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4 Explosiv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원자력 증기발생기 결함 세관 보수용 폭발 Plugg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ve Plugging of A Repair for Defective Tube/Tubeplate on the Nuclear Steam Generator)

  • 이병일;심상한;강정윤;이상래
    • 화약ㆍ발파
    • /
    • 제17권4호
    • /
    • pp.18-31
    • /
    • 1999
  • The explosive forming has been used for many year to expand tubes into tubesheets. this process has demonstrated ability to direct carefully the energy of an explosive to expand tubes into tubesheet holes without damaging the tubesheet and without causing the excessive cold work at the tube I.D. that is normally associated with mechanical expansion. The success of explosive tube expansion provided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losive tube plu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optimum explosives and explosive qualities are PETN, RDX, HMS and about 18~31gr/ft of explosive plugging in nuclear steam generator. (2) Explosive plugging's thickness is 0.9~1.8mm. If groove of 0.4 mm formed in plug outside, For the hydraulic leakage is go up, explosive plugging of formed groove are applicate tube and tubrplate. (3) Sheath is designed on the polyethylene of low density, In thermal impact test of the $430^\circ{C}$, hydraulic leakage is $300kg/cm^2$. (4) About 10~60mm oxide inclusions are existed on the space of explosive plug and tube protect to the leakage.

  • PDF

고온을 받은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Exposed at High Temperature)

  • 권영진;김용로;장재봉;김무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36
    • /
    • 2004
  • 본 연구는 잔골재 및 혼화재 종류, W/C에 따른 콘크리트의 폭열성상 및 압축강도 초음파속도 등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함으로서 폭열 방지 및 화재 피해를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사용과 보수보강, 안전도평가 등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폭열성상을 살펴보면, 잔골재에 따라서는 바다모래를 사용한 경우 폭열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약간의 폭열이 나타나는 정도이나 재생잔골재나 부순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는 폭열이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혼화재 종류에 따라서는 대체로 유사한 폭열성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W/C 30.5%의 고강도 영역에서는 대부분 폭열하였으나 W/C 55%의 보통강도 영역에서는 대부분 폭열하지 않았다. 잔존 압축강도는 W/C 55%의 경우 평균 45%로 나타났으며, W/C 30.5%의 경우에는 평균 64%로 나타났다. 초음파속도는 잔골재 종류 및 W/C, 가열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가열 후 3개월이 가열 후 1개월보다 약 1.3∼8.4%의 초음파속도 회복을 보였다.

155mm 포탄 및 C-4 90kg 기폭에 의한 야전구축 방호자재 및 구조체용 신방호자재의 방호성능 평가 (Evaluation of Protective Performance of Protection Materials for Field and Structural Body by Ignition of 155mm Artillery Shell and C-4 Explosive)

  • 이인철;김홍섭;남정수;김석봉;홍원희;김규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3-500
    • /
    • 2013
  •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the protective performance of the protection material for filed of the army by impact of fragment from the explosion of 155mm artillery shell to propose the improvement items. And it was evaluated the protection materials for structural boby such as corrugated steel plate, concrete block, prevention paint of explosion, aluminum foam and concrete T-wall by impact of fragment of 155mm artillery shells and explosion-induced pressure of C-4 explosive. As a result, protectiv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protective material was superior but reinforcement is necessary for secondary damage because sand is leaking. The protective performance of new protective materials was greater than existing protective materials. And it can be used for protective materials.

메탄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re and Explosion of Methan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
    • /
    • 2005
  • 가연성 물질의 안전한 취급, 저장, 수송, 조작 및 공정설계에 필요한 열화학적 파라미터로는 폭발한계, 인화점, 최소자연발화온도, 최소산소농도, 연소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는 가연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특성으로 이용된다. LNG공정 안전을 위해 메탄의 폭발한계와 최소자연발화온도를 고찰하였다. 메탄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는 공기 중에서 각 각 4.8 vol$\%$와 16 vol$\%$를 추천하며, 최소자연발화온도는 전면 가열인 경우는 $540^{\circ}C$, 국소 고온표면인 경우는 약 $1000^{\circ}C$를 추천한다. 또한 메탄의 폭발한계 온도 및 압력의존성에 대한 새로운 예측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 PDF

원자력 증기발생기 결함 세관 보수용 폭발 sleev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ve Sleeving of A Repair for Defective Tube/Tubeplate on the Nuclear Steam Generator)

  • 이병일;강정윤;이상래
    • 화약ㆍ발파
    • /
    • 제17권4호
    • /
    • pp.8-17
    • /
    • 1999
  • Unfortunately leaks occur in heat exchangers periodically, usually at the tube to tubeplate joint. The usual method of repair is to plug off the defective area and isolate the tubes of concern from the circuit. If the leaks continua the thermal capacity of the units is progressively reduced and for this reason the alternative of using an internal bridging sleeve has been examined. This paper discusses the overall development activities that has been found necessary to bring this repair procedure to a successful conclusion for use on the nuclear steam generator.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optimum explosives and explosive quality, explosive sleeving's thickness, the design of sheath stress relieving heat treatment pull-out load, hydraulic leakage, stress corrosion cracking properties. The results obtain are as follows : (1) The optimum explosives and explosive qualities are PETN and about 15~40 gr/ft of explosive sleeving in nuclear steam generator. (2) Explosive sleeving's thickness is 1.1~l.4mm, If groove of 0.35mm formed in sleeve outside existed, For the hydraulic leakage is go up, explosive sleeving of formed groove are applicate tube and turnplate. (3) If the stress relieving heat treatment are experiment in $750^\circ{C}$, $850^\circ{C}$, 15 minutes Pull-out strength of sleeving 1,500~2,300kg, hydraulic leakage is $250kg/cm^2$.

  • PDF

메틸나이트로이미다졸 유도체의 화약성능 예측분석 (Predictive analysis on explosive performance of methylnitroimidzole derivatives)

  • 임완권
    • 분석과학
    • /
    • 제28권5호
    • /
    • pp.347-352
    • /
    • 2015
  • 밀도함수 이론을 이용하여 메틸나이트로이미다졸 유도체의 생성열, 밀도 등의 화학적 특성치들을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이미다졸 링에 나이트로기를 계속적으로 치환하면 생성열과 밀도값은 증가한다. 예측된 화학적 특성치들을 이용하여 치타 프로그램으로 화약적 성능을 분석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TNT, RDX, HMX 등과 비교하였다. C-J 압력과 폭발 속도 등을 사용하여 화약 성능을 분석하면 메틸다이나이트로 유도체들은 TNT 보다는 성능이 약간 우수하며, 메틸트라이나이트로이미다졸은 RDX에 거의 버금가는 수준이다. 메틸나이트로이미다졸계 화약들은 용융점이 낮아 용융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군수나 민수 등 다양한 방면이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Nd:YAG 레이저의 근적외선과 자외선 펄스를 이용한 NiP 하드디스크 기층의 세척 (Cleaning of NiP Hard Disk Substrate Using Near-Infrared and Ultraviolet Irradiation of Nd:YAG Laser Pulses)

  • 김동식
    •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9-45
    • /
    • 2001
  • This paper introduces a cleaning process for removing submicron-sized particles from NiP hard disk substrates by the liquid-assisted laser cleaning technique. Measurements of cleaning Performance and time-resolved optical diagnostics are Performed to analyze the physical mechanism of contaminant removal. The results reveal that nanosecond laser pulses are effective for removing the contaminants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and that a thermal mechanism involving explosive vaporization of liquid dominates the cleaning process.

  • PDF

마이크로 센서 어레이 제작 및 폭발성 가스 인식으로의 응용 (Micro Sensor Away and its Application to Recognizing Explosive Gases)

  • 이대식;이덕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1호
    • /
    • pp.11-19
    • /
    • 2003
  • 폭발성 가스의 증류 및 그 양을 검지하기 위한 4 개의 개별 센서가 한 마이크로 열판 위에 집적된 센서어레이를 개발했다. 이 센서어레이는 각종 가스에 대해 다양한 감도 패턴을 가지며, SnO2를 모물질로 하는 4 개의 산화물 반도체 마이크로 가스센서로 구성하였다. 다공질에 큰 비표면적을 가진 모물질에 서로 다른 촉매를 첨가하여 감지물질을 제작함으로써 저농도에 대한 감도 및 재현성을 높였고, 센서어레이 전반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마이크로 열판은 N/O/N 박막을 가진 실리콘 기관을 이용하여, 열적 고립을 위해 Al 본딩 와이어로 공기중에 부유되어 있고, CMP 공정으로 두께를 제어하여 소모 전력을 조절하였다. 400℃에서 동작하는 센서어레이로부터 얻은 감도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 기법을 통해 폭발 하한값의 범위에서 부탄, 프로판, LPG, 그리고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폭발성 빛 유독성 가스의 증류 및 양을 신뢰성 있게 식별할 수 있었다.

섬유혼입공법을 적용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비재하 내화시험 (Fire Test of Fiber Cocktail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without Loading)

  • 염광수;전현규;김흥열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65-471
    • /
    • 2009
  • 화재시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을 막고 내부철근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섬유와 강 섬유를 동시에 사용하는 섬유혼입공법을 제안하였다. 섬유혼입공법을 40~100 MPa 고강도콘크리트 배합에 적용하여 가 열재하방법으로 열적특성을 평가한 후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부재에 내화시험을 실시하였다. 2기의 기둥시 험체를 제작하여 ISO 834 표준내화곡선에 따라 180분 비재하 내화시험을 실시하였다. 폭렬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표면 부의 색은 분홍색을 띤 회색으로 변했다. 깊이 60 mm부터 내부 콘크리트의 온도가 급감하였으며, 60분 가열 후 온도구 배는 보통콘크리트보다 5배 적은 2.2oC/mm로 측정되었다. 180분 내화시험 후의 최종온도는 모서리철근이 488.0oC, 중앙 철근이 350.9oC이며, 철근의 총 평균온도는 419.5oC이다. 모서리철근과 중앙철근의 평균온도차는 137.1oC였다. 가열 후 100~150oC부근에서 콘크리트와 철근의 온도상승추세가 변하는데 이는 강섬유와 폴리프로필렌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온도구배가 낮고, 철근으로의 수분이동과 내부 수분의 막힘현상, 그리고 수분의 기화열 때문이다.

HPLC에 의한 토양내 화약물질 정량분석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Analytical Conditions for the Quantification of Explosive Compounds in Soil using HPLC)

  • 조정현;배범한;김계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1호
    • /
    • pp.51-60
    • /
    • 2009
  • HPLC에 의한 토양내 화약물질의 분석 방법을 최적화하기 위해 현재 실사격 훈련이 진행 중인 군사격장 2곳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과 오염물질의 불균일도를 감안하여 segregation constant 와 homogeneity constant를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 화약물질의 분석을 위한 토양시료채취 최소량은 125g 이었다. 그리고 시료 전처리 과정인 추출단계에서 필요한 적정시료량과 추출액의 비율을 CV값에 근거하여 산정한 결과 토양 10g/ACN 20 mL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미국 EPA에서 지정한 화약물질 14종을 모두 분리하기 위한 HPLC의 용리 조건은 RP C18캘럼을 이용하여 칼럼온더 30${\circ}C$일 때, 이동상 구성 및 유량은 isopropanol : acetonitrile : water의 비율 18 : 12 : 70, 유량 0.80mL/min인 경우가 최적이었다. 분석파장 결정을 위해 분석 파장 230nm와 254nm에서의 화약물질 14종에 대한 검출한계 (detection limit)값과 각 화약물질의 UV/VIS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254nm보다 230nm일때가 더 적절하였다. 하지만 NB, 2,4-DNT, 2NT, 4NT및 3NT는 분석파장이 UV254nm일때 더 적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