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wling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9초

볼링 투구동작의 운동역학적 연구 (Biomechanical Analysis of a Bowling Swing)

  • 이해명;이성철;이해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3-63
    • /
    • 2006
  • The gener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owling swing using three-dimensional cinematography. This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movements of the upper body segments during a bowling swing. Eight elite female bowling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performed bowling swing and their performance was sampled at 60 frame/sec using two high-speed video cameras with a synchronizer. After digitizing images from two cameras,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were used to produc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12 body segments (20 joint reference makers).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ere fed to a custom-written kinematic and kinetic analyses program (LabView 6.1, National Instrument, Austin, TX, USA). The analyses determined the linear and angular kinematic variables of the body segments with which joint force and torque of the lower and upper trunks and the shoulder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ewton-Euler equations.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bowling swing the peak linear velocities of the body segments were reached in sequence the trunk, the shoulder, the elbow, the wrist, and the bowl. This result indicates that linear momentum of the lower body and the trunk transmits to the arm segment during the bowling swing. The joint torques of the torso and the arm occurred almost simultaneously, indicating that bowling swing seem to be a push-like motion, rather than a proximal-distal sequence motion in which many of throwing motions are categorized.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bowling swing is to release a heavy-weight bowl with power and consistency. Therefore, the bowling swing observed in this study well agrees with that bowlers use the stepping to increase the linear velocity of the bowl, the simple pendulum system and the push-like segmental motion in the torso and the arm segment to enhance the power at the release of the bowl.

PNF 상·하지 통합패턴과 볼링 운동이 자세 부정렬을 가진 20대 성인의 자세에 미치는 영향 (A Comparison between Integrated Patterns of PNF and Bowling Exercises)

  • 최재원;황신필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2호
    • /
    • pp.89-9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integrated patterns (IPs) of PNF on individuals with malalignment using upper extremity and lower extremity patterns simultaneously. This information was then compared to the effect of bowling exercises on malalignment.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with malalignment in their posture. Methods: Individuals with malalignment (40 participants in total)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trunk inclination and side deviation. In one group, IPs of PNF were used as interventions, while the other group used bowling exercises. This process was completed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The IP group used two patterns simultaneously: flexion-adduction-external rotation and extension-abduction-internal rotation. These patterns were used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nd were crossed diagonally. Results: The trunk inclination decreased in the IP and the bowling group. In the IP group, the degree of inclination decreased from 0.94 to 0.33. The side deviation also decreased to 1.53 (p < 0.05). In the bowling group, the two measured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Conclusion: Compared to the bowling exercises used in the bowl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use of I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nk inclination and side deviation for malalignment posture patients. Individuals can easily improve malalignment using IPs of PNF (for example, at home or at their office), which suggests that they are not required to seek assistance from a fitness or bowling center, which may save them time.

On Testing Multisample Sphericity in the Complex Case

  • Nagar, D.K.;Gupta, A.K.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13권2호
    • /
    • pp.73-80
    • /
    • 1984
  • In this paper, likelihood-ratio test has been derived for testing multisample sphericity in complex multivariate Gaussian populations. The $h^{th}$ moment of the test statistic is given and its exact distribution has been derived using inverse Mellin transform.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 is also given.

  • PDF

볼링의 투구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al Analysis of Bowling Throw Motion)

  • 백승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31-344
    • /
    • 2002
  • 본 연구는 볼링 투구동작의 성패는 스텝과 스윙이 결정한다는 가정 하에 어프로치에서의 동작에 주안점을 두고, 볼링선수를 대상으로 자유로이 투구를 하게 하고 피험자 본인이 잘되었다고 판단하는 동작과 잘못되었다고 판단하는 투구 동작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투구동작시 어드레스에서부터 릴리즈까지의 동작을 각 스텝별로 국면을 설정하고, 3차원영상분석을 실시하여 각 스텝별로 보폭, 신체중심의 위치, 볼의 위치를 성공과 실패동작으로 나누어서 비교 분석하였다. 보폭은 성공과 실패동작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4국면과 5국면에서의 보폭이 실패동작에서 크게 나타났다. 신체중심의 위치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공시가 실패시보다 상하 이동폭이 작게 나타났다. 볼의 위치는 성공과 실패시 모두 스텝중에는 3국면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상하 이동폭이 적은 안정적인 투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현실볼링 수행에 따른 정서변화: 대뇌반구 비대칭 연구 (Emotion Changes during Virtual Bowling Game: An EEG Study on Hemispheric Asymmetry)

  • 신경식;김진구;류광민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49-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볼링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본 실험에 참여한 16명의 피험자는 볼링 경력 3년, 나이는 26-35세, 평균나이 29.6세의 볼러들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들이 볼링을 다섯 게임 하는 동안 전두엽의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게임이 끝난 후 곧바로 시각상사척도를 사용해 게임 후의 정서를 측정하였다. 뇌파측정부위는 전전두엽, 전두엽, 외측 전두엽이었다. 자료 분석은 전두엽의 알파파에 대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알파파워 값이다. 연구결과 스트라이크를 쳤을 때는 시각사상척도 값이 스페어나 스페어 처리를 처리했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페어를 처리했을 때는 스페어 미스보다 시각사상척도 값이 높게 나타났다. 대뇌 반구 비대칭 점수와 관련해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좌측 전두엽의 알파파는 스트라이크와 스페어를 처리했을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페어 미스를 했을 때는 우측 전두엽의 알파파가 활성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경쟁에서 성취 또는 성공을 했을 때 긍정적인 정서가 나타나고, 반대로 실패했을 경우에는 부정적인 정서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연구는 경기 중에 발생하는 수행의 결과가 선수의 정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신경생리학적으로 입증해 주었다.

On The Derivation of a Certain Noncentral t Distribution

  • Gupta, A.K.;Kabe, D.G.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19권2호
    • /
    • pp.182-185
    • /
    • 1990
  • Let a p-component vector y have a p-variate normal distribution $N(b\theta, \Sigma), \Sigma$ unknown, b specified, then for testing $\theta = 0$ against general $\theta$, Khatri and Rao (1987) derive a certain t test and obtain its power function. This paper presents a direct derivation of this power function in terms of the original variates unlike Khatri and Rao (1987) who resort to the canonical transformations of the original variates and the conditional distributions.

  • PDF

볼링선수의 경쟁상태불안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Bowling Athletes on Outcome of Games)

  • 김철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15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볼링 선수들을 대상으로 경쟁상태 불안아 경기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스포츠 현장의 지도자들에게 선수지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6년 4월 19일부터 29일까지 경남 마산에서 개최된 제25회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 남, 여 종별 볼링선수권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고등부 300명, 대학부 150명중 각각 100명씩을 추출하여 총 200명을 설문 조사를 실시,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Martens(1990)이 고안한 경쟁 상태 불안 검사지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분석기법은 회귀분석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볼링선수의 경쟁상태불안은 성적순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인지적 상태불안과 상태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볼링선수의 경쟁상태불안은 시합평균점수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인지적 상태불안과 상태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 PDF

마그네슘 음료 섭취에 따른 볼링선수들의 인지기능과 집중력 및 경기력의 변화 (Changes in cognitive, concentration and performance in Bowling player Associated with Magnesium Water Supplementation)

  • 김관규;정영희;남정훈;조인호;박노환;임병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33-33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마그네슘 음료가 볼링선수의 인지기능과 집중력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42명이며, 4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마그네슘 음료 섭취에 따른 혈중 마그네슘 농도와 인지기능, 집중력 및 경기력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자료분셕은 SPSS18.0을 이용하여 Normality test와 Repeated measure two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마그네슘 음료 섭취에 따라 볼링선수들의 혈중 마그네슘 농도는 변화였으며 혈중 마그네슘 농도와 인지기능과 집중력 및 경기력은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볼링선수의 인지기능과 집중력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혈중 마그네슘 농도의 조절을 통한 방법이 긍정적 방향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