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G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초

천마구등음가미방(天麻鉤藤飮加味方)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unmagudeungeumgamibang on Hypertension)

  • 김은혜;안정조;조현경;유호룡;설인찬;김윤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76-1184
    • /
    • 2007
  • Chunmagudeungeumgamibang(CGE)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as a therapeutic agent for acute stage of cerebrovascular disease and hypertension in oriental medicine. But the effect of CGE on hypertension and vascular system is not well-known.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GE on hypertens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 CGE showed a safety in cytotoxicity and toxicity of liver. CGE showed scavenging activity on DPPH free radical. CGE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ROS and ACE. CG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lood pressure and pulse in DOCA-salt hypertensive rat. CG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aldosterone in DOCA-salt hypertensive rat. CG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dopamine, epinephrine in DOCA-salt hypertensive rat. CG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potassium and chloride in DOCA-salt hypertensive rat. CG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calcium in DOCA-salt hypertensive ra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GE might be effective i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ypertension

감초와 강황 추출물 첨가에 의한 식빵의 저장성 및 품질 증진 효과 (Effect of Extract from Glycyo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 이소영;최정수;최미옥;조선희;김꽃봉우리;이우헌;박선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12-918
    • /
    • 2006
  • 감초와 강황 물 추출혼합물을 0.5%, 1%, 5%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성은 추출 혼합물 5%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약 24시간정도 연장되었으며, 산화도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있어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었다. 수분함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추출혼합물 처리구가 약 4%정도의 적은 변화인 반면 무처리구는 16%정도로 그 변화폭이 컸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전체적인 호감도에서 0.5%와 1% 첨가구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5% 첨가구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초와 강황 추출물을 1%정도 첨가할 경우 저장성, 품질증진 및 관능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규모의 경제와 탄소세의 경제적 효과: CGE모형을 이용한 분석 (Scale Economies and The Effects of A Carbon Tax on Korean Economy : A Cournot-Walrasian CGE Simulation)

  • 신동천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9권5호
    • /
    • pp.973-997
    • /
    • 2000
  • The carbon tax is one of several measures to reduce the green-house gases emitted from burning the fossil fuels, which has been much discussed internationally. The analyses of the effects of a carbon tax on individual countries have been carried out by applying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models, especially models with the assumption of non-existence of scale economi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scale economies to CGE models changes the simulation results drastically. In this paper, two CGE models are used to compute and compare the economic and $CO_2$ reduction effects of a carbon tax, one of with is the model with scale economies and the other is without scale economies. One of main results is that the analysis using the CGE model without scale economies may underestimate the effects of a carbon tax on GDP and reducing the emission of $CO_2$.

  • PDF

발전수단 전환이 우리나라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Impact Analysis of Transition i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on a National Economy and Environmental Level in Korea: a Recursive CGE Modeling Approach)

  • 이민기;김홍배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67-86
    • /
    • 2018
  •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impacts of transition i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on a national economy and environmental level in Korea using a recursiv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model. In particular, the paper presented a hybrid model combining the top-down CGE model with the bottom-up model which describes the structure of electricity production in detail. The impacts were analyzed by two policy scenarios base on the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ro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 result, the paper specifically showed that there exists a trade-off relationship in the policy-making between economic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level. The paper also suggested that the transition i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should be done more gradually and carefully.

동태CGE모형을 이용한 한·일FTA와 한·중FTA의 경제적 효과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Economic Impacts of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using a Dynamic CGE Model)

  • 고종환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423-4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 일FTA와 한 중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게 될 영향을 "동태(動態)CGE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한 일FTA와 한 중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는 대부분 정태(靜態)CGE모형을 이용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를 보면, 한 중FTA가 한 일FTA보다 한국의 총수출을 더 크게 증가시키면서 한국 경제성장에 더 많이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한 일FTA와 한 중FTA가 한국에 무역수지 적자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지만 무역적자 규모는 한국의 교역규모에 비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일FTA와 한 중FTA가 한국의 산업별 생산 및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주요 산업에서 보완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상호 부정적 효과를 상쇄시키거나 긍정적 효과를 배가 시킬 것으로 전망되어 한 일FTA와 한 중FTA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차후 한 일FTA와 한 중FTA 협상이 진행되고 FTA의 이행안이 확정되는 경우, 한 일FTA와 한 중FTA의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행안의 시기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수 있고 또한 국제자본의 이동과 자본의 소유를 반영하면서 국내투자는 물론 외국투자가 개별 국가의 투자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자본축적과 생산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동태CGE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흰쥐 초기발생에서 배아막의 미세구조적 특징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eimplantation Embryonic Envelope in the Rat)

  • 홍순갑;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157-163
    • /
    • 1998
  • 흰쥐의 배아발생 동안에 피질반응 후 배아 외부에 새롭게 형성된 피질과립막 (cortical granule envelope, CGE)이 존속하는지 여부와 투명대와 배아표면의 미세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흰쥐배아의 투명대와 배아표면의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피질과립막 형성과 분포는 Ulex europaeus agglutinin I lectin을 표지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배아표면은 미수정란 과는 다르게 배아표면의 미세융모가 단축된 특징을 보였고, 8-세포기 배아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는 CGE에 의해 덮여 있다. 투명대의 구조 역시 미수정난자에 존재하는 구조와는 다른 특징을 나타냈고, 특히 투명대의 섬유성 미세공 구조가 거칠어지고 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위란강에 피질반응에 의한 피질과립막이 형성되어 배아발생 동안에 존속하였으나 수정란보다는 엷고 국소적인 분포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흰쥐 초기 배아 발생 동안에는 배아 외부에 피질과립막이 존속하고, 수정시에는 투명대 경화 뿐만 아니라 피질반응에 의해 투명대의 미세구조와 배아표면의 구조도 변화됨을 알 수 있다.

  • PDF

UML 다이어그램 도구를 위한 다이어그램 정보의 구축과 설계 (A Design of Constructing Diagram Repository for UML Diagram Tools)

  • 김윤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44-25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UML 다이어그램의 정보를 구문적으로 분석하여 클래스들의 정보를 구조적으로 구축하는 정보 저장소인 '메타 클래스 레포지토리 (MCR)'의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구문적으로 분석된 클래스의 정보를 구조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수퍼 클래스인 '메타 클래스 (meta-class)'를 정의하고, 이들 메타 클래스들의 컬렉션으로 구성된 레포지토리를 구축하여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MCR이 보유하고 있는 메타 클래스 정보에 기반하여 클래스에 상응하는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코드 생성 엔진 (CGE)'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코드 생성 엔진의 로직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클래스에 대한 정보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문 규칙이 합법적으로 조합되어 코드가 생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에 MCR과 CGE가 통합적으로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GR의 동작 메커니즘에 대한 알고리즘을 유한 상태 머신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CGE의 로직을 형식화하여 표현함과 동시에 구현 상의 용이함을 취할 수 있게 하였다.

Measuring Korea's Industry-level Productivity Change Due to Tariff Cuts using a CGE Model

  • Roh, Jaewhak;Roh, Jaeyou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3호
    • /
    • pp.48-64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ariff cuts on productivity in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 effect of initial productivity level before tariff cuts on productivity improvement after tariff cuts. We also attempted to identify whether import-driven or export-driven factors are more important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especially in low productivity industries. Design/methodology - Since tariff reduction is a policy decision that can affect cross-industry, its impact is spread across all industries beyond the scope of a single firm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network of industry structure. Accordingly, we proposed a new method to measure the change in productivity to reflect the impact of tariff cuts across industries. Through an Armington CGE analysis, changes in endogenous variables can be directly measured after the exogenous shock of tariff reduction, and the amount of movements in productivity triggered by tariff cuts can also be calculated. We can thus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xogenous policy, such as tariff cut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nchmark and counterfactual values of endogenous variables. Findings - This study confirmed that tariff reduction positively affected productivity improvement in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It also confirmed that productivity gains occur in Korea's leading export industries. Finally, greater productivity gains were recorded in the group with additional high-export-share or high-import-share conditions for low productivity industries. These results are, in a limited sens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studie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ports and imports on productivity improvement, especially for low productivity industries. Originality/value -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CGE studies, which measure the industry-level change in productivity with dummy coefficients, in terms of directl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productivity. In addition, we propose that the Armington CGE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Melitz CGE model to directly measure the productivity after tariff cuts. This is because the Melitz CGE model assumes the given specific productivity density, which does not change after an overall drop of tariff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approach to directly calculating productivity by reflecting the impact of tariff reduction across industries through CGE analysis, is unprecedented in this literature.

Antibacterial and therapeutic effects of a combination of Coptidis rhizoma and Galla rhois extracts in piglets challenged with Campylobacter coli

  • Lee, Soo-Mi;Cho, Byung-Wook;Yoo, Chang-Yeol;Kim, Suk;Son, Song-Ee;Lee, Hu-Ja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59-262
    • /
    • 2015
  •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a combination of Coptidis rhizoma and Galla rhois extracts (CGE) were evaluated in piglets.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CGE was 2.0 mg/mL. Thirty 5-week-old piglets were challenged with Campylobacter (C.) coli after allocation to three different groups, a control and two treatment groups fed with CGE at 2.0 or 4.0 g/kg feed for 7 days. On day 7, C. coli in the feces of the CGE-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p < 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GE can be used to control C. coli in piglets.

CGE모형 추정결과를 이용한 국가 R&D 투자 우선순위 설정 (Prioritization of National R&D Investment Using Estimation Results by CGE Model)

  • 임병인;안승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3호
    • /
    • pp.57-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GE(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모형을 이용하여 28개 산업별 R&D투자액의 GDP 파급효과를 추정한 뒤, 그 결과로써 GDP의 R&D투자탄력성을 계산하여 산업별 R&D 투자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우선순위는 28개 대분류 산업 중 전체 연구 개발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미만인 16개 산업을 제외한 12개 산업에 대해서만 적용해 보았다. 먼저 GDP의 R&D투자 탄력성에 근거한 우선순위는 제1차 금속제품, 화학제품, 음식료품,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금속제품, 정밀기기, 전력 가스 및 수도, 일반기계, 통신 및 방송, 건설, 사회 및 기타 서비스, 부동산 및 사업 서비스 순이었다. GDP의 R&D투자탄력성에 근거한 순위설정은 비교적 우리나라 산업들의 현황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조 지표인 2030년 기준 균형 대비 GDP 증가율에 근거한 우선순위 역시 판정기준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두 개의 우선순위 기준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R&D예산투자방향 및 기준 설정과 주요 사업별 예산배분 방향에 좋은 판정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