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transit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8초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 포장방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vement for Bus Rapid Transit System in Seoul)

  • 배윤신;권완택;이상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1-19
    • /
    • 2014
  • PURPOSES: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for bus rapid transit system in Seoul METHODS: The maintenance cost for bus lane damages and plastic deformations are increased by bus passing speed, heavy bus weight, and climate change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subtropical climate) and the accident risk has been increased. RESULTS: Recent analysis of pavement damage indicates that bus lane damage caused by heavy weight is overwhelming and it is urge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CONCLUSIONS : Pavement data of bus rapid transit system, bus transit numbers and pavement damage elements were analyzed. By analyzing pavement maintenance, design and construction, the counter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bus lane pavement and effective maintenance were suggested.

대중교통 HUD 콘텐츠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The Decision of Order Priority of HUD Contents for Public Transit)

  • 박범진;강원의;김태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5-141
    • /
    • 2013
  • PURPOSES: In this study, as part of an effort to develop HUD for public transit, it is proposed that the decision of order priority of contents which will be disposed to bus drivers through HUD for public transit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METHODS: In AHP analysis method brainstorming,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structuring, and weighting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a classical analysis method. RESULTS: By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shown that unlike car drivers, bus drivers prefer information related to bus intervals, bus stop, and door open and close to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running. Also, bus stop information and bus interval information were ranked as first and second place in order priority of HUD contents for public transit by experts. CONCLUSIONS: This method of selecting order priority of HUD contents for public transit can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selecting order priority of traffic information contents as well as other HUD contents.

도시철도용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ProfiBus 적용 연구 (A Study on Train Communication Network for EMU using ProfiBus)

  • 이수길;한성호;김원경;이관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366-368
    • /
    • 2001
  • ProfiBus provides real-time data communication among field devices in the EMU(Electrical Multiple Unit) and TCMS(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This paper presents an adapt to Train Communication Network for EMU using ProfiBus DP(Decentralized Periphery) method, which is the layer 2 DDLM (Direct Data Link Mapper) protocol of ProfiBus.

  • PDF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 (Evaluation of Transit Service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 최명훈;엄진기;이준;박종훈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18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집계된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를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제시한 '대중교통정책수립을 위한 교통카드자료 활용방안'과 미국의 대중 교통 매뉴얼인 'TCQSM(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을 참고하여 스마트카드 데이터로부터 서비스평가 항목으로 추출될 수 있는 정류장과 정류장의 재차인원(load factor), 승객 승 하차 인원에 따른 정차시간(dwell time), 통행시간과 거리 산출에 의한 속도(speed) 등 정량적인 항목들로 선정하였다. 사례분석 평가대상 버스노선은 서울역환승센터 정류장을 운행하는 지선버스 7024번 노선 중 승객이 가장 많은 시간대의 버스로 선정하였다. 평가결과 '이대부고~삼호아파트' 구간의 재차인원은 1좌석/인을 점유할 수 없는 상태로 나타났으며, 정차시간은 승객의 수와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승객의 패턴이 일률적이지 않으며 카드 tag 과정 또한 다양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속도의 경우 정차시간을 고려하여 정류장 간 주행속도와 전 구간에서의 평균통행속도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개선 및 조정함으로써 승객뿐만 아니라 운영자 측면에서도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버스 노선망 설계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 (Develpment of Analysis and Evaluation Model for a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 한종학;이승재;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버스 노선망 설계 과정에서 다양한 평가지표의 정략적 산출이 가능하고 관련 주체들의 입장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는 버스 노선체계 평가모형(BTRAEM: Bus Transit Route Analysis & Evalua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대도시 버스 노선망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노선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평가지표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자료기반의 미흡과 노선망 분석체계 알고리즘의 한계로 계획가의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하거나 교통수요분석 프로그램(EMME/2)에 기반하여 평가지표를 산출하여 노선망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에서는 평가모형의 정립을 위해서 국외의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의 개발추이를 검토하고, 평가모형에 적용할 번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목적함수와 제약조선을 정의하였다. 또한 평가모형의 구동을 위해서 요구되는 입${\cdot}$출력자료구조와 정량화된 평가지표자료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버스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노선 선택 및 통행배분모형을 평가모형내에 반영하였다. Visual-C++로 구현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을 Mandl's Transit Network에 적용한 결과, 노선망 구조의 성능을 특징짓는 변수들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개발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은 다양한 버스 노선망 대안에 대해서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입장과 시각을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고 다양한 목표를 조화시킬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AGT와 버스의 혼용시스템에 대한 고찰 (Review of Intermodal System of AGT and Bus)

  • 목재균;장세기;윤희택;우윤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58-63
    • /
    • 2003
  • This study shows the functional contribution in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r congestion area. And there is a introduction for the rapid bus transit developed in Europe community. It can be classified the public transportation as urban transit, subway and bus. For a few years, it has been introduced the AGT system as a role of the alternative and lengthening system of subway line. Recently, there is going on construction of AGT system in some regional cities. The AGT system has advantage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cost-effective rather than subway. But the bus system is advantageous at the points rather than AGT system. It is obvious that the bus system is most cost-effective for infrastructure and system rather than any other public transports. If the bus system has punctuality and precise docking, that becomes best cho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scheme. There are tries to develop new systems by means of the f1les up the advantages in bus and AGT system, which can be classified as BRT(Bus Rapid Transit}. The idea is simple; 'Thirik rail, use advanced buses.' It is introduced the IRISBUS system at this article, which was developed in Europe community. And it is introduced the project architecture to develop the similar system to IRISBUS in KRRI through National Transportation Key Technology R&D Project

  • PDF

대중교통 이용자의 환승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Travel Behavior Analysis of Transit Transfer)

  • 이상혁;김재석;김민석;우용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7-157
    • /
    • 2013
  • 본 연구는 개별형태모형 중에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구시의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환승교통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한 것이다. 다항로짓모형 추정을 위해 사용된 종속변수는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 지하철${\leftrightarrow}$지하철, 버스${\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 지하철${\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의 5가지 유형을 사용하였고, 환승교통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설명변수로는 성별, 나이, 교통주체, 통행목적, 환승지역, 통행비용, 통행시간의 7가지를 사용하였다. 구축한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설명변수의 값에 대한 환승확률을 산정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rho}^2$는 0.354로서 적합하게 나타났다. 설명변수(통행시간, 통행비용)값의 변화에 따른 확률변화를 가지고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통행시간에 따른 환승의 한계효과는 통행시간이 증가하면 할수록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의 이용객들이 지하철${\leftrightarrow}$지하철로 전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행요금에 따른 환승의 한계효과 분석에서는 버스${\leftrightarrow}$버스, 버스${\leftrightarrow}$지하철의 이용요금이 증가함에 따라 버스 및 지하철${\leftrightarrow}$기타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와 직장의 대중교통 접근성 유형화와 대중교통 통행발생량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izing the Types of Transit Accessibility by Residence and Working Place and Identifying its Association to Personal Transit Travel Frequency)

  • 성현곤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2
    • /
    • 2013
  • 본 연구는 대중교통 접근성의 유형이 관련된 통행발생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거지와 직장소재지의 철도와 버스의 도보 접근성을 고려하여 18개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유형화 한 후 다수준 포아송 회귀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대중교통 이용촉진을 위한 3가지 정책적 시사점과 함께 요약되어질 수 있다. 첫째, 버스와 철도의 경쟁관계와 보완관계를 적절히 고려하여 추진되어질 때 대중교통의 이용촉진은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환승의 편리성 제고로 대중교통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서울내 이동보다는 서울에서 외곽지역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 또는 주거지에서 철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버스의 접근성이 좋은 경우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서울외곽지역에 거주하면서 서울로 출퇴근 하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철도가 절대적으로 버스보다 높은 통행발생량의 우위를 가지고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서울로 이루어지는 시 도간 통행은 주거지의 철도역 접근성을 제고하는 주택공급 및 도시개발 정책을 추진하여야 대중교통의 이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Transit GPS Data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A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using Transit GPS Probe Data)

  • 최기주;홍원표;최윤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739-746
    • /
    • 2006
  • Transit GPS Probe를 이용하여 통행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Bus Probe는 Taxi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주기당 통행 시간 정보를 생성하였으나, 링크별 근소한 신뢰수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Bus Probe는 Taxi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신뢰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두 수집원의 운행특성을 고려한, 연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링크통행시간 정보를 생성할 필요성이 있는 바, Bus Probe와 Taxi Probe의 통행시간 비율을 주기당 변수로 생성하여 실시간 (Real-Time) 데이터와 과거(Historical)자료로 보정하는 휴리스틱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알고리즘에서 Real-Time 데이터는 4주기, Historical 데이터는 혼잡도별 평균값이 입력변수로 설정되었으며, 각 설정값은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도출되었다. 알고리즘의 평가는 서울시내 주요 3개축 구간의 20개 링크를 대상으로 6시간의 실측자료와 동일주기 Transit GPS 데이터의 신뢰도를 사용하였다. 알고리즘 적용 결과 대상링크의 전체평균 신뢰도(71.45%)가 향상되었고, 수집원간 단순 합성한 기존 방법에 비해 모든 링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평가지표 기반의 버스노선 스케치 방법론 적용 연구: 세종시 버스노선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us Route Sketch Methodology Based on Multiple Evaluation Indicators: Focusing on a Bus Line in Sejong)

  • 장준용;김성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50-68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버스노선의 설계 및 운영 단계에서 노선조정 활용을 위한 버스노선 스케치 방법론(Bus Route Sketch, BRS)을 개발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BRS 방법론은 버스 서비스의 공급자와 이용자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버스노선 경로를 설계하기 위해 (1)적정 교통존의 설정, (2)설정된 교통존과 경로조합 방법론을 이용한 버스 운행경로 조합의 생성, 그리고 (3)노선버스 서비스 공급자와 이용자 측면의 다중 평가지표를 이용한 대안 운행경로의 평가와 순위결정으로 구성된다.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공급자 관점에서 평가점수는 8.83에서 9.50으로 향상되고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점수는 7.13에서 9.89까지 향상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BRS 방법론은 노선 계획 및 운영과정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개발되었기 때문에 운영 중인 버스노선의 평가와 조정 그리고 노선설계의 실무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