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ment raw material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5초

시멘트 원료로 국내산 석탄재의 이용 가능성 (The Utilization of Domestic Fly Ash as a Cement Raw Material)

  • 이윤철;이세용;민경소;이창현;박태균;유동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22
  • Fly ash is a by-product of coal fired electrical power plants and used as a material for cement and concrete; particularly, imported fly ash is mainly applied for cement production. Main objectives of this article are to replace domestic fly ash with an imported source.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domestic fly ash as a material for cement from the aspect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we manufactured various kinds of cement, such as using only natural raw material, shale, and partial replacement with domestic and imported fly ash. When we used the domestic and imported fly ash, there were no specific problems in terms of clinker synthesis or cement manufacturing in relation to the natural material, shale. In conclusion, domestic fly ash has been confirmed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cement because 7 days and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values were better than those of reference cement using natural raw material, on top of the process issue.

CaO 함유 철강 부산물을 활용한 시멘트 원료 석회석 대체 시뮬레이션 (Simulation on the Alternation of Limestone for Portland Cement Raw Material by Steel By-products Containing CaO)

  • 최재원;유병노;한민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제조 공정 CO2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철강 슬래그로 시멘트 원료로 사용되는 석회석 사용량을 대체할수 있는 수준을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석회석을 비롯한 시멘트 각 원료와 석회석 대체원료로서 고로 서냉 슬래그, 전로 슬래그, KR 슬래그의 화학성분을 바탕으로 최적 시멘트 원료 배합을 도출하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슬래그 대체원료는 일정 수준의 CaO를 함유해 석회석 사용량을 일부 저감하는 비탄산염 대체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각 원료의 최대 사용 가능 수준을 도출하였는데. 특히 이들 원료를 각기 사용하는 경우보다 혼합해서 사용하면 석회석 저감 효과를 증대해 탈탄산 반응에 의한 CO2 배출을 저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폐미분말을 주원료로한 재생시멘트의 내구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urability evaluation of the Recycled Cement using Waste Cementitious Powder as Raw material.)

  • 권은희;안재철;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4
    • /
    • 2015
  •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ne of the study's research into the available material is discharged, remove the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from waste concrete and utilizing the remaining cement fine powder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limestone is the main raw material of cement developing playback cement that was the purpose. Physical over existing research and chemical quality was confirmed was evaluated for durability by promoting carbonation test, research studies on the durability evaluation insignificant. As honipyul within the aggregate differential lung fine powder increases carbonation resistance performance've found that increased sharply and, S0 showed fairly similar to the OPC. Therefore, the development within the technology research to separate fine aggregate discharge fully differential and waste fine powder is determined to be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playback durability of the cement with the carbonation levels corresponding to the OPC if made.

  • PDF

세라믹 바인더 제조공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원료 적용 시스템 및 세라믹 바인더 물성개발 (Development of Production System and Properties of Ceramic Binder using Aluminosilicate Raw Material)

  • 박철;조성형;김경수;임채용
    • 시멘트 심포지엄
    • /
    • 통권49호
    • /
    • pp.25-26
    • /
    • 2022
  •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의 경우 콘크리트용 혼합재 용도 이외 잔재물은 대부분 폐기/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매립되고 있는 석탄회도 시멘트용 원료로 대체 사용이 가능하나, 해수접촉에 의한 염소함량 및 수분 제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립 석탄회의 시멘트 원료 활용을 위한 제반 공정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 PDF

Regression-based algorithms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s in a cement raw material quarry

  • Tutmez, Bulent;Dag, Ahmet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0권5호
    • /
    • pp.457-467
    • /
    • 2012
  • Using appropriate raw materials for cement is crucial for providing the required products. Monitoring relationships and analyzing distributions in a cement material quarry are important stages in the process. CaO, one of the substantial chemical components, is included in some raw materials such as limestone and marl; furthermore, appraising spatial assessment of this chemical component is also very critical. In this study, spatial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CaO concentrations in a cement site are considered. For this purpose, two effective regression-based models were applied to a cement quarry located in Turkey. For the assessment, some spatial models were developed and performance comparison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the regression-based spatial modelling is an efficient methodology and it can be employed to evaluate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in a cement quarry.

저품위 석회석이 원료밀의 분쇄성과 시멘트 클링커 소성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grade Limestone on Raw Mill Grinding and Cement Clinker Sintering)

  • 유동우;박태균;최상민;이창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0-25
    • /
    • 2021
  • 시멘트의 주 원료인 시멘트 클링커는 주원료로서 석회석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석회석의 품위에 따라 부원료의 사용이 변화되고, 시멘트 클링커의 생산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클링커 원료인 석회석의 CaO 함량의 변화가 Raw Mill 분쇄성과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석회석 CaO 함량을 변화시킨 조합원료의 분쇄시간 측정으로 분쇄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분쇄된 조합원료를 1350~1500℃의 범위에서 소성하여 소성성 지수 계산에 의한 시멘트 클링커의 소성성을 파악하였다. 석회석의 품위가 낮을수록 조합원료의 분쇄성은 저하하였고, 석회석의 CaO 함량이 낮을수록 소성온도에 따른 F-CaO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높은 B.I. 값이 계산되어, 낮은 시멘트 클링커 소성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멘트 클링커의 광물분석 결과에서는 소성온도의 증가로 F-CaO 값이 저하하는 경우, Belite 함량의 감소와 그에 따른 Alite 함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Alite의 경우 석회석 Ca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R형의 비율은 감소하고 M형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시멘트 원료로서 국내산 석탄재와 일본산 석탄재의 소성성 비교 연구 (The study on the burnability of domestic fly ash and Japanese fly ash as a cement raw material)

  • 이윤철;이세용;민경소;이석제;박태균;유동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10-215
    • /
    • 2023
  • 조합 원료의 소성성은 시멘트 제조 기술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각 원료들의 물리적, 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석탄재와 일본산 석탄재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했을 경우, Lafarge 평가 방법과 Polysius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소성성을 비교하였다. 석탄재의 종류와 투입량에 관계없이 석탄재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석탄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소성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종류의 석탄재에서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소성성이 향상되었으나, 3 %까지 소성성의 향상이 뚜렷하였고 4 % 첨가 시에는 향상 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멘트의 품질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석탄재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소성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클링커의 소성에 필요한 연료비의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크롬분석 표준화에 관한 연구 (Standardization for $Cr^{+6}$ analysis in cement and concrete)

  • 박남규;송훈;추용식;이종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29-732
    • /
    • 2006
  • Portland cement is presently the most widely used construction material. The process of manufacture of cement consists essentially of grinding the raw materials, mixing them intimately proportions and burning in a rotary kiln at a temperature of up to about $1450^{\circ}C$. Raw materials have used limestone, clay, silica, and iron oxide and fuel have used bituminous coal. Recently, A standpoint of the recycling of material resources, the production of cement use of industrial waste and residual products. Therefore, the final product of cement were included heavy metals such as $Cr^{+6}$ and P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tandardization for $Cr^{+6}$ analysis in cement and concrete. From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xamination method of $Cr^{+6}$ analysis, Japan cement association standard of $Cr^{+6}$ analysis is most suitable for the real state of affairs in korea.

  • PDF

시멘트 원료로서 하수슬러지 소각재의 클링커링 반응 특성 (Clinkering of Sewage Sludge Ash as Cement Raw Material)

  • Ahn, Ji-Whan;You, Kwang-Suk;Cheon, Sung-Min;Han, Ki-Suk;Kim, Hwa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3-327
    • /
    • 2004
  • 본 연구는 석회석, 셰일, 전로슬래그, 플라이 애쉬를 사용한 혼합원료에 대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원료로서 하수슬러지 소각재의 사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원료 중 셰일에 대한 하수슬러지의 적정 치환 비율을 확인하였으며, 1,300, 1,350, 1,400, 1,450, 1,50$0^{\circ}C$에서 1시간 혼합원료를 소성하였다. 이후 공기중 급냉을 시행하였으며, XRD, SEM을 통하여 합성된 클링커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클링커의 미반응 산화칼슘을 측정하여 소성성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무기계 재생원료를 사용한 저탄소형 수경성 시멘트 결합재의 특성 (Properties of Low Carbon Type Hydraulic Cement Binder Using Waste Recycle Powder)

  • 송훈;신현욱;태성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2-28
    • /
    • 2019
  • 시멘트는 건설업에의 기초소재이지만 시멘트 제조시 고온의 소성이 필요하고, 소성시의 원료 및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CO_2$는 새로운 환경문제로 인식되어 이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콘크리트 분야에서의 $CO_2$ 저감을 위한 기술은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등의 혼합시멘트 사용을 권장하는 것이 저감 대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도 또 다른 환경문제로 인식되며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조물 해체 시 발생하는 무기계 재생원료를 리사이클을 통해 시멘트 제조의 원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폐콘크리트, 폐시멘트블록, 폐점토벽돌 및 폐천장재 미분말의 원료조성 검토를 통해 시멘트의 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재생원료의 원료조성 및 조합을 통해 저탄소형 수경성 시멘트 결합재 제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