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nyl acetat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Influence of Bornyl Acetate on Blood Pressure and Aortic Strips Contractility of the Rat

  • Lim, Dong-Yoon;Ki, Young-Woo;Na, Gwang-Moon;Kang, Moo-Jin;Kim, Byeoung-Cheol;Kim, Ok-Min;Hong, Soon-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2호
    • /
    • pp.119-125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rnyl acetate o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vascular contractile responses in the normotensive rats and to establish the mechanism of action. Both phenylephrine (an adrenergi$\alpha$-receptor agonist) and high potassium (a membrane-depolarizing agent) caused greatly contractile responses in the isolated aortic strips. These phenylephrine (10$^{-5}$ M)-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were depress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bornyl acetate (10∼20 $\mu\textrm{g}$/ml), but not affected in low concentrations of bornyl acetate (2.5∼5$\mu\textrm{g}$/ml). High potassium (5.6 ${\times}$ 10$^{-2}$ M)-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were also greatly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bornyl acetate (2.5∼20 $\mu\textrm{g}$/ml) in a dose-dependent fashion. Bornyl acetate (1∼10 mg/kg) given into a femoral vein of the normotensive rat produced a dose-dependent depressor response, which is transient (data not shown). Interestingly, the infusion of a moderate dose of bornyl acetate (3mg/kg/30 min) made a significant reduction in pressor responses induced by intravenous norepinephrine. Collectively, thes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intravenous bornyl acetate causes a dose-dependent depressor action in the anesthetized rat at least partly through the blockade of adrenergic $\alpha$$_1$-receptors. bornyl acetate also causes vascular relaxation in the isolated aortic strips of the rat via the blockade of adrenergic $\alpha$$_1$-receptors, in addition to the unknown mechanism of direct vasorelaxation.

In vitro Screening of Essential Oil Active Compounds for Manipulation of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Mitigation

  • Joch, M.;Cermak, L.;Hakl, J.;Hucko, B.;Duskova, D.;Marounek,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52-959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1 active compounds of essential oils (ACEO)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Two trials were conducted. In trial 1, ACEO (eugenol, carvacrol, citral, limonene, 1,4-cineole, p-cymene, linalool, bornyl acetate, ${\alpha}$-pinene, and ${\beta}$-pinene) at a dose of $1,000{\mu}L/L$ were incubated for 24 h in diluted rumen fluid with a 70:30 forage:concentrate substrate (16.2% crude protein; 36.6% neutral detergent fiber). Three fistulated Holstein cows were used as donors of rumen fluid. The reduction in methane production was observed with nine ACEO (up to 86% redu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Among these, only limonene, 1,4-cineole, bornyl acetate, and ${\alpha}$-pinene did not inhibit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 and only bornyl acetate produced less methane per mol of VFA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In a subsequent trial, the effects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of two concentrations (500 and $2,000{\mu}L/L$) of bornyl acetate, the most promising ACEO from the first trial, were evaluated using the same in vitro incubation method that was used in the first trial. In trial 2, monens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Both doses of bornyl acetate decreased (p<0.05) methane production and did not inhibit VFA production. Positive effects of bornyl acetate on methane and VFA production were more pronounced than the effects of monensin. These results confirm the ability of bornyl acetate to decrease methane production, which may help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in the rumen.

서양등골나물 휘발성 추출물의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 of Volatile Extracts from Eupatorium rugosum)

  • 길지현;심규철;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35-139
    • /
    • 2005
  • 서양등골나물의 휘발성 추출물에 포함된 terpenoid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고, 주요 물질 4종에 대한 종자발아와 유식물 생장을 조사하였다. 서양등골나물 정유에 포함된 화합물의 수는 $\beta$-caryophyllene, $\alpha$-terpinenol, chamazulene, bornyl acetate, $\alpha$-pinene등 총 49종이었으며, 그 중 3종은 미확인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정유로부터 분리 확인한 휘발성 화학물질 중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중요한 성분으로 판명된 $\alpha$-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 및 terpinen-4-ol 등 4종의 물질에 대한 녹두의 발아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linalool과 terpinen-4-ol에 의해서는 녹두의 종자가 전혀 발아하지 못하여 발아 억제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정유 내 화합물에 의한 녹두 유식물의 초기 생장 결과, $\alpha$-pinene과 bornyl acetate에 대한 묘조와 유근의 생장은 농도에 따라 점점 억제되었고, linalool과 terpinen-4-ol에 대해서는 실험구에서 생장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만큼 강하게 억제반응이 나타났다. 생체량에 있어서 $\alpha$-pinene의 경우 58 ${\mu}l$ 이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bornyl acetate의 경우에는 19 ${\mu}l$ 이상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유 내에 포함된 서양등골나물의 알레로 화합물 중 생물검정에 사용된 $\alpha$-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과 terpinen-4-ol은 식물의 발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한 물질 중 하나로 생각되며, 특히 linalool과 terpinen-4-ol은 다른 식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리기다송(Pinus rigida Mill)과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잎 정유의 향기성분 (Flavor Components of the Needle Oils from Pinus rigida Mill and Pinus densiflora Sieb & Zucc)

  • 최경숙;박형국;김정한;김용택;권익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69-773
    • /
    • 1988
  • 소나무과의 리기다송(Pinus rigida Mill)과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needle oil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로 분석하였다. 리기다송의 주요 성분은 ${\alpha}-pinene$, 1-hexen-3-ol formate, sabinene, ${\beta}-pinene,\;{\alpha}-terpieol$, ${\beta}-caryophyllene$ 등 이었으며, 적송은 ${\alpha}-pinene$, bornyl acetate, ${\beta}-pinene$, ${\beta}-hpellandrene$ 등이 주성분이었다. 적송은 리기다송에 비해 fresh, soft sweet하며 삼림을 연상시키는 효과가 컸는데, 리기다송에 bornyl acetate를 첨가하였더니 적송보다 더 강한 삼림향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쥐오줌풀(Vai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sential Oil of Korean Valerian Root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김용태;박준영;김영회;김근수;장희진;권영주;이종철;최영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6-78
    • /
    • 1992
  • The essential oil of Korean valerian root ( Valeriana fauriei roar. dasycarpa Hara) was isola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Sl extraction. The oil content of fresh root was 0.7% (wb) and that of dried root was 2.1 5 (db) and sensory analysis of the oil indicated sweet-balsamic, woody and floral characteristic aroma notes. The oil was fractionated into one hydrocarbon fraction and three oxygenated hydrocarbon fractions by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 Each fraction was analyzed by capillary GC and GC-MS. Out of 81 characterized compounds, the major compounds were a-pinene, camphene, $\beta$-pinene, bornyl acetate, borneol , bornyl iso-valerate and sesquiphellandrene and the characteristic floral and woody aroma of neutral fraction of Korean valerian root could be due to be the presence of oxygenated compounds such as borneol, bornyl acetate, bornyl iso-valerate, p-ionone ana $\beta$-ionone epoxide. Comparing the yield of Korean valerian root with those from other origins reported, oil content of Korean valerian root was higher than those of European and Indian origins.

  • PDF

돼지풀 잎의 성장기 동안 Monoterpenes 조성과 계절적 변이 (Variation Monoterpenes during Leaf Development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김종희;김해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3호
    • /
    • pp.155-161
    • /
    • 1999
  • 돼지풀 잎의 성장이 plastochron index(PI)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돼지풀 잎의 monoterpenes함량과 조성이 PI에 따라 조사되었다. 돼지풀은 PI 2.0부터 monoterpene의 총함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I 11.89때 최고의 양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풀에서 동정된 monoterpene들은 약 29개의 화학물질들로서, 그 가운데 No. 2, octene, α-pinons, β-myrcene, 1,3,6-octatrine, endo-borneol, (-)-bornyl acetate가 대표적으로 많이 함유된 monoterpene들이었다.

  • PDF

광릉쥐오줌풀과 넓은잎쥐오줌풀의 산지별 유효성분의 변화 (Differences of Major Compounds in Valerian fauriei var. dasycarpa HARA and Valerian officinalis L. Grown at Different Places in Korea)

  • 조장환;최영현;김근수;안대진;한옥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9-113
    • /
    • 1996
  • 광릉쥐오줌풀과 넓은잎쥐오줌풀을 표고가 다른 지역에서 생육시켜 유효성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정유함량은 산지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정유조성은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양적으로 많이 함유된 성분은 광릉쥐오줌풀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bornyl acetate 및 sesquiterpene alcohol이었고, 넓은잎쥐오줌풀에서는 borneol, bornyl actate 및 ${\beta}\;-sesquiphellandrene$이었다. 유럽산과 네팔산의 주요 약리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valepotriate 화합물 중 valtrate가 광릉쥐오줌풀 및 중국산쥐오줌풀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이의 함량은 산지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 PDF

편백과 화백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성분의 조성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the Leaves and the Fruits of Chamaecyparis obtusa and Chamaecyparis pisifera)

  • 홍철운;김철생;김남균;김영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116-121
    • /
    • 2001
  • 국내산 편백과 화백의 잎과 열매로부터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자 이용하여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편백의 잎과 열매중의 정유함량은 각각 0.83%와 1.36%이었고, 화백의 잎과 열매에서는 각각 0.92%와 1.28%이었다. 4종의 시료에서 90여종의 성분을 동정하였는데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monoterpenoid류와 sesquiterpenoid류가 주요 구성성분이었고, 화백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편백에서 분리한 정유보다 특히 monoterpene류의 함유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편백의 잎에서 분리한 정유의 주요 구성성분은 sabinene(11.81%), limonene(7.73%), bornyl acetate(6.92%), $borneol+{\alpha}-teirineol$(15.67%), elemol(12.82%)이었고,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yrcene(8.12%), ${\gamma}-terpinene$(5.91%), p-cymene(7.62%), $borneol+{\alpha}-terpineol$(6.53%) 및 ${\beta}-caryophyllene$ (23.74%)이 주요 성분이었다. 화백의 경우 잎에서는 ${\alpha}-pinene$(32.34%), ${\delta}-3-carene$(25.28%), myrcene(11.72%), bornyl acetate(8.77%)가 주요 구성성분이었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9.38%), ${\delta}-3-carene$(30.27%), myrcene(15.05%), limonene(8.10%) 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화백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는 편백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 비해 ${\alpha}-pinon$${\delta}-3-carene$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borneol+{\alpha}-ternineol$의 함유비율은 낮은 것이 특징이었다.

  • PDF

소나무과 식물이 지닌 Monoterpenes가 Escherichia coli와 Aspergillus nidulans의 성장저해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onoterpenes of Pinus Plants on Escherichia coli and Aspergillus nidulans)

  • 이은주;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53-358
    • /
    • 2002
  • 소나무과 식물(곰솔, 리기다소나무 및 소나무)이 지닌 monoterpene의 표준시약 12가지를 4가지 농도별로 Escherichia coli와 Aspergillus nidulans에 처리하여 성장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E. coli의 성장 저해 효과가 있는 것들은 (R)(-)carvone, (S)(+)carvone, (1R)(-)fenchone, (-)menthone, α-pinene, (1S)(-)verbenone 그리고 (+)β-pinene이었고, 이들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 저해 효과를 보이는 것은 (+)β-pinene이었다. 그리고 A. nidulans에 성장 저해 효과를 보이는 것들은 (R)(-)carvone, (S)(+)carvone, (+)β-pinene, geranyl-acetate, α-pinene 그리고 (1S)(-)verbenone이었다. 본 실험에서 A. nidulans에 성 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monoterpene은 대부분 E. coli에서도 저해효과를 보이는데, 다만 geranyl-acetate는 E. coli에서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R)(-)fenchone과 (-)menthone은 E. coli의 성장 억제를 하는 반면. A. nidulans의 성장에는 영향이 없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myrcene, sabinene, bornyl acetate 그리고 limonene의 경우 두 종 모두에서 성장 저해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성충의 살충제 처리에 따른 소화 효소의 활성 변화 (Changes in Esterase Isozyme Activity After Pesticides Treatment in Digestive Juice of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Adult)

  • 박용철;조세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9-185
    • /
    • 2007
  • 북방수염하늘소(M. saltuarius) 성충 장(gut)내에 존재하는 소화액에 대한 에스테라제(esterase)의 활성 변화를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alpha}$-naphthyl acetate와 ${\alpha}$-naphthyl butyrate 기질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4개의 밴드가 관찰되었다. Carbofuran과 methomyl을 비교 처리한 결과 methomyl에서 강한 효소활성 저해가 관찰되었다. 특히 Est1은 carbofuran과 methomyl에 의해 모두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orpyrifos, methidation, phenthoate를 비교 처리한 결과 chlorpyrifos에 의해 모든 밴드들이 저해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Est1은 chlorpyrifos에 의해 효소활성이 완전히 저해되었고, methidation 처리시 약 70% 정도의 효소활성이 저해 되었다. Eserine을 처리한 결과 Est1은 약 70% 정도의 활성 저해를, Est2, Est3, Est4에서는 미미한 효소활성 저해가 나타났다. ${\alpha}$-pinene에서는 뚜렷한 효소활성 저해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bornyl acetate와 camphor에서는 미미한 효소활성 저해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