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 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68-17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융합적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장경애;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30-138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부산시내에 위치한 지역대학 내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흡연 비경험자가 흡연 경험자보다 칫솔질과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점수가 각각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칫솔질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 삶의 질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흡연경험의 유무는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유학생활을 위해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전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인문계 3학년 여자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ance Exam Stress and Oral Care Self-Efficacy in 3rd year Girl High School Students)

  • 조혜은;정경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51-561
    • /
    • 2019
  • 본 연구는 인문계 3학년 여자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G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여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시험긴장/성적부진이 3.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여가생활부족 2.83점, 미래불확실성 2.57점, 부모압력 2.44점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입시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시험긴장/성적부진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수는 학업성적(p<.01), 가족소득수준(p<.0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p<.05), 일일칫솔질횟수(p<.01)이었다.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수준은 칫솔질 자기효능감이 3.13점으로 가장 높았고, 치과방문 2.80점, 치간청결 2.64점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관리 자기 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칫솔질 자기효능감과 관련 있는 변수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우식성 간식 섭취(1일 기준), 우식성 음료 섭취(1일 기준)이었다(p<.01). 입시스트레스 하위영역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입시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입시스트레스가 높은 학생의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구강보건행동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요인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in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 강희은;최준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203-1211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related oral care self-efficacy among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174 Type 2 diabetic patients from 9th January to 9th March in 2012.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1. Analysis of the level of each item concerning oral care self-efficacy showed tooth brushing self-efficacy was $13.3{\pm}2.9$, the highest of all. 2. The factor that was most highly rel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was oral health behaviors(${\beta}=0.474$). The other factors were found to be expected duration of diabetes(${\beta}=-0.205$), self-assessed physical health(${\beta}=0.177$) and oral health(${\beta}=0.111$) in such order (p<0.05). Conclusions : Diabetes causes a variety of complications in the mouth, an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oral care activity in order to oral health promotion. This study showed oral care self-efficacy appeared to be the greatest factor of relevance in practicing oral care activity. So, dental hygienist is obliged to keep on motivating so that the patient may maintain the oral care activity for him/herself. Also, a study on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oral care self-efficacy should be continued.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자기효능감, 통제위 및 구강질병관리신념과의 관련요인 (Related factor of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elf-efficacy and oral disease control and beliefs of nursery teacher)

  • 이향님;심형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7-172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grasp the efficacy, locus of control,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etc and to make a close inquiry the relevance between theses key figures and oral health promotion practice for a teacher and oral care about children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teachers of infant nursery. Methods : This study was made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9 to nursery teacher by hav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eachers of infant nursery who are performing nursry school tearcher. Total 187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se, 167 questionnaire excluding 20 questionnaire of incomplet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12.0. Results : The efficacy is highly in a married person(p=0.001)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P=0.006), perceived good oral status(p=0.001)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s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s highly in a married person(p=0.006)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P=0.037) and the marital status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is the highest(p=0.038) in the age of 40 among teacher's age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is the highest in the age of 20 ~ 29(p=0.001), highly in married(p=0.003)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nd perceived good oral status(p=0.045)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s. Ther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icacy,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external Lotus of Control,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following by the infant oral care after taking medicines and oral care of infants after tooth brushing. Conclusions : Therefore, the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hould be induced by educating the nursery teacher and it needs to spread out the oral care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to operate practically. It is considered in need of the infant oral care which is not burden on to the nursery teacher but helpful to the infant by connecting the subjects of dental hygiene and oral health education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