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Composit Desig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백판지 제조 품질향상을 위한 다요소 강건설계 (Multi-Attribute Robust Parameter Design to Improve White Board Paper Quality)

  • 백계성;손소영;김세진
    • 산업공학
    • /
    • 제12권3호
    • /
    • pp.458-467
    • /
    • 1999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lendaring operation in the process of paper manufacturing. Controllable parameters involved in the calendaring operation are the calendar material, temperature and pressur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robust design of these parameters which would provide consistent quality of paper in terms of the thickness, brightness, and roughness. We first use a split-plot design in the context of a central composit design for a preliminary analysis to find the proper calendar material. Next, response surfaces for the mean and variance of each quality attribute are fitted as functions of calender temperature and pressure. Bootstrap resampling approach is used to find the robust parameter design.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 보조용매를 이용한 포도씨로부터의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rape Seed Using Supercritical $CO_2$ and Ethanol as a Co-solvent)

  • 이원영;장규섭;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7-183
    • /
    • 2000
  •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grape seeds which up to now have been discarded. The optimum condition for extraction process was predict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 experimental design. The extraction amount of grape seed phenolic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and concentration of co-solvent (ethanol).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84.83$^{\circ}$C, 51.50MPa and 1.27% ethanol. The yield of phenolics using SFE was higher with 3 folds than ethanol and 4 folds than hexane but less than 80% methanol. In the respects of food poisoning, the approved solvents were restricted to ethanol and hexane. So, SFE for extraction of phenolics could be powerful alternative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 PDF

죽초액을 사용한 음식물퇴비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 (Ammonia Removal in Food Waste Compost Using Bamboo Smoke Distillate)

  • 권기운;안종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9-4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퇴비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 암모니아 가스를 탈취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탈취제로 죽초액(bamboo smoke distillate, BSD)을 사용하여 첨가량과 반응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최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범위내에서는 음식물퇴비(food waste compost, FWC) 600 g 당 죽초액 74 mL (0.123 mL BSD/g FWC)를 첨가하고 3시간 반응하였을 때 제거량(8.47 ppm $NH_3$/600g FWC)이 가장 높았다. 탈취제로 식초를 사용하였을 때의 암모니아 제거량보다 죽초액을 사용하였을 때 암모니아 제거량이 높았다(p < 0.05).

모과내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olvent Extraction Process on the Active Functional Components from Chinese Quince)

  • 전주영;조인희;경현규;김현아;이창민;최용희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과내의 여러 가지 기능성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모과나무의 익은 열매로 만든 약재인 모과를 사용 하였다. 모과의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모과를 에탄올에 추출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용매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와 추출온도($X_{2}$), 추출시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수율($Y_{1}$), 총 페놀 함량($Y_{2}$), 전자공여능($Y_{3}$), 갈색도($Y_{4}$), 환원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수율은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6.38 mL/g, 추출온도는 72.82$^{\circ}C$, 추출시간은 74.86 min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용매비와 시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추출시간에는 영향을 받았으며, 최대값은 20.70 mg/mL 로 나타났다.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2.61 mL/g, 추출온도는 84.49$^{\circ}C$, 추출시간은 77.25 min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에 따라 유의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장점에서의 추출조건인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65 mL/g, 추출온도 67.78$^{\circ}C$, 추출시간 96.75 min에서 추출수율은 94.12%로 예측되었다. 갈색도에 대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3.77 mL/g, 추출온도 87.27$^{\circ}C$, 추출시간 96.68 min 일 때 안장점이 나타났다. 환원당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6.83 mL/g, 추출온도 82.167$^{\circ}C$, 추출시간 81.94 min에서 10.55 mg/mL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에 영향을 받았다.

다시마추출액을 이용한 발효음료개발 및 품질특성 (Development of Fermented Beverage Using the Sea Tangle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reof)

  • 김미림;최미애;정지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9
    • /
    • 2008
  •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한 반응표면분석에 따라 다시마 추출액으로 tea fungus 발효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발효액의 관능적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다시마 추출액을 이용한 산형 발효 음료 제조시 산도는 $0.0318{\sim}0.8904$, pH는 $0.64{\sim}2.18$, 당도는 $0.6{\sim}8.0$ 및 겔 두께는 $0{\sim}17.5$ mm 등으로 처리구에 따라 큰 변화가 있었으며, 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알코올 함량 2.00%, 당 함량 10.17% 및 감귤과즙 함량 1.99%이었고, 그때 예측된 산도는 0.94였다. 부수적으로 배양액 표면에 생성되는 겔은 알코올 함량 1.98%,당 함량 10.94% 및 감귤과즙 함량이 1.62%일때 최대치 20.13 mm를 나타내었다. 겔이 생성될 때 다량의 유기산이 소모되므로 적정량의 유기산을 함유한 발효액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겔의 생성을 저해하면서 발효액의 유기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알코올 함량 1.0%, 당 함량 10.0%, 감귤과즙 4.0% 첨가구가 $3.67{\pm}0.58$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감귤과즙 첨가 유무는 기호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다시마 추출액만 이용하여 발효하여도 다시마 특유의 비린내는 사라지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해 마시기에 적절한 발효액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 이희해;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4
    • /
    • 2002
  • 가공저장하지 않은 단감을 씨와 꼭지만 제거하고 껍질 체로 동결 건조하여 6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감가루를 제조하고, 이를 첨가하여 매작과를 조리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따라서 감가루의 첨가량과 튀김 온도 및 시간의 세 가지 변수가 조절되어 매작과가 조리되었으며 각 매작과의 품질 특성은 관능 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한 25% 이내의 감가루 함량일 때, 매작과의 색은 첨가된 감가루 함량보다는 튀김 시간과 온도에 따라서 더 영향을 받았다. 매작과의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와 질감의 관계는 점착성이 적고 바삭함이 클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점착성은 감가루의 함량에 대한 영향이 다른 관능 특성에 비하여 크지만, 감가루의 함량이 많더라도 튀김 시간 및 튀김온도가 높을 때는 점착성이 적었으므로 튀김 시간과 온도를 이용하여 조정 할 수 있다. 바삭함은 선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므로 바삭할 수록 품질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튀김 온도가 가장 중요한 반응 변수이며 튀김 시간과 감가루의 함량은 비슷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단한 정도 또한 튀김 온도의 영향이 크며 감가루의 함량과 튀김 시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감가루 첨가에 따른 단맛의 상승 효과는 함량이 높을때는 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지만, 첨가량이 적어질수록 감의 첨가량보다는 튀김온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나 튀김에 의한 고소한 맛이 단맛의 상승작용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작과의 뒷맛 또한 감가루의 첨가량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지만 높은 온도에서 튀김시간이 길어지면 튀김으로 인한 뒷맛이 강하였다.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선호도는 높은 온도에서 튀길 때는 짧은 시간에 제조하며 낮은 온도에서 튀길 경우는 튀기는 시간이 길수록 선호도가 증가되는 경향으로 튀김 조건에 대한 영향이 크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의 중심점인 감가루 함량 15% 일때 145$^{\circ}C$에서 4분간 튀겼을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감가루의 소비를 위해 함량을 늘일 경우는 최대 20%까지 첨가하면 155$^{\circ}C$에서 3 분간 튀겼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감가루 함량이 적은 시료와 선호도의 차이가 같았다. 따라서 감가루 매작과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 조건은 감가루의 함량을 고정하였을때, 색과 바삭거림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겹치는 지점인 튀김 온도가 131~14$0^{\circ}C$에서 5~6분간 튀겼을때 가장 적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