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tropicali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유우유방염(乳牛乳房炎)에 관여(關與)하는 효모양진균(酵母樣眞菌)에 관한 연구(硏究) 1. 역학적(疫學的)인 조사(調査) (Studies on the Yeast-Like Fungi Associated with Bovine Mastitis 1. Epidemiological Study)

  • 여상건;최원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38
    • /
    • 198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yeast-like fungi in bovine mastitis. Attempts were made to isolate and identify yeast-like fungi from the milk from normal udders and those with clinical or subclinical mastitis and from feces. Also incuded in the study were trials for the pathogenicity of the isolates for laboratory animals and efficacy of an anti-fungal drug for the treatment of mastitis. A total of 133 isolates of yeast-like fungi was made from milk and feces and they were identified as Candida (C.) albicans (5 isolates), C. krusei (63 isolates), C. tropicalis (27 isolates), Torulopsis (T.) glabrata (10 isolates), Rhodotourla sp. (6 isolates), Hansenula sp. (6 isolates) and Pichia sp. (1 isolate). Sixty seven strains of yeast-like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milk of 64 quarters (4.3% of quarters examined) of 55 cows (14.3% of cows examined). C. krusei, C. tropicalis, C. pseudotropicalis, C. parapsilosis and T. glabrata were isolated as the causative agents from 20 quarters (1.3% of quarters examined) with clinical mastitis. C. krusei, C. tropicalis, C. albicans, C. pseudotropicalis, T. glabrata, Rhodotorula sp. and Hansenula sp. were isolated as the causative agents from 22 quarters (1.5% quarters examined) with subclinical mastitis. C. tropicalis, C. krusei, T. glabrata and Rhodotorula sp. were isolated as the contaminants from 22 normal quarters (1.5% of quarters examined). C. krusei, C albicans, C. tropicalis, C. pseudotropicalis, C. parapsilosis, T. glabrata, Hansenula sp., Rhodotorula sp. and Pichia sp. were isolated as the contaminants from feces and all of the species except Pichia sp. were isolated from milk of the same cows at the some time. Intramammary infusion of nystatin wa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mastitis caused by C. albicans, C. krusei, C. tropicalis, C. pseudotoropicalis, C. parapsilosis, T. glabrata and Rhodotorula sp. C. albicans, C. krusei, C. tropicalis, C. pseudotropicalis, T. glabrata, Hamsenula sp. and Pichia sp. were pathogenic for rat but C. parapsilosis and Rhodotorula sp. were not.

  • PDF

고압처리에 의한 Candida tropicalis의 불활성화 및 세포구조의 변화 (High Pressure Inactivation of Candida tropicalis and Its Effects on Ultrastructure of the Cells)

  • 손경현;장정국;공운영;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87-592
    • /
    • 1996
  • 과일쥬스의 변패에 관여하는 Candida tropicalis에 대하여 고압처리에 의한 사멸과 미생물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압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C. tropicalis의 가압사멸은 1차 반응을 따르며, $25^{\circ}C-400\;MPa$에서 D값은 1.4분이었고, z값은 100 MPa이었다. 고압처리에 의한 살균효과는 $25^{\circ}C$에서보다 $45^{\circ}C$에서 높게 나타났다. $25^{\circ}C$에서 400MPa, 10분 고압처리로 C. tropicalis는 미토콘드리아막과 세포벽이 변형되었다. 다라서 고압처리에 의한 세포막, 원형질막 등의 변형이 미생물 가압사멸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 및 항체 특성을 이용한 효모의 동정 (Differentitation of Yeast Species by Techniques of Electrophoresis and Immunodiffusion)

  • 김영남;조혜영;김정한;윤석권;변시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0-94
    • /
    • 1988
  • 본 연구는 효모를 동정하는 방법으로서 각 효모의 단백질 조성 차이와 이들 단백질의 면역학적 특성에 의한 새로운 동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S. cerevisiae, C. utilis, C. tropicalis, K. fragilis 의 4가지 효모를 배양하여 세포를 파괴시킨 다음 가용성 단백질과 막 단백질을 분리 추출하였다. 4종 효모의 가용성 단백질과 막 단백질의 조성은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실시 비교하였다. S. cerevisiae와 C. utilis 는 전기영동 pattern상 유사하였고 이들은 쉽게 C. tropicalis, K. fragilis 로부터 구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4종 효모의 가용성 단백질과 막 단백질을 토끼에게 주사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항체를 만든 후 Ouchterlony double immunodiffusion을 실시하여 형성된 precipitin line에 의한 효모의 동정을 수행하였다. 면역학적으로도 S. cerevisiae와 C. utillis의 유사성이 증명되었고 이들은 C. tropicalis, K. fragilis 와 상이함이 관찰되었다.

  • PDF

효모의 혼합 배양에 관한 연구 -제1보 혼합배양의 상호작용- (Studies on a Mixed Yeast Culture -Part 1. Interactions in a Mixed Yeast Culture-)

  • 변유량;권태완;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6-312
    • /
    • 1977
  • 탄화수소 자화성균인 C. tropicalis와 비(非)자화성인 T. cutaneum의 혼합배양에 있어서 두 효모간의 상호작용을 구명하였다. 즉 본균(本菌)인 C. tropicalis는 n-paraffin을 자화하여 증식하면서 유리지방산을 대사산물로 배양액에 축적하는 동시에 자신이 이 지방산에 의해 생육저해를 받는다. 공생균(共生菌)인 T. cutaneum은 본균(本菌)의 대사산물인 유리지방산을 탄소원으로 생육하므로써 생육저해작용을 해소하여 본균(本菌)의 증식 속도와 균체수율을 향상시키는 commensalistic system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mylase분비효모와 alcohol발효효모의 세포융합에 의한 균주의 개발 - 제3보. S. diastaticus와 C. tropicalis 간의 세포융합 및 융합체의 성질- (A study on strain improvement by protoplast fusion between amylase secreting yeast and alcohol fermenting yeast - II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sant between S. diastaticus and C. tropicalis)

  • 서정훈;권택규;홍순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59-363
    • /
    • 1986
  • 본 실험의 목적은 starch의 alcohol발효에 있어서 전분의 $\alpha$-1.4 linkage을 분해하여 alcohol발효를 하는 S diastaticus와 전분 중의 $\alpha$-1.4, $\alpha$-1.6 linkage를 모두 분해할 수 있는 C. tropicalis 간의 이속간의 protoplast fusion을 시켰다. 이때 세포 융합의 빈도는 $10^{-5}$-$10^{-6}$이였으며, 이틀 융합체중 amylase 생성능과 유전적으로 안정한 융합체를 분리하였다. fusant의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탄소원 자화능을 조사한바 parent와 달리 탄소원 자화능이 일부 보완됨을 보였고 또한 fusant는 원 parent보다 세포의 크기가 클 뿐만아니라, DNA함량도 많았다. spore형성능은 S. diastaticus A4는 spore를 형성하나 C. tropicalis는 형성할 수 없는 반면에 fusant는 형성하였고, Cu$^{++}$ 내성과 NaCl 내염성도 조사하였는데 fusant는 parent의 중간 성질을 가졌다. Fusant의 증식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육도를 조사한 결과 Parent보다 유도기가 길었음을 알았다.

  • PDF

Candida tropicalis Isolated from Tuak, a North Sumatera- Indonesian Traditional Beverage, for Bioethanol Production

  • Hermansyah, Hermansyah;Novia, Novia;Minetaka, Sugiyama;Satoshi, Harashim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1-248
    • /
    • 2015
  • Tuak is a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one of the most widely known in the North Sumateran region of Indonesia. It is produced by a spontaneous fermentation process through the application of one or more several kinds of wood bark or root, called raru (Xylocorpus wood bark or a variety of forest mangosteen), into the sap water of sugar palm (Arenga pinnata) for 2−3 days. In this research, yeast that are potentially useful for ethanol production was isolated from Tuak and identified. Based on analysis of D1/D2 domain sequence of LSU (large subunit) rRNA genes, those isolated yeast strains, HT4, HT5, and HT10 were identified as Candida tropicalis. Fermentation test of these C. tropicalis isolates displayed an ability to produce 6.55% (v/v) and 4.58% ethanol at 30℃ and 42℃,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C. tropicalis isolates more rapidly utilize glucose and obtain higher levels of the production of ethanol at the higher temperature of 42℃ than S. cerevisiae, a common yeast used for bioethanol fermentation.

효모균에 의한 젖소 유방염과 유두컵내의 오염상태 (Prevalence of yeasts in bovine mammary gland infections and teat cups of milking machines)

  • 여상건;정규영;조희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61-363
    • /
    • 1988
  • 진주근교에서 효모균에 의한 젖소의 준임상형 유방염 발생상황과 이들균의 유두컵내의 오염상태를 조사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검사분방 330개 중 12분방으로부터 효모균이 분리되어 이로인한 준임상형 유방염의 발생율은 3.6%이었다. 분리균 12주는 Candida pseudotropicalis 4주, C tropicalis 3주, C krusei 2주, C albicans 2주 및 Rhodotorula spp 1주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의 91.7%가 Candida속 균이었다. 유두컵 200개 중 20.5%로부터 C. pseudotropicalis 13주, C guilliermondii 9주, C tropicalis 7주, C krusei 5주, C parapsilosis 5주, C albicans 3주, Torulopsis glabrata 2주, Geotrichum candidum 2주 및 미동정 효모균 5주가 분리되었다.

  • PDF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 및 essential oil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Essential Oil from Pinus densiflora on Skin Pathogens)

  • 박선희;김꽃봉우리;김민지;최정수;조영제;안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6-651
    • /
    • 2017
  • 본 연구는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을 피부염 유발 균주에 적용함으로써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먼저 paper disc 법을 이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 실험에서 송엽, 송절 및 송화 에탄올 추출물은 대부분의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물 추출물은 모든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송엽 및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이 T. rubrum을 제외한 모든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송화 70% 에탄올 추출물은 C. tropicalis와 P. acens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보였다. 소나무 essential oil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C. albicans, C. tropicalis, T. rubrum에 대해 1.5~3 mm 정도의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나무 부위별 70% 에탄올 추출물에 활성을 나타내었던 피부염 관련 균주 6종에 대한 최소생육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송엽 70% 에탄올 추출물은 C. tropicalis 및 P. acnes에 대하여 0.002%와 0.0063%의 낮은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은 0.003% 농도에서 P. acnes의 생육을 억제하여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소나무 essential oil의 최소생육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0.025% 농도에서 C. albicans와 C. tropicalis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엽 essential oil은 C. albicans, C. tropicalis, T. rubrum에 대해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나무 부위 중 송엽과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뛰어났으며, 특히,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에 대해 더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나무 송절과 송엽 에탄올 추출물과 essential oil은 Candida 속과 P. acnes에 대한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나 이와 관련한 피부질환 개선에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Candida tropicalis PW-51을 이용한 페놀수지 폐수의 처리 (Treatment of Phenolic Resin Wasterwater by Candida tropicalis PW-51)

  • 김성빈;김희식;오희목;윤병대;김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7-241
    • /
    • 1999
  • 페놀수지 폐수는 41,000 mg/l 의 페놀과 2,800 mg/l 의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고 있어 직접적인 생물학적 처리가 어렵다. 자연계에서 분리된 Candida tropicalis PW-51 은 100 mg/l 이하의 포름알데히드 존재하에서 1,000 mg/l 의 페놀을 분해하였으나 포름알데히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놀분해는 저해되었다. 페놀수지 폐수를 1/40 희석하였을 때 페놀류 화합물 농도가 882 mg/l 이었는데, 회분배양 후 페놀농도는 81 mg/l로 약 91% 분해되었다. 폐수를 1/40, 1/20 희석한 후 C.tropicalis PW-51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연속처리한 결과 페놀류 화합물은 92% 까지 분해되었다. 그러나 1/10 희석된 폐수에서는 초기 페놀류 화합물 농도가 2,875 mg/l로 높아 생물학적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균체가 사멸하였다. 1/40, 1/20 희석된 페수의 생물학적 처리후 잔류 페놀류 화합물을 흡착처리한 결과 최종 처리수에서 페놀류 화합물의 농도는 1 mg/l 이하로 총 페놀제거효율은 99.9%에 달하였다.

  • PDF

Candida tropicalis arthritis of the elbow in a patient with Ewing's sarcoma that successfully responded to itraconazole

  • Kim, Seung-Youn;Lim, Jung-Sub;Kim, Dong-Hwan;Lee, Hyeon-Jeong;Cho, Joong-Bum;Lee, Jun-Ah;Kim, Dong-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9호
    • /
    • pp.385-388
    • /
    • 2011
  • Fungal infections are rarely responsible for arthritis. Few cases of fungal arthritis have been reported, even in immunocompromised hosts susceptible to low-virulence organisms. Herein, the authors report the first case of Candida tropicalis arthritis in a child with a solid tumor. A 13-year-old boy with Ewing's sarcoma developed arthritis in his elbow during the neutropenic period after chemotherapy. Despite treatment with broad-spectrum antibiotics, his condition did not improve and serial blood cultures failed to reveal any causative organisms. After surgical drainage, culture of the joint fluid revealed the presence of C. tropicalis. Itraconazole treatment was started and after 3 months of therapy, the patient completely recovered full elbow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