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pull headgea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헤드기어를 이용한 상악 제1대구치의 후방이동 시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연구 (A photoelastic evaluation of stress distribution during distal movement of upper molar)

  • 송세은;임성훈;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1-12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형태의 헤드기어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의 후방이동 시 치아 주위 조직에 나타나는 응력분포를 광탄성법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광탄성 상악모형에 장착한 헤드기어에 high-pull, straight-pull, cervical-pull의 세 가지 방향에서, face bow의 inner bow와 outer bow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outer bow의 길이를 세 가지로 다르게 하여 적용시킨 다음 원편광기를 이용하여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사진기를 이용하여 응력분포를 기록하고, 등색선상의 무늬차수를 이용, 응력분포를 분석하여 이차원적인 광탄성 응력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igh-pull 헤드기어의 경우, 중간 길이의 outer bow일 때 치체이동에 유리한 응력 분포가 나타났다 2. straight-pull 헤드기어의 경우, 긴 길이의 outer bow일 때 좀더 치체이동에 유리한 응력 분포가 나타났으나, outer bow의 길이에 따른 응력분포의 변화는 적었다. 3. cervical-pull 헤드기어의 경우, 긴 길이의 outer bow일 때 치체이동에 유리한 응력 분포가 나타났다. 임상에서 헤드기어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를 후방으로 치체이동시키기 위해서는 facebow outer bow의 높이를 조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high-pull 헤드기어에서는 outer bow와 inner bow를 같은 길이로, straight-pull 및 cervical-pull 헤드기어에서는 outer bow를 더 길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상악전치의 후방견인시 J-hook headgear의 사용이 응력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WHEN RETRACT WITH HIGH PULL J-HOOK HEADGEAR)

  • 이유진;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97-709
    • /
    • 1997
  • 발치 환자의 치료에서 결과의 안정성과 심미적인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악 전치의 전후방 및 수직적인 위치와 순설측 경사를 올바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상악 치열에서 제 1 소구치를 발거하고 견치를 발치 공간으로 후방이동시킨 상태에서, 호선을 이용하여 전치를 후방견인시킬 때 치아의 설측 경사와 정출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힘과 모멘트의 조절을 시도하여야 한다. 치관의 한 지점에 적용되는 힘의 크기와 모멘트의 비율에 따라 치근막에 나타나는 응력분포가 변화하고 이를 알아냄으로써 치아이동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상악 전치부에 직접 힘을 가하게 되는 J-hook headgear는 전치부의 모멘트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호선의 전치부에 각각 다른 토오크를 부여하고 각 상태에서 J-hook headgear를 후상방으로 적용하였을 때 모멘트 변화에 따른 응력분포의 변화를 광탄성법으로 관찰하였다. 치조골 부위를 광탄성 레진으로 대체한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 치아에 .022" slot의 standard edgewise bracket을 부착하였다. 측절치 bracket 원심 1mm지점 에 높이 7mm의 vertical loop을 가지는 호선을 .020" $\times$ .025" stainless steel wire 로 제작하였으며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에 high pull f-hook headgear를 위한 hook을 납착하였다. 전치부에서 $0^{\circ},\;7^{\circ},\;14^{\circ}$ 의 토오크를 각각 부여한 뒤, loop을 1mm activation하였을 때 나타나는 응력분포와 각각에 high pull J-hook headgear를 교합면에 대하여 후상방 $35^{\circ}$ 방향으로 200mg의 힘을 적용했을 때의 응력분포를 비교하였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론 1. $0^{\circ}$ 토오크에서는 치근의 치근단측 1/2부위에 응력이 분포하였으나 순측에 비해 설측이 약하고 좁게 나타났고 특히 치근단에 집중된 응력은 순, 설측 모두에서 high pull J-hook headgear의 사용으로 감소하였다. 2. $7^{\circ}$ 토오크에서는 치근면을 따라서 응력이 분포하는데, 순측으로는 치조정에서부터 나타나는 응력이 치근면을 따라 서 치근단측 1/3부위까지 점차 폭이 좁아졌고, 설측은 순측보다는 약한 응력이 치근의 치관측 1/3에서부터 치근단까지 나타났다. 치근단에서는 순측보다 설측이 더 강하게 나타났고, high pull J-hook headgear의 사용으로 전반적으로 응력의 크기와 폭의 증가가 있었다. 3. $14^{\circ}$ 토오크의 호선에서는$7^{\circ}$ 토오크의 호선과 분포하는 응력의 양상은 유사하지만 좀 더 강하게 나타났고, 순측에서 는 치근면의 중앙부위가 폭이 가장 넓게, 설측에서는 순측에 비해 균일한 폭으로 응력이 분포하였다. 치근면을 따라서 나타나는 응력은 headgear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강하였고 순측보다는 설측이 더 강하였다. headgear를 사용하였을 때 치근단의 응력 집중은 순측에서보다 설측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른 경부견인 헤드기어의 효과에 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effect of cervical pull headgear based on facial growth patterns)

  • 강은하;장종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3-510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해 경부견인 헤드기어(cervical pull headgear)를 사용할 때, 치료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언급되는 효과들이 실제로 발현되는지의 여부와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알아 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삼성서울병원 치과교정과에서 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경부견인 헤드기어로 치료받은 환자중, 성장기에 있으면서 비발치 치료를 받은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을 "후안면/전안면 고경비" 에 따라 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직성장군 15명(남자 5명, 여자 10명)과 수평성장군 11명(남자 4명, 여자 7명)의 치료전, 후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에서 SN-PP angle, SN-GoGn angle, SN-MP angle, PFH/AFH ratio, SN to 6, PP to 6 등을 계측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수직성장군에서 구개평면이 전하방으로 경사되었다. 2)수평성장군에서 후안면/전안면 고경비가 증가하였다. 3)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 모두에서 하악평면각은 변화하지 않았다. 4)상악대구치의 정출양에 있어서 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의 차이는 없었다.

  • PDF

HEAD GEAR가 상악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A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HEADGEAR IN HUMAN MAXILLA)

  • 이인수;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1-227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displacement in the maxillary complex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 head gear. (high pull head gear, straight pull head gear, cervical pull head gear.) Orthopedic force, 300 gram, was applied to the maxilla of the dry human skull in a high, straight and cervical direction.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displacement within the maxillary complex was analyzed by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n won, the stress of conical pull head gear was the greatest stress and straight pull head gear was the medium stress and high pull head gear was the least stress. 2. The compressive stress was observed on the anterior portion of premaxilla, especially anterior nasal spine area, when the three kinds of head gear were applied to the dry kuman skull. 3. It appeared that the stress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zygomatic bone was greater than the posterior portion in the case of three kinds of head gear application and compressive stress was noted only at the below of the frontozygomatic suture of the zygomatic bone. 4. The backward, upward, sideward displacement of the alveolar area was observed in a high pull head gear application but in the case of straight pull head gear and cervical pull head gear application, the backward, downward, sideward displacement was observed. 5. The forward, downward, sideward displacement was observed on the midpalatine suture and premaxilla on the sagittal plane and transverse palatine suture in the case of three kinds of headgear application.

  • PDF

Comparison of treatment effects between the modified C-palatal plate and cervical pull headgear fo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adults

  • Park, Chong Ook;Sa'aed, Noor Laith;Bayome, Mohamed;Park, Jae Hyun;Kook, Yoon-Ah;Park, Young-Seok;Han, Seong 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75-383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ntal and skeletal effects of the modified C-palatal plate (MCPP) fo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ose of cervical pull headgear.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the lateral cephalograms of 44 adult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including 22 who received treatment with MCPP (age, $24.7{\pm}7.7years$) and 22 who received treatment with cervical pull headgear (age, $23.0{\pm}7.7years$). Pre- (T1) and post-treatment (T2) cephalograms were analyzed for 24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after treatment in each group and differences in treatment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ean amount of distalization at the crown and root levels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 amount of distal tipping was 4.2 mm, 3.5 mm, and $3.9^{\circ}$ in the MCPP group, and 2.3 mm, 0.6 mm, and $8.6^{\circ}$ in the headgear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intrusion by 2.5 mm was observed in the MCPP group. In both groups, the distal movement of the upper lip and the increase in the nasolabial ang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However, none of the skeletal and soft tissue variabl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CPP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total arch distalization in adult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olar distalization with a palatal plate, pendulum, and headgear according to molar eruption stage

  • Kang, Ju-Man;Park, Jae Hyun;Bayome, Mohamed;Oh, Moonbee;Park, Chong Ook;Kook, Yoon-Ah;Mo, Sung-Se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290-300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1) evaluate the effects of maxillary second and third molar eruption status on the distalization of first molars with a modified palatal anchorage plate (MPAP), and (2) compare the results to the outcomes of the use of a pendulum and that of a headgear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s: Three eruption stages were established: an erupting second molar at the cervical one-third of the first molar root (Stage 1), a fully erupted second molar (Stage 2), and an erupting third molar at the cervical one-third of the second molar root (Stage 3). Retraction forces were applied via three anchorage appliance models: an MPAP with bracket and archwire, a bone-anchored pendulum appliance, and cervical-pull headgear. Results: An MPAP showed greater root movement of the first molar than crown movement, and this was more noticeable in Stages 2 and 3. With the other devices, the first molar showed distal tipping. Transversely, the first molar had mesial-out rotation with headgear and mesial-in rotation with the other devices. Vertically, the first molar was intruded with an MPAP, and extruded with the other appliances. Conclusions: The second molar eruption stage had an effect on molar distalization, but the third molar follicle had no effect. The application of an MPAP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C-activator를 이용한 성장기 II급 부정교합환자의 구치부 원심이동 치험례 (C-activator treatment for distalization of maxillary molars in Class II anterior deep bite malocclusion)

  • 김성훈;정규림;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9-277
    • /
    • 2004
  • 혼합 치열기의 교정치료 증례 중에서 경도의 총생을 가진 경우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함으로서 양호한 치료의 결과를 얻는 경우가 많다 주로 악외 견인장치를 적용하여 원심이동을 시행하지만 환자의 협조도에 따라 구치의 원심이동이 결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구강내 고정원 사용시 생길 수 있는 반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에 의해 개발된 C-space regainer는 후방이동 시키고자 하는 치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치아들을 완벽하게 묶음으로서 효과적인 후방이동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 후속영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으로 매복 치에 의한 인접치의 치근손상이 예상되는 성장기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기능 교정장치에 t-space regainer의 개념을 적용한 변형된 C-space regainer, 즉 C-activator가 사용되어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어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