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le cultivation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1초

한반도 선·역사시대 박의 재배와 이용 (Cultivation and use of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in ancient Korea)

  • 김세빈;김민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38-51
    • /
    • 2024
  • 박(Lagenaria siceraria)은 구·신대륙에 걸쳐 재배 역사가 약 만년에 이를 정도로 오래된 작물이다. 하지만 한반도로 유입된 시기나 이용 방법에 관한 고고학적 고찰은 극히 드물다. 이에 한반도 소재 유적에서 출토된 박의 식물유체(종자와 열매껍질)를 검토하여 유입 시기, 경로, 형태적 특징에 관한 시론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박 재배는 청동기시대에 이른바 남방계통 작물의 유입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 식물유체가 발견된 유적은 삼국시대에 증가하며 이는 역사시대에 이르러 박이 중요한 작물로 자리 잡았음을 나타낸다. 둘째, 삼국시대에 출토된 박 종자는 장폭비와 형태로 보아 아프리카·아메리카 아종과 아시아 아종이 혼재한다. 삼국시대 종자의 형태적 다양성은 높으며, 역사시대에는 다양한 변종의 박이 재배되었을 것이다. 셋째, 박의 재배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는 열매껍질의 두께인데, 서천 봉선리 백제 목곽고 출토품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 이르면 박열매가 대형화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박은 청동기시대에 한반도로 유입된 후 역사시대에 이르러 재배가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재배종 박의 아메리카 전파설을 뒷받침할만한 고고학적 증거는 한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찾기 힘들다.

산느타리버섯 재배특성 및 기호도 조사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Pleurotus pulmonarius)

  • 이광재;김경희;조병주;박영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46-149
    • /
    • 2008
  • Pleurotus pulmonarius usually grows on the dead wood of deciduous trees in mid summer to early fall. The pileus color is white to tan and fruiting body is generally smaller than P. ostreat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ultivation and consumer acceptance of P. pulmonarius. The period of incubation and primordial occurrence were required about 33days, 5days in bottle cultivation repectively, and the yield was 170g/850cc bottle. In bed cultivation, the period of primordial occurrence was similar to that of bottle cultivation and the yields was $35.7{\sim}46.2kg/3.3m^2$. Taste and favor of P. pulmonarius were superior to P. oostreatus., but the appearance, color and shape, was slightly inferior to P. ostreatus.

  • PDF

느타리버섯 병재배의 톱밥 대체 배지 재료 선발 (Selection of an Substitute Sawdust Material in Pleurotus ostreatus by Bottle Cultivation)

  • 장명준;이윤혜;주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2-145
    • /
    • 2010
  • 느타리버섯의 병재배를 위한 톱밥 대체재료를 선발하기 위해 팽화왕겨, 코코피트, 콘코브, 코코넛나무톱밥을 비트펄프와 면실박에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화학적 특성은 4가지 배지재료 모두 느타리버섯 재배에 적합하였고, 균사배양 및 재배기간도 지연되지 않았으나, 코코피트 혼합배지에서 수량이 133 g/850ml으로 미송톱밥과 대등하였고 생물학적 효율이 77%로 가장 높아 코코피트를 톱밥 대체 재료로 선발하였다.

자실체 발생이 안정적인 꽃송이버섯 신품종 '한여울' (Characteristics of a New Sparassis latifolia Variety, "Hanyeoul", with Stable Pinheading)

  • 최준영;최종인;백일선;신복음;김정한;하태문;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7-112
    • /
    • 2022
  • 버섯의 편중재배 현상을 줄이고 경쟁력있는 품목을 육성하기 위해 재배기간이 짧고, 발이가 안정적이며, 수량이 높은 꽃송이버섯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6년부터 국내외에서 유전자원을 수집하고 교배하여, 특성검정 및 생산력 검정, 농가실증을 통해 육성된 꽃송이버섯 신품종 '한여울'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2~25℃, 발이 및 생육온도는 19~21℃로 대조품종(너울)과 유사하였다. 재배일수는 생산력 검정(병재배)에서 125일로 대조품종 대비 39일, 농가실증(봉지재배)에서 98~102일로 대조품종 대비 9~12일 짧게 나타났다. 갓 색은 연황백색으로 대조품종과 유사하였고, 갓 끝부분의 형태는 수국형으로 갓의 굴곡 간격이 대조품종 대비 넓었다. 발이율은 생산력 검정(병재배)에서 93.7%, 농가실증(봉지재배)에서 90.2~90.9%로 대조품종 대비 안정적이었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병재배)에서 1,100 cc(Ø75 mm)병 기준으로 79.1 g 대조품종 대비 22.6%, 농가실증(봉지재배)에서 2.6 kg봉지 기준으로 641.1~689.5 g로 대조품종 대비 5.8~10.4% 높았다. 모본 및 대조품종과 대치배양 시 대치선이 뚜렷하고, 균사체 DNA PCR반응 결과 밴드패턴이 모본 및 대조품종과 다른 양상을 보여 서로 다른 품종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이율이 높고 재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꽃송이버섯 품종을 육성하였으며, 맞춤형 재배기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 그리고 농가보급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검은비늘버섯의 병재배 시 톱밥배지 조성에 따른 재배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oliota adiposa according to substrates composition of sawdust medium by bottle cultivation)

  • 김민자;장후봉;이관우;주경남;김이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5
    • /
    • 2015
  • 검은비늘버섯 병재배용 다수성 톱밥 배지 조성을 구명하고자 5종의 혼합배지 조성에 대하여 재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재배기간은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 면실박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일수는 다소 길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짧고 생육일수는 긴 경향을 보여, 포플러톱밥+쌀겨(8:2) 처리에 비해 3-5일 길었다. 유효경수와 병당 수량이 높은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와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콘코브(3:2:2:3) 처리에서 참나무톱밥+쌀겨(8:2, 대조구)에 각각 33%, 12% 증수되었다. 전체 재배기간과 수량을 고려할 때 검은비늘버섯 병재배용 다수성 배지로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이 가장 적합하였다.

국내 주요 버섯류의 병해 발생과 재배사의 미생물 밀도 조사 (Occurrences of Major Mushroom Diseases and Microbial Densities of Mushroom Cultivation Facilities)

  • 안유나;장보라;김면수;원항연;전창성;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4-149
    • /
    • 2009
  • The occurrences of the major diseases and the densities of air-born microbes were surveyed in the cultivation facilities for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in different areas of Korea. Green mold disease was most often developed in oyster mushroom bed cultivation with the disease incidence rate of approximate 10% while the disease incidences from bottle and plastic envelop cultivation were less than 1~2%. In the bed cultivation, the major air-born microbes in the growth room were Aspergillus, Penicillium, Trichoderma, and Curvularia with the total fungal population density of 567~1,297 CFU/$m^3$ . However, only Trichoderma and Penicillium were detected in the growth rooms and innoculation rooms of bottle and plastic envelop cultivation with the densities of 350~700 CFU/$m^3$ and 160~260 CFU/$m^3$, respectively. The bacterial diseases become evident in the growth rooms of bottle and plastic envelop cultivation with the approximate incidence rate of 10%. The identified bacterial species were Brevibacillus levelkil, Rhizobium radiobacter, Brevundimonas vesicularis, Pseudomonas mosselii, Microbacterium testaceum. Sphingomonas panmi, Sphingomonas yabuuchiae, Paracocus dinitrificans,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pv. flaccumfaciens and some unidentified bacteria with the densities of 40~6,359 CFU/$m^3$ in the growth rooms and 9 CFU/$m^3$ in the inoculation room.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een mold disease by fungal strains was the major mushroom disease in the bed cultivation and suggested that the contamination of bacteria and fungi together in the growth media could result in severe production loss. The plastic envelope and bottle cultivation were evidenced to be less susceptible to such contaminations.

버섯 병재배를 위한 배지조성물의 종합관리 모델 (Comprehensive model formedium composition for mushroom bottle cultivation)

  • 정종천;이찬중;문지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1-118
    • /
    • 2016
  • 버섯 병 재배용 배지는 재료의 혼합, 수분조절, 입병, 살균, 냉각의 작업과정을 거쳐 조성된다. 배지조성은 버섯종류별로 알맞은 재료의 선택, 수분함량, 병당 입병량, 가비중, 질소량, 병내 배지의 3상조건 등을 매일 입병 작업하는 과정에서 연중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배지조성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개발한 기술들을 작업과정에 맞추어서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배지조성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4계절을 통한 버섯 재배에서 균 배양기간, 재배기간, 수량 및 품질에 기복이 많았던 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늘껍질을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s Using the Garlic Peel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 이상선;김순근;이태수;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68-275
    • /
    • 1997
  • High prices of raw materials used as media for the mushroom cultivation increased the cost of commercial produc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In this study, garlic peels (Allium sativum f. pekinese)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were investigated to replace the saw dust for the bott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Mycelial growth of oyster mushroom were examined by the extracts made from the sawdust, rice bran and garlic peels. The mycelial growth was very poor in the agar media containing the extracts of sawdust or garlic peels, but was good when those of the rice bran were added. In the polypropylene bottle experiment, the sawdust medium which ammended with minerals vitamin was essential for the production of the mushroom fruitbodies. The rice bran was considered to stimulate the mycelial growth, but not the development of basidiocarps. The garlic peel was not a factor to stimulate the production of mushroom fruitbodies, but a raw material ammended with the rice bran produced much amounts of mushroom. In this work, garlic peels ($10{\sim}70%$ v/v) added to the mixture of sawdust and rice bran (4 : 1, v/v) was considered to help the productions of mushroom fruitbodies. Based on the result, the replacement of expensive saw dust with inexpensive garlic peels was a good example to reduce production cost of the bottle cultivation of mushroom.

  • PDF

병재배 배지살균 시 배지내부의 실시간 온도측정 방법 (Methods of temperature measurement of medium in bottle during sterilization)

  • 정종천;전창성;이찬중;오진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4-79
    • /
    • 2011
  • 본 시험은 버섯 배지를 살균할 때 배지의 내부에 삽입하여 실시간으로 온도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고 고온고압에 견디는 기기(iButton Temperature Data Logger DS-1922T)를 사용하였다. 이 온도측정기는 살균기의 종류, 배지의 종류와 용량, 살균방법별로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살균기 및 배지 내부의 온도변화와 살균온도 유지시간의 측정이 가능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방법과 결과는 버섯 재배현장에서 응용함으로써 알맞은 배지 살균으로 버섯의 안정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리형 용기를 이용한 표고버섯 톱밥재배 연구 (Sawdust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Using a Detachable Plastic Bottle)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85-392
    • /
    • 2019
  • 플라스틱 비닐을 이용한 톱밥배지를 기반으로 하는 표고 재배방식은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닐 대신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여 표고의 재배실험을 실시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밀기울을 4:1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을 65%로 맞춘 톱밥배지를 분리가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에 입병하였다. 접종한 배지는 배양일, 명배양 광조건 등을 달리하여 80일 또는 120일간 배양하였다. NIFoS 2464 균주에서는 300 Lux의 광도에서 명배양을 진행하였을 경우 배지의 중량감소율이 더 높았고, 빛의 세기는 배지의 중량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발생시에는 발생실의 공기순환 팬 속도를 달리하였다. NIFoS 2464 균주는 암배양 80일, 명배양 500 Lux에서 40일, 공기순환 팬 속도 30 rpm에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120일 동안 배양된 병 배지의 경우, 명배양을 40일간 진행한 배지에서 생산량이 더 높았다. 암배양을 80일간 진행한 배지의 경우 배지 상면으로의 반복적인 살수작업 및 배양실 내의 빛 자극으로 인해 자실체가 발생하였다. 첫 수확 후 배지의 수축으로 인해 배지는 병으로부터 분리되었다. 분리된 플라스틱 병은 버섯 재배에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