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illary Suction Tim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비단열 모세관의 영향을 고려한 냉동 사이클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the effects of a non-adiabatic capillary tube on refrigeration cycle)

  • 박상구;손기동;정지환;김윤수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5-262
    • /
    • 2008
  • The simulation of refrigeration cycle is important since the experimental approach is too costly and time-consuming. The present simulation focuses on the effect of capillary tube-suction line heat exchangers (CT-SLHX), which are widely used in small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s. The simulation of steady states is based on fundamental conservation equations of mass and energy. These equations are solved simultaneously through iterative process. The non-adiabatic capillary tube model is based on homogeneous two-phase model. This model is used to understand the refrigerant flow behavior inside the non-adiabatic capillary tub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oth of the location and length of heat exchange section influence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either design calculation of capillary tube length for refrigeration cycle or effect of suction line heat exchanging on refrigeration cycle.

  • PDF

비단열 모세관의 영향을 고려한 냉동 사이클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Equipped with a Non-Adiabatic Capillary Tube)

  • 박상구;손기동;정지환;김윤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31-139
    • /
    • 2009
  • The simulation of refrigeration cycle is important since the experimental approach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the simulation of a refrigeration cycle equipped with a capillary tube-suction line heat exchanger(SLHX), which is widely used in small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s. The present simulation is based on fundamental conservation equations of mass, momentum, and energy. These equations are solv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The non-adiabatic capillary tube model is based on homogeneous two-phase flow model. This model is used to understand the refrigerant flow behavior inside the non-adiabatic capillary tub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oth of the location and length of heat exchange section influence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초음파로 처리된 소화슬러지의 비저항계수 (SRF)와 모세관흡입시간(CST)을 이용한 탈수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Dewatering Characteristic Using Specific Resistance and Capillary Suction Time of Digested Sewage Sludge by Ultrasonic Treatment)

  • 나승민;박지호;김영욱;김지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87-290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ultrasound on the dewaterability of sewage sludge. Because, dewatering and disposal of waste sludge is a major economical factor in the ope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Capillary Suction Time(CST) and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SRF) were used to evaluate the sludge dewatering behaviors.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ultrasonic treatment can improve the dewaterability. We discovered that CST and SRF were highly relat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R^{2}$).

  • PDF

생물막 반응기내 다공성 중공사형막을 이용한 운전방식에 따른 흡입 압력 (Suction Pressures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al Modes using the Multi-bore Capillary Membranes in the Membrane Bioreactor)

  • 김민형;구응모;이민수;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31권5호
    • /
    • pp.343-35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중공사형 분리막(multi-bore capillary membrane module)을 생물막 반응기(MBR)에 침지시켜 운전시간에 따른 흡입 압력을 측정하였다. 공칭 세공크기가 0.2㎛, 외경이 6.4 또는 4.2 mm이고 육각 형태인 중공사형모듈을 MLSS 8,000 mg/L 활성 슬러지 수용액에 각각 침지시키고 투과 유속, 공기량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여과운전/정지이완(FR) 및 정지이완 시 역세척(FR/BW) 및 사인파형 투과유속 연속운전(SFCO) 방식으로 조작하였다. SFCO의 흡입 압력은 30 L/m2·hr에서 낮았으며, 50 L/m2·hr에서는 FR의 흡입 압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외경이 작은 모듈의 흡입 압력 상승이 비교적 낮았으며, 외경이 큰 모듈의 흡입 압력은 높게 상승하였지만 역세척으로 4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간헐포기 소화슬러지의 개량과 탈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ditioning and Dewaterability of Digested Sludge from Intermittent Aerobic Digestion)

  • 김성홍;최영균;정태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0-375
    • /
    • 2004
  • Synthetic organic polyelectrolytes can be used to condition sludges to enhance their dewaterability. When conditioning biological sludges, the charge on the polyme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ymer as a conditioner. The objectives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ype and dosage of polymer for conditioning digested sludge prior to dewatering,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waterability and particle size. 3 types of digested sludge were used under the different digestion processes like anaerobic digestion, aerobic digestion and intermittent aerobic digestion. CST(capillary suction time), TTF(time-to-filter) and SRF(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were tested as a dewaterability index and the number of particle distribution was analyzed using particle size analyzer. The results indicate that cationic polymer appears to be required for effective conditioning of these 3 types digested sludge and the optimal polymer dosage is about 0.6% of SS. CST and TTF are well correlated with mean particle diameter of which the dimension order is 1.7.

제지폐수처리의 고분자 응집제 주입량 간이 결정법 (Simple Determination Method on Optimal Dosage of Polymer for Papermaking Wastewater Treatment)

  • 조준형;강미란;김해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85-90
    • /
    • 2014
  • Dewaterability, one of the important properties of wastewater sludge, was investigated using a simple capillary suction time (CST) measurement method. CST and SRF have a very close co-relation. It was convinced that CST method was quite effective, and compensating the time-consuming SRF of conventional drainage measuring method. It turned out that one could use the results of CST to find optimum flocculants ratio to improve drainage in wastewater treatment for the tissue paper production at a mill. Since the optimum ratio of flocculants could be determined with the value of CST and COD removal efficiency could be improved with precise ratio of flocculants. Thus, using CST for determining the optimum ratio of flocculants could be economical by reducing the amount of flocculants. Dewaterability might be measured within several seconds using the values of CST in a precise way. The dewaterability could also be useful in investigating the optimum ratio of flocculants.

소화슬러지의 비저항계수(SRF)와 모세관흡입시간(CST)의 상호관계식 유도 및 비교 (Coupling Equation of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SRF) and Capillary Suction Time(CST) of Digested Sewage Sludge)

  • 김지형;나승민;박지호;김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74-880
    • /
    • 2007
  • CST와 SRF는 슬러지 탈수효율 인자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ST와 SRF는 각각의 분석특징의 장.단점으로 인해 실험방법 및 결과 해석시, 슬러지 탈수의 최적조건을 찾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수성 지표로 이용되는 CST와 SRF의 이론식 가운데 CST와 SRF의 상호관계식을 유도하여 각각의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한 후 비교적 측정이 간편한 CST 시험만으로도 탈수최적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이론식을 검토하였다.

  • PDF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개량제로 이용한 소화슬러지의 탈수 증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Dewatering Aid for Digested Sludge by using A Starfish and A Shell)

  • 이재광;유대현;이면주;강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3호
    • /
    • pp.12-18
    • /
    • 2004
  •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의 폐 수산자원을 개량제로 이용한 도시하수 슬러지의 탈수능 향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105∼$700^{\circ}C$로 열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탈수방법으로는 원심분리와 벨트프레스를 사용하였다. 총 고형물 기준으로 개량제를 1∼8g/100mL 주입하여 탈수 후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을 15∼22% 저감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개량제 주입 후 슬러지의 탈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ST(Capillary Suction Time)를 측정하였다. 불가사리 첨가 후 C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조개껍질 첨가 후 CST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개껍질이 불가사리보다 탈수 효율이 나은 결과를 보였으며, 열처리 온도에 대한 효과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게 나타났다.

슬러지의 탈수 특성에 대한 마이크로파와 약품개량의 영향 (Effect of Microwave Irradiation and Chemical Conditioning for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Sludge)

  • 박상숙;강화영;왕승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32-738
    • /
    • 2005
  • 본 연구는 슬러지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 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 효율에 미치는 마이크로파의 영향을 실험하여 마이크로파의 적정 처리 조건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슬러지 부피에 따른 적정 마이크로파의 조사시간의 결정이 매우 중요하며, 적정 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처리된 농축슬러지의 경우 모세흡입시간이 52.3초에서 30.8초로 저감되어 탈수성이 상당히 향상되었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개량된 농축슬러지의 압력여과 후 함수율은 81.4%로 나타났다. 또한 마이크로파와 전기로의 탈수슬러지 건조 특성을 평가한 결과, 슬러지의 함수율을 55% 이하로 건조시키는데 마이크로파 가열 방식은 3분이 소요된 반면, 전기로를 이용하여 $105^{\circ}C$에서 건조한 경우에는 40분이 소요되었고, $170^{\circ}C$에서 건조한 경우는 20분이 소요되었으며, $300^{\circ}C$에서 건조한 경우는 9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할 경우, 기존 가열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슬러지에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열화학적 가수분해 영향인자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및 혐기성소화 효율 평가 (Vari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by Thermal-alkali Pre-treatment (THAP) Factors)

  • 박세용;한성국;송은혜;김충곤;이원배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3호
    • /
    • pp.27-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병합 혐기성 처리를 위한 열화학적 가수분해 방법의 최적 조건 평가와, 열화학적 가수분해에 따른 병합 혐기성 소화 효율에 대해 평가 하였다. 열화학적 가수분해는 온도 (80, 100, 120, 140, 160, $180^{\circ}C$)와 NaOH (5, 20, 40, 60, 100 meq/L) 조건에 따른 solubilization COD, CST(Capillary Suction Time), TTF(Time to Filter), volatile fatty acids (VFAs) 등에 대해 평가를 하였으며, 병합 혐기성 소화 효율평가는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열화학적 가수분해 시 온도 $140^{\circ}C$, NaOH 60 meq/L에서 solubilization COD 20 % 이상, CST와 TTF가 60초 이하, VFAs 농도가 12,000 mg-COD/L 이상으로 최적조건으로 규명되었다. 병합 혐기성 소화 결과도 열화학적 가수분해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가스발생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효과적인 병합혐기성소화를 위한 열화학적 가수분해 전처리 조건은 온도 $140^{\circ}C$, NaOH 주입농도 60 meq/L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