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losobruchus chinensis 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antennal, maxillary palp and labial palp sensilla of the adult bruchid beetles, Callosobruchus chinensis (L.) (Coleoptera: Bruchidae)

  • WANG, Hongmin;ZHENG, Haixia;ZHANG, Yaowen;ZHANG, Xianhong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466-479
    • /
    • 2018
  •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is the main pest of mungbean (Vigna radiata) especially during seed storage.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chemical ecology studies, we examined the externalmorphology of the antennal, maxillary palp and labial palp sensilla of this insect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ntennae of adult C. chinensis exhibited sexual dimorphism. The female have serrated antenna and the male have pectinate morphology. Eight sensillum types have been observed on the antennae of both sexes: $B\ddot{o}hm$ bristles, sensilla chaetica, sensilla trichodea, sensilla basiconica, sensilla styloconicum, sensilla coeloconica, sensillum campaniformia, sensilla cavity. There are no differences on the morphology of maxillary palp and labial palp between female and male. Four different types of sensilla are present on the labial and maxillary palps of both sexes of C. chinensis: sensilla chaetica, sensilla twig basiconica, sensilla basiconica, sensilla digitiformia.

기주에 따른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Host Dependent Oviposition and Development of A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in Different Leguminous Seeds)

  • 김슬기;이수미;박준홍;송국;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46-352
    • /
    • 2016
  •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조사를 위해 6가지 콩과식물 종자인 팥, 흑태, 백태, 서리태, 서목태, 강낭콩을 선택, 실험을 하였다. 각 종자당 산란수는 팥 1.23개, 서목태 1.13개, 서리태 1.05개, 백태 0.69개, 흑태 0.61개로 나타났으며, 둘째 날(48 h) 최고 산란수, 넷째날(96 h) 최저 산란을 나타냈다. 유충 성장기간이 기주식물에 따라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화율은 팥, 서리태, 흑태, 백태, 서목태(83.33%, 28.23%, 27.87%, 20.44%, 11.5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종자에서 팥과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성충 수명은 암컷보다 수컷이 대부분 길었고 암컷의 경우 팥 9.43일, 서리태 8.86일, 흑태 7.88일, 백태 7.17일, 서목태 6.80일로 나타났다. 각 성충의 무게는 암수 모두 팥에서 가장 무겁고, 수컷은 서목태, 암컷은 백태에서 최소 무게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팥바구미는 팥 이외의 기주에서는 산란, 우화율, 성충 수명, 성충 무게 감소가 나타났고 반면 우화시기도 지연되었다. 한편 강낭콩에서 산란과 우화는 전혀 없었는데 이것은 강낭콩 종피에 산란과 우화 억제물질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물질의 활용으로 콩바구미과 피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식물추출물의 밭바구미에 대한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ive Weed Extracts against Callosobruchus chinensis L. (Coleoptera: Bruchidae))

  • ;;;서상재;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83-89
    • /
    • 2015
  • Mimosa pudica (미모사), Argemone mexicana (멕시코 가시양귀비) Leucus aspara (꿀풀과 일종), Polygonum hydropiper (여뀌), Blumea lacera (국화과 일종) 등 5종의 식물 헥산추출물들의 팥바구미 성충에 대한 살충, 성충우화억제력 및 녹두 종실피해 방제력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 밭바구미 성충 살충력은 35-69%이었으며, 녹두에 추출물을 처리한 후 성충우화 방제율은 33-63%, 종실 피해 방제율은 13-49%이었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 성충우화 및 종실피해 방제율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5종의 식물 헥산추출물들은 밭바구미 친환경 방제제로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isopteromalus calandrae (Hymenoptera: Pteromalidae)의 대체기주 팥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에 대한 적응 (Adaptation of Anisopteromalus calandrae (Hymenoptera: Pteromalidae) to an alternative host, Callosobruchus chinensis (Coleoptera: Bruchidae))

  • 김정;천용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8-286
    • /
    • 1995
  • 쌀바구미에 적응된 기생봉 Anisopteromalus calandrae를 대체기주인 팥바구미에서 누대 사육하면서 기생천적의 대체기주에 대한 적응과 그의 과정을 조사하였다. A. calandrae기 대체기주에 적응, 안정된 생활사 특성을 보이기까지 2세대가 경과하였다. 성충수명은 단축되어 1세대에서 8.7일을 보였으나 2세대 이후에는 5.7~7.3일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총 산란수는 1세대에서 29.3$\pm$7.7에서 2세대 이후 43.9~68.2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내적 자연 증가율, 순증가율은 증가하였으며, 개체군 배가 기간은 짧아졌다. 팥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은 적응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탐색효율의 변이계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탐색행동이 안정됨을 암시하였다. A. calandrae는 팥바구미에 적응된 이후에도 쌀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이 감소되지는 않았다.

  • PDF

Methyl salicylate and trans-anethole affect the pheromonal activity of homofarnesal, the female sex pheromone of azuki bean beetle

  • CHILUWAL, Kashinath;KIM, Junheon;BAE, Soon Do;ROH, Gwang Hyun;PARK, Chung Gyoo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354-361
    • /
    • 2018
  • Plant essential oils (EOs) exhibit an array of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insect pests. However, their negative influences on the pheromonal activity of azuki bean beetle (ABB), Callosobruchus chinensis L. have not received research attentions. ABB is a field-to-storage pest of legumes, and its female produces the sex pheromone known as homofarnesal with two isomeric components: 2E- and 2Z-homofarnesal, (2E,6E)-7-ethyl-3,11-dimethyl-2,6,10-dodecatrienals and (2Z,6E)-7-ethyl-3,11-dimethyl-2,6,10-dodecatrienal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ree EOs and their two major components on the attractiveness of male ABBs to synthetic homofarnesal (2E-:2Z-homofarnesal = 6:4) using Y-tube olfactometry in laboratory and rocket traps in the semi-open polyhouse. Y-tube olfactometry showed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EOs of Illicium verum, Croton anisatum at 10 and 100 ng, and Gaultheria fragrantissima at 100 ng against homofarnesal (100 ng) in attracting male ABBs. Similarly trans-anethole (at 10 and 100 ng) and methyl salicylate (at 100 ng) also ascertain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gainst homofarnesal (100 ng) in Y-tube olfactometry. When 10 mg of each of trans-anethole and methyl salicylate was released at the downstream of 30 mg homofarnesal lure in rocket traps, highly significant effect was achieved against attractiveness of homofarnesal to ABB males. This study ascertained significant level of negative effect of the tested EOs and their major components to homofarnesal, tracing out a new opportunity of integrating them in ABB management programs both in field and storage.

저장두류(貯藏豆類)에 대(對)한 팥바구미의 산란(産卵).섭식(攝食) 및 우화(羽化)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Oviposition, Feeding and Emergence of the A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in the stored beans)

  • 김규진;최현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1-81
    • /
    • 1987
  • 저장중(貯藏中)의 두류(豆類)에 대(對)한 팥바구미의 산란(産卵).식이(食餌) 및 우화(羽化)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과 식이선호적(食餌選好的)인 기주(寄主)와 비선호적(非選好的)인 기주간(寄主間)의 산란(産卵).부화(孵化) 및 우화(羽化), 피해종자(被害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팥바구미는 상온조건(常溫條件)에서 연(年) 4회(回) 발생(發生), 유충태(幼蟲態)로 종자내(種子內)에서 월동(越冬)하였다. 2. 팥바구미의 산란적온(産卵適溫)은 $25^{\circ}{\sim}30^{\circ}C$ 범위(範圍)였으며 기주별(寄主別)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팥>녹두>콩>강낭콩>검은콩>완두 순(順)이었다. 3. 생육최적온도(生育最適溫度)인 $25^{\circ}C$에서 기주별(寄主別) 팥바구미의 평균(平均) 우화일수(羽化日數)를 보면 팥 29일(日), 녹두 31일(日), 콩 49일(日), 검은콩 46일(日), 완두 34일(日)이었다. 4. 기주별(寄主別) 팥바구미의 부화율(孵化率)은 팥>녹두>콩>완두>검은콩>강낭콩 순(順)이었고, 우화율(羽化率)은 팥>녹두>완두>검은콩>콩>강낭콩 순(順)으로 팥과 녹두는 부화율(孵化率) 및 우화율(羽化率)이 높았고 콩, 완두, 검은콩은 부화율(孵化率)은 높았으나 우화율(羽化率)이 낮았으며 강낭콩은 부화(孵化)는 되었으나 전혀 우화(羽化)가 되지 않았다. 5.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35^{\circ}C$에서 $4{\sim}5$일(日) $25^{\circ}C{\sim}30^{\circ}C$에서 $5{\sim}7$일(日), $20^{\circ}C$에서 $10{\sim}15$일(日), $15^{\circ}C$에서 $19{\sim}24$일(日)로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짧았고 저온(低溫)에서 길어졌다. 6. 식이비선호적(食餌非選好的) 기주(寄主)인 강낭콩의 종피(種皮) 및 배유(胚乳)에는 산란(産卵)은 되었으나 부화후(孵化後) 발육(發育)이 되지 않았고 자엽(子葉) 및 배부위(胚部位)는 산란(産卵)도 되지 않았다. 7. 산란립(産卵粒)과 피해립(被害粒)은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는데 특(特)히 피해립(被害粒) 팥은 0%, 검은콩 5%, 완두는 7%의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