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xyl proteinas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복령의 Carboxyl Proteinase의 분리 정제 및 그 성질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Carboxyl Proteinase in Poria cocos)

  • 민태진;박상신;문순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7
    • /
    • 1986
  • The properties of carboxyl proteinase which was contained in Poria cocos (Schw.) Wolf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purification with 0.65 ammonium sulfate saturation, DEAE cellulose and Sephadex G-75 gel filtration. This enzyme was found to hydrolyze only peptide bond between glutamyl-L-tyrosine of carbobenzoxy-L-glutamyl-L-tyrosine among the synthetic substrates of carbobenzoxy-L-glutamyl-L-tyrosine, hippuryl- L-phenylalanine and hippuryl-L-arginine. This enzyme was inhibited by $Zn^{+2},\;Fe^{+2},\;Ca^{+2},\;CN^{-1},\;P_2O_7^{-4}$ ions, but stimulated by $Hg^{+2}$ ion. Also, this enzyme was inhibited by organic compounds such as L-lysine, L-phenylalanine, hippuryl-L-phenylalanine, diazoacetyl-DL-norleucine methyl ester (DAN) and 1,2-epoxy-3-(P-nitrophenoxy)propane(EPNP). In particular, the activity was inhibited by L-lysine till 20 minutes of preincubation time rapidly, and by DAN in the presence of $Cu^{+2}$ ion more rapidly after 30 minutes than DAN in the absence of $Cu^{+2}$ ion. L-Lysine was found to be a competitive inhibitor and its $K_i$ value was determined to be 0.12 mmole by Dixon plot.

  • PDF

Pepstatin- Insensitive Carboxyl Proteinase: A Biochemical Marker for Late Lysosomes in Amoeba proteus

  • Hae Kyung Kwon;HyeonJung Kim;Tae In Ah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2호
    • /
    • pp.221-228
    • /
    • 1999
  • In order to find a biochemical marker for late Iysosomes, we characterized two cDNAs which were cloned by using a monoclonal antibody (mAb) against Iysosomes in Amoeba proteus as a probe. The two cDNAs, a 1.3-kb cDNA in pBSK-Iys45 and a 1.6-kb cDNA in pBSK-Iys60, were found to encode proteins homologous to pepstatin-insensitive carboxyl proteinases (PICPs). E. coli transformed with pBSK-Iys45 produced two immunopositive polypeptides (45 and 43 kDa) and the cDNA in 1274 bases encoded a 44,733-Da protein (Lys45) of 420 amino acids containing one site for a core oligosaccharide. On the other hand, E. coli transformed with pBSK-Iys60 produced several polypeptides (64, 54, 45, 41, and 37 kDa) reacting with the mAb. The cDNA contained 1629 bases and encoded a 59,231-Da protein (Lys60) of 530 amino acids containing two sites for asparagine-linked core oligosaccharides. These two cDNAs showed identities of 60.3% in nucleotide sequences and 23.6% in amino acid sequences. Lys45 and Lys60 appeared to share XXEFQK as a common antigenic doma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Lys45 protein showed 17.4% identity and 40.9% similarity to that of PICP from Pseudomonas sp. 101. On the other hand, Lys60 showed a 24.3% identity and 51.9% similarity with human Iysosomal PICP in the amino acid sequence. A putative active center for serine protease, GTS*xxxxxFxG, was found to be conserved among PICP homologues. The two PICPs are the first reported enzymatic markers for late Iysosomes.

  • PDF

Overexpression of jasmonic acid carboxyl methyltransferase increases tuber yield and size in transgenic potato

  • Sohn, Hwang-Bae;Lee, Han-Yong;Seo, Ju-Seok;Jung, Choon-Kyun;Jeon, Jae-Heung;Kim, Jeong-Han;Lee, Yin-Won;Lee, Jong-Seob;Cheong, Jong-Joo;Choi, Yang-D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1호
    • /
    • pp.27-34
    • /
    • 2011
  • Jasmonates control diverse plant developmental processes, such as seed germination, flower, fruit and seed development, senescence and tuberization in potato. To understand the role of methyl jasmonate (MeJA) in potato tuberization, the Arabidopsis JMT gene encoding jasmonic acid carboxyl methyltransferase was constitutively overexpressed in transgenic potato plants. Increases in tuber yield and size as well as in vitro tuberization frequency were observed in transgenic plants. These were correlated with JMT mRNA level-- the higher expression level, the higher the tuber yield and size. The levels of jasmonic acid (JA), MeJA and tuberonic acid (TA) were also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plants. Transgenic plants also exhibited higher expression of jasmonate-responsive genes such as those for allene oxide cyclase (AOC) and proteinase inhibitor II (PINI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MT overexpression induces jasmonate biosynthesis genes and thus JA and TA pools in transgenic potatoes. This results in enhanced tuber yield and size in transgenic potato plants.

한국 독사독으로부터 혈전 용해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thrombolytic agent from Korean snake venums)

  • 이문한;김병재;이항;류판동;조명행;이혜숙;김종호;채창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4-114
    • /
    • 1995
  • 이 연구에서는 혈전증 치료에 사용되는 혈전 응해제를 국내 독사독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에 서식하는 독사인 Agkistrodon blomoffi brevicaudus, Agkistrodon caliginosus와 Agkistrodon saxatilis에서 각각 사독을 채취하여 fibrin plate 방법으로 fibrin 분해능을 조사하여 Agkistrodon blomoffi brevicaudus의 독이 분해능이 가장 우수함을 밝혔다. 이와 같은 사실에 기초하여 A. blomoffi brevicaudus의 독으로부터 p-Aminobenzamidine affinity chromatography와 DEAE ion-ex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자량이 50.8 kDa인 황성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정제한 단백질은 fibrin 분해능이 우수하고 fibrinogen의 ${\gamma}$ chain은 분해하지 않으나 B$\beta$ chain을 $A\alpha$ chain에 비하여 보다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단백분해 효소임을 증명하였다. 이 정제 효소의 Fibrin에 대한 분해능은 266$\mu\textrm{g}$/${\mu}\ell$의 농도에서 Plasmin 1.0 unit (=3.0 WHO unit)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제된 효소는 chromogenic substrate인 N-Benzoyl-Phe-Val-Arg-pNA와 N-p-Tosyl- Gly-Pro-Arg-pNA의 arginine carboxyl side를 분해하고 pH 7.5에서 최대 활성을 보이며, Vmax는 5.46 umo1/1ㆍmin이고, Km 값은 0.20mM이며, 그리고 Cu$^{2+}$, $Zn^{2+}$, soybean trypsin inhibtor에 의해 25~50% 정도, serine proteinase inhibitor인 phenylmethylsulfonyl floride에 의해 80%정도 활성이 억제되는 특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 PDF

사독의 조해물질에 관한 연구 (Inhibitory Substance on the Snake Venoms Produced by Penicillium sp.)

  • Seu, Jung-Hwn;Yi, Dong-Heu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9
    • /
    • 1979
  • 사독은 단백성물질이며 그 작용은 효소적이다. 동물에 대한 강력한 작용은 독사교상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독사에 대한 항혈청의 개발은 오래 전부터 이루어 졌으며 근년에 와서는 거의 완성된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편에서도 항혈청에 지니고 있는 몇가지의 결점으로 인하여 유효한 화학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독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획일적인 치료제를 얻기란 매우 곤란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독을 화학물질로써 불활성화 시키려는 시도는 많아서 chelate 성 물질 thio 화합물, 혹종의 Amino acid, Tannic acid 등 단백질 응고제 등 시험관내에서는 강력히 작용하는 물질이 많이 발견되었으나 이들의 작용은 사독에 대해서 비특이적이며 또한 생체내에서의 작용이 강하여 그의 이용에 많은 제한이 있다. 저자들은 미생물로부터 사독에 대한 조해물질의 검색을 시도했던바 Penicillium 속의 한균주로 부터 유효한 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것을 ISV-33이라 명명하였다. 이 물질은Agkistro-don 및 Trimeresurus 류 사독의 Proteinase와 출혈인자 및 치사인자에 잘 작용하여 이것들을 불활성화시키나 일반효소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았다. 이 물질은 사독에 대해서 $\frac{1}{4}$~$\frac{1}{8}$ 량으로서 충분히 작용하나 그 자체의 독성은 위를 대상으로 실험했을 때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 이 물질은 사독에 대해서 특이성이 강하며 in vivo에서도 작용한다. 이 물질은 결정성이며 열수에는 용이하게 용해하나 명수나 명종 유기용매에는 거의 용해하지 않으며 단지 Ethylacetate에는 약간 용해한다. mp는 222$^{\circ}C$에서 승화하며 분자량 약 392인 Tetra carboxylic acid로 동정되었다 분자식은(C$_{8}$ $H_{6}$N $O_{5}$)$_2$라고 인정되며 이 물질은 Polycarboxylic acid 이므로 chelate 작용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금속효소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작용하지 않음으로 사독의 불활성화에 있어서 chelate 작용에 인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그 구조식은 아직 확정하지는 못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실험결과로서 cyclo hexane을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Epoxy group와 caborxyl 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물질은 산, Alkali, 가열등에 대해서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일부는 문교부 연구조성비(1978년도)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