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DAR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디지털 정보자원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설정 연구 (A Study on P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 홍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5-204
    • /
    • 2004
  • 디지털 정보자원은 장기적 보존 및 다음 세대로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상세한 베타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정보자원의 특성과 디지털 보존의 개념, 디지털 정보자원의 장기 보존과 접근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필요성을 조명하였다. 디지털 정보자원을 위한 상호운용적인 보존 베타데이터 개발에 근거가 되고 있는 OAIS 참조 모형을 살펴보았다. 이어 실제 OAIS 참조 모형을 적용한 CEDARS, NLA, NEDLIB, OCLC/RLG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그 개발 과정, 목적 및 메타데이터 요소 세트를 각각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정보자원의 장기 보존과 접근을 위한 상호운용성을 갖춘 보존 메타데이터의 기본적인 요소 세트 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Cedar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Determined by Gated Tl-201 Perfusion SPECT and Quantitative Software)

  • 현인영;김성은;서정기;홍의수;권준;박금수;이우형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2-227
    • /
    • 2000
  • 목적: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Cedars 소프트웨어로 구혈률을 측정하고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으로 얻은 구혈률과 비교하여 상관과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8명을 대상으로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을 촬영하였다. 게이트 관류 SPECT를 재구성하고 Cedars 소프트웨어로 구혈률을 측정하였다.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으로 얻은 구혈률의 상관을 분석하고 Bland Altman 도표를 그려 일시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43%{\pm}14%$)보다 게이트 Tl-201 관류 SPECT로 측정한 구혈률($40%{\pm}14%$)이 유의하게 작았고(p<0.05), 상관은 좋았다(r=0.94). Bland Altman 도해에서 두 방법의 일치도에 대한 95% 신뢰도를 나타내는 2표준편차에 상당하는 범위는 ${\pm}9.8%$로 작지 않았다. 결론: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심장 혈액풀 스캔으로 측정한 구혈률의 상관은 좋았으나 일치도에 대한 넓은 오차 범위 때문에 구혈률 측정에 두 검사 방법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는 없었다.

  • PDF

DNA Microarray Analysis of Immediate Response to EGF Treatment in Rat Schwannoma Cells

  • OH, Min-Kyu;Scoles, Daniel R.;Pulst, Stefan-M.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5호
    • /
    • pp.444-450
    • /
    • 2005
  •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ctivates many intracellular effector molecules, which subsequently influence the expression levels of many genes involved in cell growth, apoptosis and signal transduction, etc. In this study, the early response of gene expressions due to EGF treatment was monitored using oligonucleotide DNA microarrays in rat schwannoma cell lines. An immunoblotting experiment showed the successful activation of EGF receptors and an effector protein, STAT5, due to EGF treatment. The microarray study showed that 35 genes were significantly induced and 2 were repressed within 60 min after the treatment. The list of induced genes included early growth response 1,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 3, c-fos,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1 and early growth response 2, etc. According to the microarray data, six of these were induced by more than 10-fold, and showed at least two different induction patterns, indicating complicated regulatory mechanisms in the EGF signal transduction.

Three-Dimensional Video Microscopy: Potential for Improved Ergonomics without Increased Operative Time?

  • Yasmina Samaha;Edward Ray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125-129
    • /
    • 2023
  • Three-dimensional (3D) video exoscopes are high-magnification stereo cameras that project onto monitors mounted in the operating room, viewable from different angles. Outside of plastic surgery, exoscopes have been shown to successfully improve the ergonomics of microsurgery, though sometimes with prolonged operating times. We compare a single surgeon's early experience performing free flap procedures from 2020 to 2021 using either a binocular microscope or a 3D video exoscope. Ten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the standard operating microscope and 8 procedures with the 3D exoscope. The microsurgeon, having minimal prior experience using an exoscope, reported less neck discomfort following the free flap procedures performed with the exoscope compared with the binocular surgical microscope. Total average operating time was comparable between the standard surgical microscope and the 3D exoscope (13.7 vs. 13.4 hours, p = 0.34). Our early experience using a 3D exoscope in place of a standard optical microscope demonstrated that the exoscope shows promise, offering an ergonomic alternative during microvascular reconstruction without increasing overall operating times. Future studies will compare free flap ischemia time between cases performed using the exoscope and the conventional binocular microscope. Medical Subject Headings authorized following words: free tissue flaps; operating rooms; ergonomics; microsurgery.

게이트 Tc-99m-MIBI SPECT와 Cedar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심근 기능 측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of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Function Using Gated Tc-99m-MIBI SPECT and Quantitative Software)

  • 이동수;천기정;안지영;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3-413
    • /
    • 1998
  • 목적: 좌심실의 부피와 구혈률을 Cedars 소프트웨어로 구하였을 때 정량한 값과 심근벽운동과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을 등급으로 평가한 방법의 재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3명의 무작위 추출된 환자를 상대로 통상의 이중동위원소 휴식/부하 심근관류 SPECT 때 부하 Tc-99m-MIBI 게이트 SPECT를 촬영한 후 이어서 같은 자리에서 게이트 SPECT를 한번 더 촬영하였다. 재구성한 후 Cedars 소프트웨어로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 부피, 구혈률을 측정하여 연속 측정의 재현성을 평균변이계수와 Bland Altman 도표를 그려 분석하였다. 벽운동을 5등급으로 점수를 매겨 연속촬영한 영상의 판독 재현성을 조사하였다. 심근벽의 수축기 두꺼워짐을 역시 4등급으로 점수를 매겨 판독 재현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부피는 평균변이계수가 5.0 ml, 3.9 ml이고 구혈률의 평균변이계수는 1.9%이었다. 2표준편차 범위는 확장기말 부피는 18 ml, 수축기말부피는 17 ml이었다. 심근벽운동과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은 kappa 값이 0.7로 판독재현성이 우수하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로 같은 환자를 같은 위치에서 두 번 연이어 게이트 심근 Tc-99m-MIBI SPECT를 촬영할 때, 우리가 산출한 변이가 우수하고 약물효과를 판정할 때 기준으로 삼을 오차범위를 어느 정도로 정해야 하는지 확립하였다.

  • PDF

Differences in Incidence, Mortality and Survival of Breast Cancer by Regions and Countries in Asia and Contributing Factors

  • Kim, Yeonju;Yoo, Keun-Young;Goodman, Marc 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7호
    • /
    • pp.2857-2870
    • /
    • 2015
  • Although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Asia remains lower than in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and Oceania, rate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during the past few decades, and Asian countries now account for 40% of breast cancer cases diagnosed worldwide. Breast cancer mortality has also increased among Asian women, in contrast to decreased mortality in Northern America, Western Europe, and Oceania. These increased rates are associated with higher prevalence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e.g., reduced parity, delayed childbirth, increased obesity) that have accompani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out the region. However, Asian regions (western, south-central, south-eastern, and eastern) and countries differ in the types and magnitude of changes in breast cancer risk factors, and cannot be viewed as a single homogeneous group.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contrast the heterogeneous epidemiology of breast cancer by Asian regions and countries, and to suggest potenti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디지럴 아카이빙 최근 연구동향 및 OAIS 참조모형에 관한 연구 (Research Trends in Digital Archiving and the OAIS Reference Model)

  • 김희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41
    • /
    • 2003
  • 디지털 아카이빙과 관련하여, 특히 전자기록물의 영구보존용 중심으로 국내외에서 완료되었거나 현재 수행 중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정리한다. 특히, 2002년 1월에 국제표준으로 확정된 OAlS 참조모형을 중심으로 모형 내 주요기능에 대하여 알아본다. OAlS 참조모형이 전자기록물 영구보존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국내의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서도 살펴본다.

심근 기능 측정에 사용된 게이트 심근 관류 SPECT 방법의 재현성 평가: $^{201}Tl$$^{99m}Tc$-MIBI 게이트 SPECT의 비교 (Reproducibility of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for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Function: Comparison with Thallium-201 and Technetium-99m-MIBI)

  • 현인영;서정기;홍의수;김대혁;김성은;권준;박금수;최원식;이우형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81-392
    • /
    • 2000
  • 목적: Cedars 소프프웨어를 이용한 게이트 SPECT에서 $^{201}Tl$$^{99m}Tc$-MIBI 게이트 SPECT 두 방법으로 측정한 좌심실 부피와 구혈률의 재현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휴식 $^{201}Tl$/부하 $^{99m}Tc$-MIBI 심근 관류 SPECT를 촬영한 환자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30명은 같은 자리에서 휴식 $^{201}Tl$ 게이트 SPECT를, 26명은 부하 후 $^{99m}Tc$-MIBI 게이트 SPECT를 한번 더 촬영하였다. Cedar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연속해 측정된 좌심실 부피와 구혈률에 대하여 표준편차의 기하학적 평균과 Bland Altman 도표를 이용한 방법으로 $^{201}Tl$$^{99m}Tc$-MIBI 게이트 SPECT 방법의 재현성을 각각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연속 촬영한 $^{99m}Tc$-MIBI 게이트 SPECT로 얻은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 부피, 구혈률에 대한 Bland Altman 도해의 2 표준편차에 상당하는 범위는 14.1 ml, 9.4 ml, 5.5%로 연속 촬영한 $^{201}Tl$ 게이트 SPECT로 얻은 24.1 ml, 18.6 ml, 10.3%보다 좁았다. 또한, 연속 촬영한 $^{99m}Tc$-MIBI 게이트 SPECT로 얻은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 부피, 구혈률에 대한 표준편차의 기하학적 평균은 2.1 ml, 2.7 ml, 2.3%로 연속 촬영한 $^{201}Tl$ 게이트 SPECT로 얻은 3.2 ml, 3.5 ml, 5.2% 보다 작았다. 결론: 같은 환자를 같은 위치에서 두번 연속하여 촬영한 게이트 SPECT로 평가한 심근기능의 재현성은 $^{99m}Tc$-MIBI게이트 SPECT 방법에서 더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기간별 변동과 약제의 효과를 보기 위한 좌심실 부피와 구혈률 측정에서 $^{201}Tl$보다는 $^{99m}Tc$-MIBI 게이트 SPECT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