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Review Medi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에 관한 연구 (An Analytic81 Study of Children's Book Review Media)

  • 장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13-238
    • /
    • 2004
  •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에 대한 서평을 제공하는 각종 매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러한 매체에 수록된 서평이 선정 도구로 적합한지를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보다 적절한 서평 매체로서의 역할을 증진하기 위해서 기존의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중 추천한 매체만을 대상으로 한 서평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선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서평 매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과 사서의 관점에서 어린이 도서를 평가한 서평 매체의 발행이 요구된다.

심화독서용 서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ok Reviews for Further Readings)

  • 민경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5-59
    • /
    • 2018
  • 서평은 도서의 내용과 서지정보를 제공하여 자료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독자들에게 풍부한 독서의 경험을 지원하여 독자지원서비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어린이 독서분야는 문학 장치를 활용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특수성으로, 한 권의 독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풍부한 비교독서를 통하여 문학적 상상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읽기를 지원하여야 한다. 이에 어린이문학작품 중 "빨간 모자"를 사례로, 독서 심화로의 안내를 위한 서평의 '문헌적 비교' 항목 부문에서 다루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도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기술한다. 둘째, "빨간 모자"의 문학사적 가치와 담론을 제시하여 여타의 작품들과의 차이와 독창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빨간 모자"의 서사 구조가 변용된 여타의 작품군(群)에 관한 서지정보를 제공한다. 넷째, 서사적 구조뿐 아니라 물리적 형태의 변용된 작품이 있을 경우 함께 소개하여 선택과 독서로의 접근의 폭을 넓힌다.

통계학책 번역서 네 권에 대한 비평 (A Review of Four Translated Statistics Books)

  • 조재근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3호
    • /
    • pp.573-594
    • /
    • 2004
  • 최근 국내에서 통계학 전공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읽을 수 있는 통계학 책이 많이 출판되는 현상은 대단히 반가운 일이다. 그 책들 가운데에는 국내 저자가 쓴 것보다는 번역서가 더 많은데, 번역도서의 양적인 팽창은 한편으로 그 책들이 번역되어야할 이유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비롯해서 번역의 질적인 면을 검토할 필요성도 제기한다. 이 글에서는 지난 2003년에 나온 번역서 네 권을 대상으로 그 책들에 담긴 색인과 참고문헌, 통계학 이론과 통계학 용어, 그리고 통계학의 역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그 책들을 소개하는 일간신문의 신간소개나 서평 기사들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의 진단은 번역서들에서 보게 되는 많은 문제점들이 통계학과 거리가 먼 번역자들이 그 책을 옮겼기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내의 통계학 전문가들이 일반 대중을 위한 통계학 책의 필요성, 번역 작업이 갖는 의미, 번역할 책의 선택에 대해 좀더 활발하게 토론하고 무엇보다 직접 번역 작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겠고, 나아가 일반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된 훌륭한 통계학 책을 쓰는 작업에도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겠다.

다양한 퍼지 환경을 갖는 지능형 교수 시스템의 학습 성취도 평가 모듈 설계 (Design of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Module of Intelligent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with Various Fuzzy Environment)

  • 원성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권
    • /
    • pp.311-334
    • /
    • 1998
  • By decreasing in CPU price and development of computer assembling technology, personal computer fake a good chance to accelerate its supply. Recently, as being introduced new computing technology so called multi media, teaming assist system which is based on single media such as studying book, cassette tape, video tape, or something else is rapidly being replaced by new assist education system based on multi media in which it is operated by the personal computer. In the computer assist education system, there is an evaluation module which appraise learner's study level into the next study strategy. At the view of this point, this part is very important. In this part, there are some factors like Importance, complexity, or difficulty which commonly include fuzzy factors in our surrounding. But until now, we are still out of the level to handle the evaluation module adequately among the some studie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a new module that evaluate learning achievement of ICAI which have a variety of fuzzy environment. We combine Independent fuzzy environment like importance, complexity, difficulty into making total evaluation of learner's achievement. By the result, with expressing by linguistic form, this study can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in which we will be able to carry out sentence toward evalu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 PDF

체험경제이론(4Es)에 따른 지역 체험전시관의 경쟁력 강화방안 : 전북 삼례문화예술촌 체험전시관을 중심으로 (Strategie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of Local Experience Space: A Study of the 4Es in the Experience Space of Sam-Rae Arts Village in Wanju-gun, Jeollabukdo)

  • 하지영;이승현;김덕현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61-184
    • /
    • 2014
  • 최근 역사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근대건축문화유산을 활용한 체험전시관들이 부상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 체험전시관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북 완주군 삼례문화예술촌의 체험전시관을 대상으로 체험경제이론의 체험요소(4Es)에 따라 전시관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공무원, 체험관담당자, 전문가 세그룹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쥬얼미디어아트미술관은 엔터테인먼트, 김상림목공소는 교육, 책박물관은 현실도피, 책공방북아트는 엔터테인먼트, 디자인뮤지엄은 심미, 문화카페오스는 심미로 나타났다. 또한 영리성을 추구하는 전시관은 김상림목공소, 책공방북아트센터, 책박물관, 문화카페오스이며 비영리성을 추구하는 전시관은 디자인뮤지엄, 비쥬얼미디어아트미술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지역체험전시관의 경쟁력 강화방안으로 첫째, 지역민의 문화향유를 위한 공공성 확보방안으로 작품 순환전시, 작품 보조설명 시설구축, 문화적 장소표현을 해야 한다. 둘째, 관광객확보를 통한 수익창출 방안으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제공 및 공간 확보, 기념품 샵 운영 등을 해야 한다. 셋째, 삼례체험전시관의 홍보마케팅 전략방안으로 모바일 앱 개발 및 SNS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해야 한다.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Online Readers' Advisory Service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55-178
    • /
    • 2023
  •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독서환경의 변화로 인해 공공도서관의 독자상담은 도전과 기회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서비스의 도약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6개의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의 50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 및 신간 안내등의 공지, 독자 요구 파악 및 개별 이용자를 위한 안내, 사서가 개발 제공하는 콘텐츠, 독자가 참여하여 생성하는 콘텐츠, 외부 기관의 독서 정보 안내, 외부의 전문 서평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웹사이트의 활용, SNS 서비스라는 7가지 항목에 기초하여 온라인 독자상담의 현황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독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개별 독자를 지원하는 사서의 도서 추천 서비스, 사서의 서평, 독자의 참여와 공유 및 상호작용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충청북도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 설립에 대한 현장 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Level of Book Saturation in Chungcheongbuk-do Libraries)

  • 노영희;강봉숙;곽승진;장인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39-159
    • /
    • 2023
  • 본 연구는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 공동보존관의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실태조사와 인식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충북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의 기능은 귀중자료의 보존과 충북교육 및 학교 특성화 자료 구축에 중점을 두되, 이관자료 중 중요한 자료의 디지털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중점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기준은 원형보존과 매체변환 등이 필요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이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유형은 운영 계획 시 단행본 유형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되 그 외의 유형에 대한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료 이관 시 자료의 소유권의 경우, 공동보존자료관 운영 위원회를 통해 충북교육청과 개별 도서관과의 논의를 거쳐 소유권을 포함한 세부적인 이관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 김서영;김태우;이경업;조유빈;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55-360
    • /
    • 2023
  •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균형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Balance for the Elderly in Korea: Systematic Review)

  • 이은아;정재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2-53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 중재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고찰 연구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5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 한국학술정보(KISS),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교보문고스콜라, 학지사뉴논문을 통해 총 9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PRISMA flow chart를 사용한 문헌선정과정을 바탕으로 최종 6편의 문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문헌의 질적수준은 근거수준 I이 3편(50.0%), II가 1편(16.7%), III이 2편(33.3%)으로 나타났고, 가상현실 프로그램 종류는 wii fit 밸런스가 4편(66.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대한 평가도구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 중재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임상적 적용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앞으로 다양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많이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