 분포(分布)를 구명(究明)하고 두 임분(林分)의 균종(菌種)의 상이점(相異點)을 비교(比較)하였다. 소나무림(林)에서는 15속(屬) 39종(種)을 구명(究明)하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포플러림(林)에서는 8속(屬) 16종(種)을 분류(分類)하였으며, 이 중 13종(種)은 소나무림(林)에서도 채취(採取)된 동일균종(同一菌腫)이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Boletus는 두 임분(林分)에서 한 균근(菌種)(붉은 그물버섯)만이 확인(確認)되었다. Lactarius는 포플러림(林)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1982년도(年度) 채집중(採集中) 한국말기록종(韓國未記錄種)인 Cantharellus lutescens를 소나무림(林)에서 채취(採取)하여 확인(確認)하였다.

  • PDF

ITS Primers with Enhanced Specificity to Detect the Ectomycorrhizal Fungi in the Roots of Wood Plants

  • Kim, Dong-Hun;Chung, Hung-Chae;Ohga, Shoji;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31권1호
    • /
    • pp.23-31
    • /
    • 2003
  • With universal primer ITS1-F, the specific DHJ2 primer was developed to detect the Ectomycorrhizal(ECM) root tips in soil and to identify the species of ECM fungi, as based on DNA sequences of rDNA stored in GeneBank of NCBI. This primer was designed with the common sites of rDNA of Amanita and Boletus, and was also designed with several DNA programs provided by NCBI. The DNA fragments synthesized by PCR were calculated to be 1,000 to 1,200 bps of DNA located to 18s to 28s rDNA to contain two variable sites of ITS, indicating much diversities for specific species or ecotypes of ECM fungi. The primer DHJ2 reacted with the genomic DNA's extracted from the tissues of basidiocarp at the rate of 73 of 80 fungi collected produced single bands with a 1,100 bps length. The DNA fragment synthesized with the genomic DNA that extracted from eight ECM tips of Pinus densiflora was confirmed and analysized to the rDNAs of ECM in full sequences, and informed to be a ECM fungal species in the forest.

버섯 중 항균물질의 검색 및 개발에 관한 연구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검색 (1보)- (Study on the Screening and Development of Antibiotics in the Mushrooms -The Screening of Bacterial Antibiotics in Basidiomycetes (I)-)

  • 박상신;이갑득;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28-36
    • /
    • 1995
  • 53종의 한국산 야생버섯 중 12종의 버섯으로부터 석유에테르, 80% 에탄올 및 증류수로 추출하여 얻은 14개의 추출물이 6종의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각각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3 종류의 추출용매 중 에탄올 추출물에 대부분의 항균활성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Thylopilus PS-5, Pulveroboletus PS-7 및 Russula PS-9의 추출물들은 다른 종의 버섯에 비교하여 항균활성의 선택성이 다양하였다. Pulveroboletus PS-7과 Boletus PS-8의 에탄올 추출물은 B. subtilis에 대하여 $300\;{\mu}g/ml$, Trichaptium PS-3의 에탄올 추출물은 M. luteus에 대하여 $500\;{\mu}g/ml$를 나타내었으며, 이외의 추출물은 모두 $1000\;{\mu}g/ml$ 이상의 비교적 큰 값의 MIC를 나타냄으로써 향후 좀 더 정제단계를 거쳐 이상의 버섯 중의 항균활성 물질의 구명을 위한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요구된다.

  • PDF

계룡산(鷄龍山) 지역(地域)의 균류상(菌類相)에 관한 연구(硏究)(I) (The Fungal Flora of Mt. Gyeryong National Park(I))

  • 박종성;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9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국립공원(國立公園)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의 자연보존(自然保存) 및 자연학습원조성(自然學習園造成)의 기초확립(基礎確立)을 위(爲)한 사업(事業)의 일환(一環)으로서 동지역(同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균류(野生菌類)의 분포상(分布狀)을 구명(究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1981年 7月부터 10月의 고온다습기(高溫多濕期)에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고등균류(野生高等菌類)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담자균(擔子菌) 19과(科) 53속(屬) 93종(種)과 자양균 5과(科) 7속(屬) 8종(種)이 확인(確認)되었다. 그중(中) 우점종(優點種)은 Laccaria, Marasmius, Amanita, Suillus, Boletus, Russula, Lactarius, Lycoperdon등(等)에 큰 군낙(群落)도 발견(發見)되었다. 본보고(本報告)에는 국내기록종(國內記錄種)만을 수록(收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