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otic Respons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동적 카오틱 뉴런의 수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haotic Dynamic Neuron)

  • Won-Woo Park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2-39
    • /
    • 2004
  • 생체 뉴론은 일반적으로 지속적 또는 과도적인 카오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체 뉴론의 카오틱 반응에 대한 분석적인 해석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동적 카오틱 반응에 대한 카오틱 뉴런의 과도 카오틱 특성은 지역 수렴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카오틱 응답은 최적화 문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초기 카오틱 특성은 사라져야 한다. 패턴 인식, 확인, 예측, 그리고 제어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신경회로망 응용에 있어서 필요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뉴론은 한 개의 안정적인 고정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카오틱 뉴런의 동적 특성과 카오틱 응답을 발생시키는 조건을 분석하고, 카오틱 뉴런의 수렴조건을 제안하였다.

  • PDF

Chaotic Response of a Nonlinear Vehicle Model and Elimination of the Chaos

  • Lai, Edmund;Park, Chan-Goo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06.6-106
    • /
    • 2001
  • In this paper, a four-degree-of-freedom non-linear model is developed to study the dynamic response of vehicle that is caused by the disturbance from the road. The chaotic vibration of the model is investigated with numerical simulation. The model displays complicated dynamic responses including harmonic motions and chaos. It is found that changing of the damping coefficients of the system can eliminate the chaotic response.

  • PDF

주기적인 충격력을 받는 탄소성 보의 케이오틱거동 연구 (A Study of Chaotic Responses of an Elastic-Plastic Beam Model to Periodic Impulsive Force)

  • 이재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158-1167
    • /
    • 1995
  • In this study, the dynamic instabilities of a beam, subjected to periodic short impulsive loading, are investigated using simple 2-DoF beam model. The behaviors of beam model whose axial motions are constrained are studied for the case of elastic and elastic-plastic behavior. In the case of elastic behavior, the chaotic responses due to the periodic pulse a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 are analysed by investigating the fractal attractors in the Poincare map. The short-term and long-term responses of the beam are unpredictable because of the extreme sensitivities to parameters, a hallmark of chaotic response. In the case of elastic-plastic behavior, the responses are governed by the plastic strains which occur continuously and irregularly as time increases.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behavior change continuously due to the plastic strain increments, and are unpredictable as well as the elastic case.

카오틱 신경망을 이용한 다입력 다출력 시스템의 단일 예측 (The Single Step Prediction of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using Chaotic Neural Networks)

  • 장창화;김상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41-1044
    • /
    • 1999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single step prediction for output responses of chaotic system with multi Input multi output using chaotic neural networks. Since the systems with chaotic characteristics are coupled between internal parameters, the chaotic neural networks is very suitable for output response prediction of chaotic syste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neural network predictor, we adopt for Lorenz attractor with chaotic response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recurrent neural networks. The results demonstrated superior performance on convergence and computation time than the predictor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we could also see good predictive capability of chaotic neural network predictor.

  • PDF

A study on the Convergence Condition of Chaotic Dynamic Neural Networks

  • Kim, Sang-Hee;Wang, Hua O.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7권4호
    • /
    • pp.242-248
    • /
    • 2007
  • This paper analyzes on the chaos characteristics of the chaotic neural networks and presents the convergence condition. Although the transient chaos of neural network sould be beneficial to overcome the local minimum problem and speed up the learning, the permanent chaotic response gives adverse effect on optimization problems and makes neural network unstable in genera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otic neural networks with the chaotic dynamic neuron, and presents the convergence condition for stabilizing the chaotic neural networks.

HVPM 모델을 이용한 카오스 동기화 (Chaotic Synchronization of Using HVPM Model)

  • 여지환;이익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5-8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HVPM(Hyperchaotic Volume Preserving Maps) 모델을 이용한 카오스 동기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HVPM 모델은 3차원 이산시간(discrete-time) 연립 차분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선형 사상(maps)과 모듈러(modulus) 함수를 사용하여 랜덤한 카오스 어트랙터(attractor)를 발생시킨다. Pecora와 Caroll은 최근 카오스 시스템이 카오스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가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HVPM 모델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결합동기(coupled synchronization)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에서 카오스 시스템과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결합하여 카오스 동기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반도체 레이저의 광 주입을 이용한 혼동 통신망의 암호화 기법 분석 (Analyses of Encryption Method for Chaos Communication Using Optical Injection Locked Semiconductor Lasers)

  • 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11-815
    • /
    • 2005
  • We theoretically studied synchronization of chaotic oscillation in semiconductor lasers with chaotic light injection feed-back induced chaotic light generated from a master semiconductor laser was injected into a solitary slave semiconductor laser. The slave laser subsequently exhibited synchronized chaotic output for a wide parameter range with strong injection and frequency detuning within the injection locking scheme. We also analytically examined chaos synchronization based on a linear stability analysis from the view point of synchronization based on a linear stability analysis from the view point of modulation response of injection locked semiconductor lasers to chaotic light signal.

T-S 퍼지 모델을 이용한 불확실한 카오스 시스템의 적응동기화 (T-S Fuzzy Model-Based Adaptive Synchronization of Chaotic System with Unknown Parameters)

  • 김재훈;박창우;김은태;박민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70-275
    • /
    • 2005
  • 본 논문은 퍼지 모델을 이용한 불확실한 카오스 시스템의 적응 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카오스 동기화 시스템은 마스터 시스템과 슬레이브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시스템은 Takagi-Sugeno (T-S) 퍼지 모델을 통해 표현된다. 마스터 시스템은 파라미터가 미리 알려지지 않은 불확실한 모델로 가정되므로 불확실한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 적응 기법을 적용하여 슬레이브 시스템을 설계한다. 동기화 오차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불확실한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적응 규칙을 이용한 제어기를 설계하며 Lyapunov 이론을 통해 안정도를 해석한다. 제안된 퍼지 적응 동기화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Duffing 시스템과 Lorenz 시스템에 대해 모의 실험을 수행한다.

분기 모우드를 활용한 얇은 빔의 혼돈 역학에 관한 연구 (On the Chaotic Vibrations of Thin Beams by a Bifurcation Mode)

  • 이영섭;주재만;박철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121-128
    • /
    • 1995
  •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what follows: 1) The modeling of thin beams, which is a continuous system, into a two DOF system yields satisfactory results for the chaotic vibrations. 2) The concept of "natural forcing function" derived from the eigenfunction of the bifurcation mode is very useful for the natural responses of the system. 3) Among the perturbation techniques, HBM is a good estimate for the response when the geometry of motion is known. 4) It is known that there exist periodic solutions of coupled mode response for somewhat large damping and forcing amplitude, as well as weak damping and forcing. 5) The route-to-chaos related with lateral instability in thin beams is composed of period-doubling and quasiperiodic process and finally follows discontinuous period-doubling process. 6) The chaotic vibrations are verified by using Poincare maps, FFT's, time responses, trajectories in the configuration space, and the very powerful technique Lyapunov characteristics exponents.exponents.

  • PDF

충격력을 받는 구형 쉘의 혼돈거동 해석 (Chaotic Response of a Spherical Shell to Impulsive Loading)

  • 이재영;강영철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3호
    • /
    • pp.167-174
    • /
    • 1997
  • 계가 혼돈거동을 나타낼 경우에는 변수들의 미소변화에 의해서도 계가 전혀 다른 거동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선형계의 설계 및 해석시에는 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형 쉘의 중앙에 충격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쉘의 기하학적 비선형성과 재료적 비선형성으로부터 기인되는 혼돈거동을 해석하였다. 쉘의 탄소성거동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구한 후 계의 거동을 변위-시간이력, 프앙카레 맵, phase diagram등의 표준적인 방법들을 이용하여 쉘의 혼돈거동을 규명하였다. 해석결과, 계는 혼돈거동을 나타내었으나 탄소성보의 경우와는 달리 초기조건의 미소변화에 대한 극도의 민감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간에 대한 쉘의 거동특성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프앙카레 맵은 한정된 영역에 결쳐서 점들이 분포되었기 때문에 계의 거동이 혼돈거동임을 보여 주고 있지만 혼돈계의 프앙카레 맵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구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에너지선도를 이용하여 쉘이 하중의 작용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snap-through되는 원인을 규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