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esalpina sappan 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알킬화제인 MMS를 선처리한 NIH3T3 세포에서 소목 추출물 의한 세포고사의 촉진 (Extracts of Caesalpina sappan L. Potentiate the Apoptosis of NIH3T3 Cells Exposed to Methymethane Sulfonate)

  • 박종군;황성진;이정섭;전병훈;김원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2-18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알킬화제인 methylmethane sulfonate (MMS)를 선처리한 NIH3T3세포에서 소목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MTT 분석결과 MMS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생존률이 소목추출물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세포형태분석, acridine orange 염색법, 그리고 DNA fragmentation 분석에서 MMS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고사의 특징인 핵 응축 및 DNA laddering이 소목추출물에 의해서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소목추출물은 NIB73T3 세포에서 MMS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고사를 촉진시킴을 보여준다.

소목 . 자초 추출혼합물과 게껍질의 첨가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esalpina sappan L.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Mixture and Crab Shell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 이신호;박경남;임용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04-409
    • /
    • 1999
  • 항균력을 나타낸 한약재 각각의 추출혼합물과 crab shell를 첨가하여 김치 숙성시와 동일한 조건에서 김치발효 관련 유산균의 증식 억제도를 검토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높은 억제도를 보였으며, 이를 김치 제조에 이용하여 숙성시키면서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검토한 결과 pH, 산도, 미생물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소목, 자초 추출혼합물과 crab shell 병용처리구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인 면에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 PDF

소목(Caesalpina sappon L.) 추출물의 항균성과 분쇄육의 저장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Activity of Caesalpina sappan L. Extracts and Its Effect on Preservation of Ground Meats)

  • 이신호;문원석;박경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8-892
    • /
    • 2000
  • Antimicrobial activity of Caesalpina sappan L. extract (CS extract) against 6 kinds of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organisms was studied.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Brie 1, Escherichis coli ATCC 11775, Staphylococcus aureus ATCC 11775, and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11775 was inhibited about 4 to 5 $log_{10}$ cycle in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1% CS extract. Bacillus subtilis KCTC 102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CTT 17802 did not show apparent growth in the same medium. Effect of CS extract on preservation of ground meat was also investigated. The range of pH change was 5.0~5.2 in CS extract added ground meat, 5.2~6.0 in CS extract not added ground meat (control)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30 days. Number of total bacteria after 15 days storage was $10^{6}$/g in CS extract added ground meat, 10$^3$/g in control. Redness of ground meats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addition of 1% CS extract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30 days. The sensory quality of 1% CS extract added hamburger patty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

가축질병 균주에 대한 소목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against Animal husbandry disease.)

  • 이성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2-249
    • /
    • 2003
  • 소목추출물을 제조하여 가축질병에 관련이 있는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소목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S. epidermidis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소목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MeOH추출물은 0.8∼16 mg/ml 범위였으며 EtOH츤출물은 0.8∼10 mg/ml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소목 분회물의 항균활성은 EtOAc층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열에 의한 항균활성 변화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균주에서 항균력은 안정적이며 pH에 의한 항균활성의 변화에서 S.aureus와 Sal. typhimurum에서 산 처리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균주에서 안정적이었다. 소목 추출물의 미생물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및 500 ppm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람양성균인 S. aureus 와 S. epidermidis는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배양 후 72시간까지 증식이 정지된 상태를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에서는 100ppm이상 첨가 시 증식이 저지되거나 억제효과가 있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소목 추출물은 그람음성균에 비해 그람양성균에 더욱 효과적인 항균활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