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 Roughnes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초

해저조도 변화를 이용한 폐쇄성 만의 해수순환 개선 (Improvement of Tidal Circulation in a Closed Bay using Variation of Bottom Roughness)

  • 부성윤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
    • /
    • 2005
  • Tidal circulation in a closed bay using a variation of bottom roughnes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numerical experiments based on a finite difference multi-level model. Various distributions of bottom roughness in the bay wer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ir effects. It hadbeen determined that residual currents can be generated from the differences of the bottom roughness between streaming and reverse flow directions. The magnitude of residual currents and volume flow rate increase when the relative ratio of bottom roughness between streaming and reverse flow directions increase. Circulation in the closed bay is also improved by the employment of the change of bottom roughness.

방향성 저항특성을 가진 3차원 저면조도의 최적형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st Suitable Shape of 3-Dimensional Bottom Roughness with Directional Resistance Properties)

  • 국승기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1-450
    • /
    • 2000
  •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semi-enclosed bays, Gug et al. (1997) have proposed a new method to activate the tidal exchange by creation and control of tidal residual current through the addition of artificial elements to creation and control of tidal residual current through the addition of artificial elements to create bottom roughness, so, ot is advisable to arrange as few of these as possible from a point of cost-benefit view.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the most suitable shape of artificial bottom roughness units with which to create and control an optimal tidal residual current. Several simple shapes were examined as fundamental cases. Subsequently 38 types of artificial bottom roughness units based on a few simple effective shapes, were examined experimentall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wo types to create artificial roughness.

  • PDF

주파수 종속성을 갖는 고주파 해저면 반사손실 모델 (Frequency Dependence of High-Frequency Bottom Reflection Loss Model)

  • 박순식;윤관섭;나정열;석동우;주진용;조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62-369
    • /
    • 2004
  • 수층과 사질 퇴적층이 이루는 경계면이 평탄할지라도 고주파수 (30∼120 ㎑) 음파의 반사손실은 퇴적물의 입도와 입사파의 파장에 따라 거친 경계면에서의 반사 효과를 갖게 된다. 경계면 거칠기 영향은 음향학적 거칠기 (acoustical roughness, g/sub R/)로 표현하며 사질 퇴적물의 경우 g/sub R/∼ O(1)이고 주파수에 따른 종속성을 가진다. 따라서 입도분포에 따른 반사손실의 편차 (deviation)와 주파수에 따른 종속성을 포함하는 개선된 해저면 반사손실 모델 (HYBRL 모델, Hanyang University Bottom Reflection Loss model)을 제안한다. 그리고 주파수 종속성과 해저면 물성이 갖는 편차를 포함하는 반사손실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수조실험과 해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조실험 및 해상실험에서 측정된 해저면 반사손실 결과 사질 퇴적물에서 모델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

거친 바닥 위의 에크만 경계층 내의 흐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kman Layer Flow over a Rough Bottom)

  • 나정열;김태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2호
    • /
    • pp.53-58
    • /
    • 1998
  • 거친 바닥을 포함하고 있는 laminar 에크만층 내 흐름의 방향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바닥경계조건을 Taylor 급수로 전개하여 에크만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다. 이때 거친 바닥의 거칠기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 h/${\delta}_E$(h, 거칠기의 rms 높이; ${\delta}_E$, 에크만층 두께)의 크기를 변화시켜 거칠기에 의한 에크만층 내 흐름의 방향변화(에크만 veering)를 구하였다. 거칠기 증가시 에크만층 내 일정 수심에서 변회각의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cross-isobar 수송량은 도리어 감소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내부의 지형류 속도가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결과를 증명하기 위해 회전반 실험을 실시하였고 관측된 결과는 이론적인 것과 잘 일치하고 있다.

  • PDF

황해에서 저주파 음파의 해저손실 변동 (Bottom Loss Variation of Low-Frequency Sound Wave in the Yellow Sea)

  • 김봉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13-121
    • /
    • 2007
  • The sound wave in the sea propagates under the effect of water depth, sound speed structure, sea surface roughness, bottom roughness, and acoustic properties of bottom sediment. In shallow water, the bottom sediments are distributed very variously with place and the sound speed structure varying with time and spa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ason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low-frequency sound wave in the Yellow Sea, propag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long a track i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in spring, summer, and autumn. In this paper we consider seasonal variations of the sound speed profile and propagation los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Also we quantitatively investigate variation of bottom loss by dividing the propagation loss into three components: spreading loss, absorption loss, and bottom loss. As a result, the propagation losses measured in summer were larger than the losses in spring and autumn, and the propagation losses measured in autumn were smaller than the losses in spring. The spreading loss and the absorption loss did not show seasonal variations, but the bottom loss showed seasonal variations. So it was thought that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propagation loss was due to the seasonal change of the bottom loss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bottom loss was due to the change of the sound speed profile by season.

유기금속 화학증착법에 의해 Sputtered-Ru/Polysilicon 위에 증착된 Pt 전극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t Bottom Electrode Deposited on Sputtered-Ru/polysilicon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최은석;양정환;윤순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8-372
    • /
    • 1999
  • The suggested electrode structure of MOCVD-Pt/sputtered-Ru/polysilicon has an excellent adhesion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s and shows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up to $600^{\circ}C$. However, the ruthenium used for barrier layer increased the roughness of platinum bottom electrodes because ruthenium diffused through the Pt bottom electrode and reacted with oxygen during the annealing above $700^{\circ}C$.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the resistivity of Pt bottom electrodes. The resistivity of samples annealed at $600^{\circ}C$ was about $13\mu$Ω.cm. The electrode structure was possible to apply for ferroelectric thin film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PDF

격자 볼츠만 방법을 이용한 미소채널 내에서의 층류 유동에 대한 표면 거칠기의 영향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laminar flow in a micro-channel by using lattice Boltzmann method)

  • 신명섭;윤준용;변성준;김각중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6년 제4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3
    • /
    • 2006
  • Surface roughness is present in most of the microfluidic devices due to the microfabrication techniques. This paper presents lattice Boltzmann method (LBM) results for laminar flow in a microchannel with surface roughness. The surface roughness is modeled by an array of rectangular modules placed on top and bottom side of a parallel-plate channel. In this study, LBGK D2Q9 code in lattice Boltzmann Method is used to simulate flow field for low Reynolds number in a micro-channel. The effects of relative surface roughness, roughness distribution, roughness size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the product of friction factor and Reynolds number. Finally, a significant increase in Poiseuille number is detected as the surface roughness is considered, while the effect of roughness on the microflow field depends on the surface roughness.

  • PDF

고장력 강판의 CNC Plasma 절단시 절단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tting Surfaces in CNC Plasma Cutting of high tensile steel plate)

  • 김인철;김성일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54
    • /
    • 2003
  • The cutting tests of high tensile steel plate(AH36) were carried out using CNC plasma arc cutting machine. Both top and bottom width of kerf and the surface roughness(Ra, Rmax) of cut surface are measured under various cutting conditions such as cutting speed, steel plate thickness, etc. In the CNC plasma arc cutting, the surface roughness decreases as cutting speed increases. The hardness is high up to 4mm depth from the cutting surface. In the cutting speed 1300~2100mm/min, the ratio of proper kerf width(Wt/Wb) is around 2.6. Through the series the series of experiments, the satisfactory cutting conditions of high tensile steel plate were found.

  • PDF

수중드론을 활용한 선박 선저검사용 수중 카메라 영상보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nderwater Camera Image Correction for Ship Bottom Inspection Using Underwater Drone)

  • 하연철;박준모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86-192
    • /
    • 2019
  • 일반적으로 운항 중인 선박이나 건조 중인 선박의 선저에는 많은 해양 생물들이 부착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선박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하여 선박속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경제적 손실 및 환경오염 등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선저에 부착된 해양생물 및 선저 상태를 검사하는 수중드론 등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활용한다. 획득된 해당 영상은 관리자 육안확인에 의해 해양 생물들에 따른 거칠기 등을 판단하게 된다. 이에 영상을 보정하는 필터 알고리즘을 원본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해양 생물들 부착 여부 등에 대한 올바른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중 영상의 보정 알고리즘에는 다양한 필터가 필요하며, 어두운 수중 환경에 맞는 조명이 판단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조명의 밝기 정도에 따른 해양 생물 부착 여부 판단에 대한 내용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보정 알고리즘 및 각 알고리즘별 조명 밝기에 따른 연구테스트 결과는 많은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주파 해저면 반사손실의 주파수 종속성 측정 (Frequency Dependence of High-frequency Bottom Reflection Loss Measurements)

  • 박순식;윤관섭;최지웅;나정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652-659
    • /
    • 2003
  • 사질로 이루어진 평탄한 경계면에서 수평입사각 (25°, 40°, 65°, 80°)에 따른 고주파(40∼120 kHz) 반사손실 측정 실험을 수조 내에서 수행하였다. 5×5×5 m 크기의 수조는 바닥을 두께가 0,5m 이고 평균입도가 0.5 ø인 사질 퇴적물로 채웠으며 퇴적층 경계면은 평탄하게 조성하였다. 측정된 주파수별 수평입사각에 따른 반사손실은 고주파 해저면 반사손실 모델인 APL-UW 모델 (Mourad & Jackson, 1989)과 비교하였다. 60 kHz 이하 주파수의 경우 모델과 실측치가 거의 일치하였으나 70 kHz 이상의 경우에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2∼3dB씩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70 kHz 이상의 경우 모델과 실측치 간의 차이는 모델에서 다루지 않는 거칠기 (입도)의 수직 크기 때문이며 고주파로 갈수록 산란이론의 레일리 인자 (Rayleigh parameter)의 값이 증가하여 거칠기에 의한 산란효과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탄한 해저면일지라도 사질과 수층으로 이루어진 경계면에서의 반사손실모델은 입도분포의 신뢰구간 내에서 갖는 거칠기 영향에 의한 주파수의 종속성을 고려하여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