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BITIDA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꾸리과(Cobitidae) 어종의 분자동정 모니터링 (Genetic Identification Monitoring of Cobitidae Distribution in Korea)

  • 김현석;신지영;양준호;차은지;양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42-750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monitor the distribution of Cobitidae in Korea by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using 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genetic analysis, Cobitidae species in four of five domestic fish farms consisted of only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but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was also present it in one fish farm. In the case of imported Cobitidae species, in addition to Chinese muddy loach and muddy loach, the harmful species Paramisgurnus dabryanus, was also present. Chinese muddy loach accounted for 20%, 67%, and 60% of the S6, S7, and S8 samples, respectively. An analysis of the total length, body length, and weight showed that domestic Chinese muddy loach showed higher values than imported muddy loach, and imported Chinese muddy loach showed similar values to P. dabryanu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three species. Thus,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sequence was analyzed and compared the verification of species identification. The three species of Cobitidae were genetic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determined to have genetic differen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heterogeneous mixing rate through discriminating species by genetic analysis.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7. 새코미꾸리의 mtDNA 분석에 의한 종분화 연구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7. A Study on Mitochondrial DNA Differentiation and Speciation in Korean Cobitid Fish, Cobitis rotundicaudata)

  • 김재흡;민미숙;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21-27
    • /
    • 1997
  • 한국 고유종인 새코미꾸리(Cobitis rotundicaudata)의 집단간 유전적 차이에 따른 종 분화 여부를 밝히고자 4개집단을 대상으로mitochondrial DNA(mtDNA)의 RFLP분석을 실시 하였다. C. rotundicaudata mtDNA를 10개의 6-base cutting 제한요소로 처리한 다음 그 절 편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4개 집단 공히 mtDNA의 전체 genome 크기는 약 16.5$\pm$ 0.5Kbp였으며 공통절편수(F)에서 한강 2개 집단(가평, 진부)과 동해안 마읍천 짐단간의 F값 은 0.911로 매우 가까웠으나 낙동강의 산청집단은 타 3개 집단과 F=0.375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염기치환율(p)에 있어서도 한강 2개 집단 및 마읍천 집단간은 평균 p=0.005로 매우 유 사하였으나, 산청 집단은 타 집단들과 염기치환율에 있어 p=0.059로 종수준의 뚜렷한 차이 를 나타내어서 이들은 각각 별종으로 사료된다.

  • PDF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의 분석에 의한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Cobitidae)의 계통 (Molecular Phylogeny of Korean Loach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Sequences)

  • 김소영;김익수;장광엽;장미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3-229
    • /
    • 2000
  •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계통유전학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8종의 mitochondrial cytochrome b의 유전자 서열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이전의 형태학적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종개속 Orthrias과 쌀미꾸리속 Lefua의 분류학적 위치는 미꾸리과 Cobitidae와 paraphyletic group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속의 sequence divergence는 0.184~0.272으로 나타나 미꾸리과와 잉어과 사이의 divergence와 유사하였다. 한편 참종개속 Iksookimia 2종과 북방종개 Cobitis melanoleuca는 각각 다르게 분화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또한 중국산 미꾸리와 한국산 영덕 미꾸리의 sequence divergence는 0.099로 종간의 divergence를 보여주어 주목되었다. 미꾸리과 어류 가운데 참종개속의 일부 어류는 분류학적 위치로 보아 이들의 기원이 미꾸리과의 속간 잡종기원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미꾸리과 Cobitidae(잉어목) 어류의 정자 미세구조 (Fine Structure Spermatozoa of Cobitidae(Pisces : Cypriniformes) from Korea)

  • 박종영;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4-83
    • /
    • 1996
  • 미꾸리과 어류의 6속 12종의 정자에 대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미꾸리과 어류의 정자는 첨체가 없고 머리(핵)와 짧은 중편, 그리고 하나의 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중으로 배정되는 무첨체 수중형의 정자형태(anacrosomal aquasperm)을 보였다. 그러나 Nemacheilus toni는 발생도중에 핵에 침체의 흔적적인 acrosomal vesicle이 존재하였으며, N. toni의 정자의 핵은 방추형이었으나 나머지 미꾸리과 어류는 거의 원형이었다. 정자의 중편의 길이는 $3{\mu}m$ 이하로 ring모양의 미토콘드리아가 5-8개 존재하였다. 짧은 중편(0.7-2.0${\mu}m$)의 Cobitis, Iksookimia, Niwaella, Nemacheilus, 그리고 비교적 긴 중편(2.0-2.7${\mu}m$)의 Misgurnus속과 Lefua속으로 구분되었다. 편모는 전형적인 9+2구조를 보였으며, 돌기물(fin)이 존재하지 않았다.

  • PDF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 수수미꾸리,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의 핵형분석(核型分析) (The Karyotypic Analysis of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 남명모;양홍준;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1
    • /
    • 1991
  •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으로 낙동강(洛東江) 수계에서만 서식하는 Niwaella multifasciata(수수미꾸리)를 밀양강(密陽江)과 남강(南江)에서 채집하여 핵형(核型)을 분석(分析)한 결과 2n=50, 10m+28sm+12st, AN=88로 나타났다. 이 종은 기름종개과(科)의 다른 종들과는 달리 양완(兩腕) 양색체(梁色體)(biarm chromosome)가 단완(單腕) 염색체(染色體)(monoarm chromosome)보다 많았으며 완수(腕數)(arm number)가 많았다. 또한 핵형에 있어서 체측(體側) 반문(斑紋)의 형태(形態)와 관련한 차이(差異)나 조사된 두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 및 성적(性的) 현상(現象)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좀수수치 Kichulchoia brevifasciata (Cypriniformes : Cobitidae)의 미세 분포 및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Kichulchoia brevifasciata (Cypriniformes : Cobitidae) from Korea)

  • 김수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241
    • /
    • 2012
  • 좀수수치 Kichulchoia brevifasciata는 남해안 일대의 고흥반도와 거금도, 금오도 일대에 매우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어류이다. 개체군의 크기가 급격하게 감소함에 따라 좀수수치의 분포 및 서식지 특성에 관한 정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존 분포지역을 포함한 21개 지점을 조사하여 5개 지점에서 좀수수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좀수수치의 서식이 확인된 지점을 서식지의 환경조건과 좀수수치의 관찰 및 채집된 개체수를 기준으로 서식조건이 양호한 지역, 서식처 보존이 요구되어지는 지역, 서식지의 훼손으로 서식위협을 받고 있는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8. Cobitis taeni complex mtDNA의 유전적 분화와 분류학적 위치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8.Mitochondrial DNA Differentia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e Cobitis taenia Complex)

  • 김재흡;민미숙;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29-36
    • /
    • 1997
  • 한국산 기름종개속 어류중 Cobitis taenia complex의 집단간 유전적 차이에 따른 종 분화 여부를 밝히고자 6개 집단을 대상으로 mitochondrial DNA(mtDNA)의 RFLP분석을 실 시하였다. C. taenia complex mtDNA를 10개의 6-base cutting 제한효소로 처리한 다음 그 절편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6개 집단 공히 mtDNA 의 전체 genome 크기는 약 17.0$\pm$ 0.5Kbp였으며 공동절편수(F)에서 C. t. taenia 2개집단과 C. t. stria와 C. t. lutheri 4개 집단 간의 F값은 평균 0.263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C. t. striata 와 C. t. lutheri 사이는 F=0.569로 가깝게 나타났다. 염기치환율 (p)에 있어 C. t. taenia는 C. t. striata 및 C. t. lutheri와 평균 p=0.082로 뚜렷한 종간차이를 보였으나, C. t. striata와 C. t. lutheri 집단들은 p=0.033으로 매우 가까운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MtDNA 분석결과 C. taenia complex 중 C. t. taenia는 완전히 종분화가 이루어진 별종으로, C. t. striata와 C. t. lutherisms 아직 종수준의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종으로 분류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1. 종개, 쌀미꾸리 및 수수미꾸리의 지리적 변이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I. Geographic Variation of Nemacheilus toni, Lefua costata, and Niwaella multifasciata)

  • 양서영;이혜영양홍준김재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0-122
    • /
    • 1991
  • 기름종개과의 N. toni, L. costota, N. multifasciata 3종에 대한 형태분석, 핵형분석 및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 각 종의 지리적 변이 및 계통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형태 측정치에 대한 discriminant 분석결과 연 yoni 월악산집단, 1. costoto 거제도집단 그리고 환multifasc지물 산철집단이 같은 종내 타 집단들과 형태상 완전히 분리 되어졌다. 핵형분석에서 N. muftifosciota와 1. costoto는 2n: 50으로 염색체수는 조사된 전 집단이 변리없이 동일하였다. N to티 삼척과 진부집단은 2n: 50으로 동일하였으나 고성집단은 2n=50, In : 48인 염색체상이 한개체에서 동시에 발견되었고, 인형성부위의 위치 및 형태가 타 집단과 차이가 있었다.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총 28개의 유전자를 검출, 분석하였다. 3종중 N. multifosciata 청도집단의 유전적 변이 (HDi 123, HG : .160)가 가장 높았고, N. toni 고성집단이 가장 적었다. ( HD= .017, HG= .015). N. yoni 고성집단과 강릉집단은 각 집단의 고유한 genetic marker를 다수 갖고 있으며 타집단들과 유전적 근연관계도 매우 먼 것으로 나타나 각기 독립된 별종으로 추정된다.

  • PDF

미꾸리 Misgrunus anguillicaudatus (Cypriniformes: Cobit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Misgrunus anguillicaudatus (Cypriniformes: Cobitidae))

  • 박재민;유동재;손준혁;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3-29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gg, larvae and juveniles development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and relationships of M. anguillicaudatus and M. mizolepis, Cobitididae Fishes. The adult fishes were collected in Samsan-cheon, Haenam-gun, Jeollanam-do, Korea and their spawning inducement was carried by ovaprim injections. The egg shape was circular and the size was average 1.12 mm. The eggs were hatched at 61 to 72 h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larvae had an average 3.23 mm in total length (TL). At 5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reached to post larval stage and they were 10.3 mm in TL. At 19 days after hatching, it reached to juvenile stage and was 25.3 mm in TL. The egg size of M. anguillicaudatus was almost same as M. mizolepis but the hatching period of M. anguillicaudatus has taken longer. It was possible for interspecific distinguishability of M. anguillicaudatus and M. mizolepis when their larvae reached to juvenile stage by the development of keel-like ri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