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O Turnov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기관의 경영자 교체유형과 이익조정 행태와의 관련성 (Earnings Management Associated with Types of CEO Turnover in Public Institutions)

  • 장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13-221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경영자 교체유형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영자 교체상황을 전임경영자의 퇴임과정(강제적/자발적)과 신임경영자의 영입과정(전문가/비전문가)을 결합적으로 고려하여 4가지의 교체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경영자 교체상황별로 이익조정의 행태가 상이하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자 교체유형에 따라 교체년도의 이익조정 행태가 달리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임경영자가 임기 중에 교체되면서 새로 영입된 경영자가 해당 분야의 전문성이 있는 경우에 이익의 하향조정이 관찰되었다. 이는 신임경영자가 교체년도에 악재를 모두 털어내고 부진한 경영성과에 대한 책임을 중도 퇴임한 전임경영자에게 전가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경영정상화가 중요시되는 현 상황에서 전임 및 신임경영자의 교체유형에 따라 이익조정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공공기관의 경영자 결정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병원 CEO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Turnover (The Impact of Hospital CEO Leadership Behavior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in Korea)

  • 박재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8
    • /
    • 2006
  •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in various environmental fluctuations is a large and complex problem. Hospital CEO leadership characteristics may be a critical determinant of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Several empirical studie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Very little research related to this subject has been done in health care settings in Korea. The autho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CEO leadership style and its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all staffs of general hospital. The relationship of hospital CEO leadership style to employees' job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 Bass's leadership paradigm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MLQ) and the index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completed by 493 hospital employees(doctors, nurses, hospital administrators, technicians, and assistants). The findings show a similar trend to the previous studies. Hospital CEO leadership behaviors and employee outcom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orrelation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ose hospital CEO exhibiting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staff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charisma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is more higher than other variabl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may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and have a greater effect on staff outcomes, attitudes and behavi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hospital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CEO's leadership style and subordinate behaviors in the context of CEO's desirable role and function for hospital strategy planning and future direction.

2009년 전후 전국 지역농협의 경영성과 차이 분석 - 조합장 교체 및 상임이사제도 운영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Difference of Management Performance around 2009 in Korean Agricultural Cooperatives - Focused on the Result of CEO Election and Specialized Executives Director -)

  • 이현창;박태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21-36
    • /
    • 2016
  • 본 연구는 2009년을 전후하여 전국의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당기순이익 변화분 등을 중심으로 재무성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농협 최고경영자인 조합장선거결과를 활용하여 2009년도를 전후선거결과와 재무성과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거실시로 인한 조합장 교체가 강압적 교체의 한 유형으로 가정할 때, 선거 이전의 경영성과 악화가 조합장 교체로 이어졌을 유의한 가능성이 있음을 프라빗 분석으로 통해 확인하였고, 상임이사 제도를 운영 중인 조합의 조합장 교체가 있을 경우 (+)의 재무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지유형에 따른 농촌형과 도시형 조합으로 분류하였을 때 2009년을 전후하여 농촌형 조합의 당기순이익의 유의한 개선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간이 다소 지난 2009년 전후의 지역농협 재무분석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ROE, ROA등 일반적 경영성과 분석 자료가 아닌 당기순이익의 증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농협의 전국단위 분석으로 2015년 전국조합장 동시선거 결과와의 연계분석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PDF

경영자교체가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EO Turnover on Stock Returns)

  • 이해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526-25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382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최고경영자의 교체가 주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자료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최고경영자의 교체가 주가수익률 상승으로 이어지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고경영자교체는 주가수익률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장부가치/시장가치 비율, 순이익/주가 비율, 현금흐름/주가 비율, 기업규모 등은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채비율과 매출액 성장률은 경영자 교체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병원 병원장의 리더십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ecialty Hospital CEO Leadership Style on Hospita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 이철우;이재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4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leadership in the hospital managem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 of the specialty hospital CEO's leadership on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hospital CEO's leadership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The questionnaires of the survey targeting the 99 specialty hospitals were collected that 786 copies of them were utilized in analysis. The major outcome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pecialty hospital CEO generally has the greater impact on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an his transactional leadership. Secondly, the most important sub-variable of specialty hospital CEO leadership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mployees are charisma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ntingent reward of transactional leadership. Thirdly, the sub-variable of specialty hospital CEO leadership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is the active management-by-excep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Fourthly, the sub-variables i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employees play mostly the partial mediation role between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and the leadership of a specialty hospital CEO. This means that the mor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pecialty hospital employees improves, the more the customer orientation does. Thus, specialty hospital CEO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sub-variabl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as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of the employees. To explore further the nature of the effect of hospital leadership in the future, apart form the variables of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us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through the leadership of the specialty hospital CEO, the research to identify other factors which have greater influence and explanatory power will be needed.

공기업의 임원교체와 중도퇴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Performance of Korean State-owned Enterprises Following Executive Turnover and Executive Resignation During the Term of Office)

  • 유승원;김수희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3호
    • /
    • pp.95-131
    • /
    • 2012
  • 본 연구는 정부가 공기업으로 지정한 24개 기관의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를 대상으로 공기업의 임원교체와 중도퇴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영성과의 대리변수로 총자산수익률의 변화 및 산업조정 총자산수익률의 변화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공기업의 공공성은 배제하고 기업성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의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매년 평균 45.1%의 CEO가 교체되었으며, CEO의 평균 재임기간은 2년 3개월이었고 교체된 CEO 중 절반인 49.9%의 인사가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중도퇴임하였다. 감사의 경우 매년 평균 46.1%의 인사가 교체되었으며, 평균 재임기간은 2년 2개월이고, 교체 인사 중 중도퇴임한 인사는 51.0%였다. 비상임이사의 경우 매년 38.2%의 인사가 교체되었으며, 평균 재임기간은 2년 7개월이고, 교체 인사 중 25.4%가 중도퇴임하였다. CEO는 3년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중도퇴임한 사례가 많으며, 감사와 비상임이사의 경우 "공공기관의운영에관한법률"에 의해 임기가 3년에서 2년으로 줄어든(2007년 4월 이후 취임 인사부터 적용)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 감사가 임기 도중 퇴임하였고, 비상임이사는 대체로 임기를 마친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전년도 경영성과 부진을 이유로 공기업 임원이 교체되거나 중도퇴임하는 통계적 증거를 찾지 못했다. 오히려 예상과 달리 비상임이사가 중도퇴임한 공기업의 전년도 경영성과가 그렇지 않은 공기업의 경영성과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공공기관의운영에관한법률" 또는 과거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등에서 경영실적 부진 등을 사유로 해임하는 해임 관련 규정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정치적 동기 등 비경제적 요인에 의해 교체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고정효과모형에 의한 분석 결과, 공기업 CEO와 비상임이사가 임기 종료 이전에 중도퇴임할 경우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CEO의 중도퇴임은 총자산수익률 변화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고, 비상임이사의 경우 중도퇴임은 산업조정 총자산수익률 변화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고(高)성장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고성장 더미변수는 경영성과에 대체로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고성장 공기업의 CEO가 교체되거나 중도퇴임하는 경우 고성장 더미변수의 효과는 상쇄되며 총자산수익률과 산업조정 총자산수익률 모두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공기업 경영실적평가 등 객관적이고 경제적인 기준에 의해 임원을 교체하지 않고, 임원의 법정 임기가 충실히 지켜지지 않아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PDF

국내농협 경영성과 변화와 최고경영자 교체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Change of Korean Agricultural Co-operatives around CEO turnover)

  • 이현창;박성택;송교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175-185
    • /
    • 2017
  • 이 논문은 지역농협의 경영성과 변화가 2015년에 실시된 전국조합장선거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2015년 최초로 실시된 전국 조합장 선거 이전의 경영성과 데이터 (2012년에서 2015년까지)와 선거결과를 기반으로 2SLS Probit 회귀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재임 중인 조합장 교체에 미치는 유의한 변수들은 후보자 나이, 전년도의 순이익감소 그리고 유사규모의 자산을 가진 그룹의 평균 ROA등 이었다. 국내농협의 조합원들이 조합장의 나이가 60세 이상인지, 순이익 규모가 전년대비 감소하였는지를 비교하면서, 유사한 자산규모를 가진 그룹의 평균 ROA가 높을수록 교체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M&A 과정에서 직급별로 인지하는 조직정치와 이직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urnover Intention by Position in the Mergers and Acquisitions)

  • 정병호;이재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05-11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politics, resistance change,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during mergers and acquisitions. Recently, many companies are interested in mergers and acquisitions for business diversification and market extension. A merger is a legal consolidation of two entities into one, whereas an acquisition occurs when one entity takes ownership of another entity's stock, equity interests, or assets. This research model establish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model is set i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organizational politics, peer organizational politics, and change resistance and the change resistance has a causal relationship of turnover and tissue immers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test different of organizational politics by position. Research results, the organizational politics of managers and colleagues have shown increasing change resistance. The change resistance has resulted in a reduc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 increase of turnover intention. Next, the 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op management level, middle management level, and working-level officials showed different organizational politics. The working-level officials are influenced by their manager politics and are influence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by change resistance. The middle manager level is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politics of bosses and colleagu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weakened by change resistance. The CEO level is not affect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in the company, but the turnover intention is strengthened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weakened by the change resistance.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further updating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politics based on mergers and acquisitions. As a practical implication, we suggest an organizational integration strategy for a new organization.

기업내 임원의 자발적 이직에 관한 이론적 모형 (A Theoretical Model of Executive Voluntary Turnover)

  • 최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73-184
    • /
    • 2021
  • 현대 조직에서 고위급 임원들의 이직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에서는 임원들의 비자발적 이직/퇴직의 함의에 대한 연구에 치중해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탈피하기 위해, 조직원 이동과 창업자 연구에 기반하여 임원들의 자발적 이직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언한다. 첫째, 최고경영자로 창업자가 된 경우 기존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나, 두 기업이 협력적 관계가 형성될수록 부정적 관계는 줄어들 것이다. 둘째, 스핀오프의 경우 기존 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나, 스핀오프 기업의 성과가 저조할수록 긍정적 관계는 약화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쟁사로 이직하는 경우에는 부정적, 협력사로 이직하는 경우에는 긍정적 영향을 기존 기업의 성과에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원들의 자발적 이직이 기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임원들의 향후 활동 양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