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of figur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3초

만평 속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의 기호적 분석 (Symbolic Analysis of a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Female Agent')

  • 박경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307-334
    • /
    • 2014
  • 만평은 특정인물 또는 사회현상을 풍자하기 위해서 특정인물 또는 사회현상에 비유되는 인물캐릭터를 등장시킨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말과 행위를 통해 부정행위를 한 권력자나 부조리한 사회현상을 드러낸다. 본 연구의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은 장기간에 걸쳐 만평에 등장하고 있으며, 실제 인물 대신에 사회현상을 비유하고 있다. 이처럼 국정원 여직원이 장기간에 걸쳐 만평 속 인물캐릭터로 등장하는 이유는 관련된 사회현상이 종결되지 않고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인물 대신에 사회현상을 비유하는 이유는 국정원 여직원의 숨겨진 얼굴로 인해 얼굴을 알기 쉽지 않은데 기인한다. 숨겨진 얼굴은 인물의 특징을 과장하기 힘들게 한다. 숨겨진 얼굴은 야구모자와 목도리로 상징되는 숨고 싶은 욕망의 표현이기도 하다. 숨겨진 얼굴과 숨고 싶은 욕망은 실제 인물 대신에 관련 있는 다른 인물 혹은 사회현상으로 치환하기 쉽게 만든다. 즉 국정원 여직원의 외형적 특징은 만평에서 '추가된 기의'를 결합시키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은 실제 국정원 여직원과 무관하게 여러 의미가 필요에 의해 결합하여 실제 인물은 사라지고 다른 인물 혹은 집단 또는 사회현상으로 치환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만평에서 '국정원 여직원'으로 등장하는 인물캐릭터를 기호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역할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기호적 분석을 통해 다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만평은 사회현상을 풍자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사회현상을 풍자한다. 두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핵심적이거나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어 풍자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사회현상의 핵심적이거나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어 풍자한다. 세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책임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책임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네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에 의해 개인이 받게 되는 상처 혹은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풍자하고 조롱함으로써 부조리한 사회현상에 의해 개인이 받게 되는 상처 혹은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모션 캡쳐 데이터에 기초한 스틱 피규어애니메이션 제작 (Creating Stick Figure Animations Based on Captured Motion Data)

  • 최명걸;이강훈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3-31
    • /
    • 2015
  • 본 논문은 모션 캡쳐 데이터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사실적인 2차원 스틱 피규어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스틱 피규어 애니메이션은 대개 전체 시간 구간에 대하여 매 프레임마다 하나씩의 자세를 일일이 그리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반면, 제안된 방법에서는 스틱 피규어 형태의 자세 위에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선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한 장의 그림 안에 여러 프레임에 걸친 동작(예를 들어, 발차기나 점프)을 축약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이러한 그림으로부터 자동으로 시간에 따른 자세 변화를 합성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가 그린 스틱 피규어를 2차원 평면에서 변형시킬 수 있는 캐릭터 모델을 생성한다. 이 후, 미리 구축된 모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주어진 자세 및 동작선 정보에 가장 근접한 동작 구간을 검색한다. 검색 결과로 추출된 동작에 따라 캐릭터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최종적인 스틱 피규어애니메이션을 합성한다. 여러 형태의 스틱 피규어에 이동, 격투 등의 다양한 동작을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적은 노력만으로 흥미로운 스틱 피규어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데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기본 평면도형을 활용한 국내 TV 유아동 애니메이션 캐릭터 형태 분석 -한국교육방송 방영작을 중심으로- (By Basic Plane Figure, An Analysis Study on Appearance Type of Character in Domestic Kids TV Animation -Focus on the Broadcasting Animation on EBS-)

  • 김석래;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397-405
    • /
    • 2016
  • 유아동 애니메이션 작품의 등장인물인 캐릭터의 경우, 작품의 핵심적 시각요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관련 비즈니스를 전개하는데 있어 핵심 콘텐츠로서 또한 그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을 인식할 때 단순한 형태를 더 빠르고 명확히 인식한다는 인간의 인지능력을 근거로, 기하학 평면도형을 활용하여 캐릭터 기본 형태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분석 기준을 확립, 이를 EBS에서 방영되고 있는 국산 유아동 애니메이션 작품들의 캐릭터들에게 적용하고 그 결과를 산출,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유아동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외형을 결정짓는 기본 평면도형의 유형을 파악, 두상에서는 정원의, 몸통에서는 세로방향 원형 형태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캐릭터 제작 시, 실무적 적용이 가능한 객관적 디자인 창작지표의 하나로 그 의미를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캐릭터 패션에 관한 연구(硏究) - 캐릭터 모티프의 의복(衣服)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haracter Fashion - Concentrating on the Motive of the Character Appeared on Apparel -)

  • 김성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권2호
    • /
    • pp.31-4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character fashion which is worn everyday by people regardless of their sex, class, and age after the 1960's, and to look at its significance. Under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V, film, comic and popular music exercised its power over the modern living after the 1960's. Such culture has its character in youth, aspiration of wide spread and overflow of the visual image. While active life style and increase of time spent on sports and leisure created the casual trend in fashion. In addition to Pop Art leads to the usage of sign and symbol on clothes, and this created a trend called 'character fashion'. Character fashion can be divided into 'motive' and 'expression'. Motive then is segmented by the 'person' that includes an impersonated figure and 'symbol' of picture or figure with a special meaning. However,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by 'one's belonging' which can be a sports team, school or a group. Also, by the 'message' of the phrase or letter. The meaning contained in character fashion by the various motive and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as unisex, ego screaming, and escapism.

  • PDF

<옥소선 이야기>의 전변양상(轉變樣相)과 그 서사적 의미 (A study on the transmitting and changing aspects of Oksosun stories)

  • 장진숙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297-326
    • /
    • 2008
  • I started this study to solve the doubt about actual condition of Oksosun stories. which was recorded in Cheonyerok(天倪錄) is the first form of Oksosun stories. But this story seems a very outstanding work. had a structure of romance. The hero's character was a romantic figure but Oksosun's character was a figure of Yadam. Afterward recorded in Gyeseoyadam(溪西野譚) and recorded in Cheongguyadam(靑邱野談) took plac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story. A lot of narrative paragraphs were removed in these stories. So and achieved the typical structure of Yadam. In recorded in Dongyahwijip(東野彙輯), the change of style was caused once more. So we can see the transmitting and changing flow of Yadam by this study; Romantic Yadam ${\rightarrow}$Typical Yadam , ${\rightarrow}$Noverized Yadam .

한국어 문서로부터 문자분리 및 도형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haracter Segmentation and Picture Extraction from a Document)

  • ;류황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091-1101
    • /
    • 1988
  • In this paper, a method to segment each character and extract figure from Korean documents is proposed. At first, each character string is extracted by means of iterative horizontal propagation, shrink algorithm and run-length algorithm. Individual character region is extracted by iterative horizontal and vertical manipulation. Next, characters of right pitch are searched. Each character is segmen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Overlapped character is segmented on the ground of the width of already extracted character. The rest are extracted as special characters of half pitch. Using 9 data input in the form of 840 X 600 from Korean monthly magazine, experiment was simulated. Extraction rate of character is 100%, and that of individual character is 98%. Judging from these results, efficiency on extracting character region and segmenting individual character is proved.

  • PDF

MMORPG 디아블로 III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미메시스 특성 (A Study on the Mimesis Type of the Costume in MMORPG Diablo 3)

  • 유선아;고현진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126-1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mimesis types of common character costumes in MMORPGs, which have stories that are very similar in structure to ancient myths and fantasy novels.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 have selected "Diablo 3" created by the American video game developer, Blizzard Entertainment Images of 5 characters, for both genders - Barbarian, Witch Doctor, Monk, Demon hunter, Wizard - were compiled for a total of 10 images, and these images were compared to popular archetypes in mythology, religion and literature. analyzed them separately according to the mimesis type. For this study, Articles and books containing the Aesthetics, Mimesis and Digital culture were researched in order to study the costume features and the Mimesis types and compare them to the costumes in the MMORPG. Firstly, the character Barbarian is a successor of the barbarian character of the previous product. The outfit worn by the game figure is based on the common images expressed in the movie . The makers created an analogous-imitation mimesis by replicating the image in an exaggerated and grand form. Second, the character Witch Doctor derived its motif from the Voodoo cult, and was expressed in analogous-imitation mimesis, using the very shades and patterns used in real life. Third, the character Monk, blending the image of a priest in Eastern Europe and images of its oriental counterparts, was expressed in transposition-diversion mimesis. Fourth, the Demon Hunter took the source of its inspiration from the image of a Witch hunter in the medieval times. The game character has a sharper sleeker figure than its model, and uses more acute shapes and darker gloomier colors expressed in an analogous-imitation mimesis. Finally, the character Magician took a formless character and expressed it in transposition-diversion mimesis taking as its basis some fantasy novels.

큐비즘(Cubism)이 활용된 현대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 2010년 이후를 중심으로 -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dapting the Cubism - Focused on the Fashion since 2010 -)

  • 윤정아;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09-221
    • /
    • 2013
  •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bism on fashion and figure out how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have been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in the 21st century, focusing on the period since 2010. The propose of the study is to broaden research scope in fashion design through analysis and inspection on formative aspects among the cases which have proposed brand - new fashion designs by adapting cubism in fash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ubism in paint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ubism are reflected, a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by referring to domestic and foreign books, previous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Internet resources on cubism. For an empirical study, in addition, photos of cubism-applied modern fashion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http://www. samsungdesign.net.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irs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ubism were obtained in following categories; character of figure, simultaneity, reiteration and facticity.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cases after appl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character of figure by the geometric shape of cubism was observed in fashion as well. After dismantling and reconfiguring garments, simultaneity has been expressed in an exaggerated and distorted manner through regular and repetitive overlapping or overlapping of irregular shapes. In terms of facticity, novelty has been delivered with the use of heterogeneous materials, using collage and patchwork techniques. Third, simplicity and functionality in cubism - style garme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have disappeared in contemporary design in the 21st century. Now, a dynamic aspect is only found. Fourth, unlike common paintings, 2D textiles are added to a 3D body in fashion design. In addition, it can be observed from multiple angles depending on the movement so that it can display more diverse shapes. Therefore, it could be the origin of inspiration to many design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