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 Worker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 종합병원 사업장의 근로자 건강관리 현황 분석 (Worker's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of General Hospitals in Korea)

  • 김광숙;이정렬;강희철;원종욱;김봉정;조윤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6-17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general hospital worker's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Method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health management in the hospita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22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by post. About 79% hospitals return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2$-test by SPSS 12.0 program. Results: A quarter hospitals responded set up separated health care office for workers, 87.5% provided health educations, and 56.5% ope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the conten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embraced both health behavior practice and disease prevention, musculoskeletal disease control, infection control, smoking cessation, and exercise program were most commonly provided to the workers in order. Occupational health care provider chose the item such as budget limitation, manager's apathy, lack of employee's participation, cooperation provider, and so on as the reason of difficulty to run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hospital setting. Conclusion: Hospital managers need to construct infra to manage and promote worker's health. For example, establishing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 in hospital and arranging nurses who being fully responsible to worker's health. And occupational health care provider should advertise health promotion projects both managers and workers actively.

  • PDF

생태체계 요인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가급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Ecosystem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Long-Term Care Worker -Focusing on the Home Care Worker-)

  • 심재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83-393
    • /
    • 2023
  • 재가급여기관에서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생태체계요인이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의 수준을 파악하여 직무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생태체계 요인과 직무만족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론 중에서 우리나라 재가급여기관의 요양보호사의 실정에 적합한 직무만족 6개 결정요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생태체계별 각 요인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직무만족은 사회문화환경 요인을 제외한 모든 생태체계요인들과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만족과 상관이 가장 높은 요인은 사회적지지이며, 이어서 가족지지, 직무여건, 노인복지정책신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를 둘러싼 주변의 사회적 네트워크 및 가족으로부터 긍정적 지지를 받는다고 인식하면서 직무여건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요양보호사들은 대체로 직무만족이 긍정적인 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의식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ort of Vacational 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Long-Term Care Worker)

  • 김선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569-576
    • /
    • 2019
  • 본 연구는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업의식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기초하여 재가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수행하게 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서 일하고 있는 재가요양보호사 4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자료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기술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공선성 확인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가요양보호사가 연령이 낮고, 월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요양보호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의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업의식을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재가요양보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노인돌봄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적·정책적 실천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ing Hour on the Worker's Subjective Well-being)

  • 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50-759
    • /
    • 2016
  • 이 연구는 노동시간이 노동자의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한국 장시간 노동체제가 가지는 의미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이며, 노동시간 요인은 '하루 노동시간 길이'와 '주당 휴일 수준' 두가지이다. 먼저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어서 돌봄을 필요로 하는 가족원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통상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 교육, 고용형태, 성별 등의 요인들을 통제하는 경우에도 노동시간 길이가 길수록, 휴가 수준이 낮을수록 한국인의 삶 만족도는 저하된다. 그러나 돌봄을 요하는 가족원이 있는 경우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진다. 돌봄을 필요로 하는 가족원이 있는 경우, 노동시간 길이와 휴가 수준은 삶 만족도에 더 이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성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유의미성 역시 사라진다. 이는 돌봄을 요하는 가족원이 없는 경우에, 노동시간이 미치는 영향 및 여성이 남성보다 삶 만족도가 높은 것과 대조된다. 이는 한국 가족의 돌봄시간 성별 격차와 깊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근로자들의 교대근무 경험 (Workers' Experiences in Shift Work)

  • 김영혜;김영미;구미지;김소희;이내영;장경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84-29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shift workers' experience in industries requiring 24 hours-a-day service provision and support. For the Purpose, the present researcher made a research Question, "What are workers' experience in the shift work?" Methods: In the study, 5 male shift workers, 3 female shift worker and a woman (key informant) whose husband is a shift worker participated. Then profou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made after their agreement. Result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ignificant statements under 6 theme clusters, 1) sense of difference; 2) worries about health; 3) draining of emotion; 4) anxiety; 5) sadness; and 6) being comfortable. Conclusions: Shift work which is inevitable in modern society may have severe influences on shift workers'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aspects by causing their work cycle rhythm to be unbalanced. Finall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help understand workers' life and increase social concern and support to the workers.

  • PDF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의 가정 및 직장생활에 관한 연구 - 직장근무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mily Life and Work of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 the comparison with married female out-of-home workers -)

  • 이수진;이기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7-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of household/work characteristics,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between home-based workers and out-of-home workers.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30 married womens(home-based worker : 103 cases out-of-home worker : 127 cases) living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me-based worker's consumption expenditure structure, wive's housework time, schedule flexibility and degree of interruption, work loa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of-home workers. 2) Home-based worker's average monthly wage of her own and work tim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ut-of-home jokers. 3) Home-based worker's child care satisfaction and time us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of-home workers. Out-of-home worker's self-fulfill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relation with supervisor, job stability satisfaction, work tim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ome-based workers.

  • PDF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웰다잉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변화 및 삶의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Well-dying, Change to Attitude toward the Old and Meaning of life through Hospice Education Program of Care Worker Trainees)

  • 한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71-4477
    • /
    • 2012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웰다잉 인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의 변화를 검정하여 교육 효과를 확인하는 유사 실험 설계 중 단일군 사전 사후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11일부터 10월21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총 80명으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자로 호스피스 교육 16시간을 이수한 자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교육을 실시하기 전 보다 실시한 후가 웰다잉 인식과 삶의 의미, 노인에 대한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질적으로 우수한 노인요양보호의 전문 인력이 되기 위해서 노인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과 호스피스 프로그램 개발의 질적 관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요양시설의 기관 및 종사자 관련 요인들은 클라이언트 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Care Worker Related Factors on Client Violence Occurring at Nursing Homes)

  • 이여경;이선혜;황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221-243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기관과 종사자 관련 요인들이 클라이언트의 폭력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시설에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의 예방 및 감소 방안 마련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광역시도 23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종사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학력과 경력, 업무수행 관련특성, 근무환경, 조직특성, 위험관리체계 요인들이 클라이언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조사결과 클라이언트 폭력은 신체, 언어, 기타, 재산피해, 성 폭력 순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응답자 소속기관의 절반 정도만 기관위험관리체계를 실시하고 있었다. 모든 유형의 폭력행위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는 위험관리절차와 상사리더쉽이 클라이언트 폭력의 감소와 관련 있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관 위험관리절차의 개선과 감독자 리더쉽역량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바우처 제도의 이용자 선택권 강화가 돌봄노동자에게 미친 영향과 그 의미 (Enhanced User Choice of Voucher Program and its Impact and Implications on Care Worker)

  • 김송이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281-307
    • /
    • 2016
  • 본 연구는 이용자 선택권 강화 맥락에 초점을 두고 바우처 도입 이후 돌봄노동자에게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바우처 도입 이후 돌봄노동자들의 고용, 해고, 노동강도 등에 서비스 이용자들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화됨에 따라 돌봄노동자들은 노동지위의 취약화와 노동 의미와 상실, 돌봄노동자로서의 정체성 혼란 등 '노동소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노동자의 노동소외는 사회서비스 질 향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양질의 사회서비스 공급을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자의 권리 향상과 더불어 돌봄노동자의 인권 및 노동권 보호 논의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