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ggukjang die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Cheonggukjang on Immune Responses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s in Rats

  • Lee, Chang-Hyun;Yang, Eun-In;Song, Geun-Seoup;Chai, Ok-Hee;Kim, You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9-23
    • /
    • 2006
  • Effects of cheonggukjang on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in gastrointestinal (GI) tract of rats were investigated. $CD4^+/CD8^+$ immunoreactive cells of cheonggukjang-fed diet groups were more strongly stained in lamina propria of mucosa and submucosa than those of basal diet group. Universal nitric oxide synthase immunoreactive density in colon was mildly stained in surface epithelium and mucous secretory gland, and strongly stained in submucosa and myenteric plexus in muscle layers of all cheonggukjang-fed diet groups. Protein kinase C-${\alpha}$ immunoreactive cells in colons of 15 and 25% cheonggukjang-fed diet groups were more strongly stained in mucosa, submucosa, and muscle layers than those of basal die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mucosal immune activity, gastrointestinal motility, blood circul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nteroendocrine cells in GI tract could be increased with cheonggukjang intake.

Effects of Cheonggukjang and Doenjang on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 Lee, Chang-Hyun;Song, Geun-Seoup;Kim, You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553-557
    • /
    • 2008
  • The effects of cheonggukjang and doenjang on bone mineral density, trabecular area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tibia, and serum osteocalcin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were investigated. After 4 weeks, bone mineral density, bone trabecular area, the cortical thickness index, and serum osteocalcin level were analyzed. The cheonggukjang and doenjang diet groups showed significant prevention of ovariectomized (OVX)-related body weight gain. Whole body bone mineral density of the OVX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ham group, whereas the cheonggulgang and doenjang diets resulted in complete restor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Trabecular area in the proximal diaphysis and cortical thickness in the distal diaphysis of the tibia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heonggukjang and doenjang diet fed groups. The cheonggukjang and doenjang diets significantly reduced serum osteocalcin level in the OVX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onggukjang and doenjang might have inhibitory effects on osteoporosis, by showing accelerated bone formation in OVX rats.

Diet of Red Ginseng-Cheonggukjang Improves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 Shin, Kyung-Ok;Lee, Sang-Il;Kim, Soon-D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87-294
    • /
    • 2008
  • Protective effect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20% red ginseng (RC) were observ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by measuring levels of blood glucose, serum lipid profiles, and hepatic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c activities. RC diet was prepared by mixing with AIN-76 diet at the final concentration 2%, and it was fed to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3 weeks. The RC dict was significantly improved body weight, feed efficiency ratio, levels of serum glucose, and serum and hepatic lipids in diabetes. The significantly elevated O typ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in diabetes was also greatly decreased by the RC diet. The treatment of RC showed the improved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in the diabetic animals.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uld ameliorate STZ-induccd diabetic symptoms such as aggravated blood glucose levels, serum lipid profiles, and even the conditions of oxidative stress.

청국장 식이와 유산소 운동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Diet and Aerobic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 김상우;정선태;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7-663
    • /
    • 2013
  • 생후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를 분양 받아 청국장식이유산소운동군 8마리, 청국장식이군 8마리, 유산소운동군 8마리, 대조군 8마리, 총 32마리를 대상으로 구분하였다. 운동은 6주간, 주 5회, 경사도 0%, 속도 15~16 m/min으로 하고, 1주차 25분, 2~3주차 30분, 4~5주차 35분, 6주차 40분이 되도록 실시하였고, 청국장은 20% 청국장 첨가식이를 1일 20 g 기준으로 섭취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국장 식이와 유산소 운동은 혈중지질중 T-C, TG, HDL-C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항산화효소 중 SOD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산소 운동의 혈중지질의 개선, 항산화 효과와 청국장에 함유된 레시틴(lecithin), 사포닌(saponin), 글라이시틴(glycitin), 파이틱산(phytic acid) 등의 성분들의 시너지 작용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LDL-C, TBARS, CAT, GPx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차후 연구에서 운동강도, 빈도, 지속시간과 청국장의 섭취량 등에 변화를 준 다각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국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체중감소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Body-Weight-Loss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Cheonggukjang (a Fermented Soybean Paste) Given to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김아라;이재준;이환;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8-697
    • /
    • 2010
  •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서 청국장 분말 투여가 비만억제 및 지질 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정상군(N), 대조군(HFC), 고지방-콜레스테롤과 DJI 청국장식이군(HFC-SCK), 고지방-고콜레스테롤과 시판청국장 식이군(HFC-CCK)으로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되었고 청국장 분말의 급여로 저하되었다. 식이섭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 시판청국장 식이군이 가장 낮았다. 식이효율은 정상군이 가장 낮았으며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군들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간과 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한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청국장 분말 급여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정상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혈청 중 중성지방의 함량은 DJI 청국장 분말의 급여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정상군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시판청국장 분말의 급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청국장식이군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청국장 분말의 급여로 증가하였으며 DJI 청국장군이 가장 높았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LDL-콜레스테롤, 심혈관위험지수 및 동맥경화지수는 청국장 분말 급여로 감소되었고 감소된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간, 부고환 및 장간막지방조직 중 총지질과 중성지방 함량은 DJI 청국장의 급여로 낮아졌으나 시판청국장 급여 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간 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청국장 분말 급여로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정상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변의 배설량, 수분 함량 및 총지질 배설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청국장식이군들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변의 배설량, 수분 함량 및 총지질 배설량은 청국장식이군들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고, 장간막지방조직 중 HR-LPL과 TE-LPL 활성은 DJI 청국장군에서는 두 효소 활성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시판청국장군에서는 TE-LPL 활성만 저하되었다. 본 연구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에 청국장 분말을 함께 급여한 결과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보였고 LPL 활성을 저하시켜 청국장이 비만과 고지혈증의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시판청국장에 비하여 DJI 청국장의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버섯균사체청국장이 고지혈증을 유도한 암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myceria on Lipid Metalbolism in Adult Female Rats)

  • 최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79-1683
    • /
    • 2009
  • 청국장 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암쥐에 4주간 고지방식이 (0.1% 콜레스테롤, 10% 지방)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고지방 식이), 청국장군(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고지방 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3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은 15.99 g의 증가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은 각각 4.47 g 및 1.89 g 증가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도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궁주위 지방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AI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무게, 수분함량 및 총지질 배설량은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 첨가 섭취시 흰쥐의 체중감소와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며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되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 분말 첨가식이가 당뇨 쥐의 혈당과 염증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ungkukjang Powder Supplements on the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Inflammation in Diabetic Rats)

  • 양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8-127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청국장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대두, 약콩, 및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의 섭취가 STZ 유도 당뇨 쥐의 혈당 및 염증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당뇨로 증가된 혈당은 약콩청국장 분말 45.5% 및 블랙푸드를 첨가하여 만든 약콩청국장 분말 50.0%을 섭취시킨 DY와 DYB군에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군에 비해서 당뇨군에서 인슐린 농도와 분비능은 낮은 반면에, 인슐린 저항성은 높았다. 그러나 약콩청국장 분말 45.5%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 50.0%의 공급으로 인슐린 농도와 분비능을 다소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리지방산 농도는 C군에 비해서 DC군에서 높았으며, 당뇨 유도로 높아진 유리지방산은 대두청국장 분말 55.0%의 공급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 지표로 leptin의 농도는 C군에 비해서 인슐린 분비량이 낮은 당뇨를 유도한 모든 군에서 leptin의 농도가 낮았으며 청국장 분말의 공급 유무나 형태가 당뇨 유도군의 leptin 분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 다른 지표로 adiponectin의 농도는 C군에 비해 당뇨 유도군들에서 낮았으며, 청국장 분말의 공급 유무 및 형태에 따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혈당 농도와 관련된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HOME-IR과 adiponectin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인슐린 농도는 HOME-${\beta}$ 및 leptin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인슐린 농도는 leptin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adiponectin 농도와는 음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leptin과 adiponectin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당뇨 유도로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은 높고 인슐린 분비능, leptin 및 adiponectin 농도는 낮았다, 그러나 혈당과 인슐린저항성 및 분비능은 44.5%의 약콩이나 50.0%의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 식이의 공급으로 다소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약콩 및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이 향후 당뇨 환자의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약초 청국장이 흰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cheonggukjang on Serum Cholesterol Levels in Rats)

  • 김형우;조수진;김부여;정선;박정숙;이숙영;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2
    • /
    • 2008
  • Ojectives : Cheonggukjang(natto) is known to have anti-hyperlipidemic a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Herbal-cheonggukjang (HC, Herbal-natto) is more effective than cheonggukjang only, Methods : We investigate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HC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fat diet in terms of observation on level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HC was made by cheonggukjang added Codonopsis Lanceolata, Houttuynia cordata and Lentinus edodes in indicated concetrations. Results : In this experiment, hyperlipidemic rats showed elevat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also showed lowered level of HDL-cholesterol. Oral administration of HC decreas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heonggukjang(natto) did not affect levels of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lusions : In these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HC decrease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eff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HC is useful to modulat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 PD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SCGB574 Ameliorates High Fat Diet-Deteriorated Large Intestinal Health in Rat Model

  • Jae Ho, Choi;Jiyon, Kim;Taekyun, Shin;Myeong Seon, Ryu;Hee-Jong, Yang;Do-Youn, Jeong;Hong-Seok, Son;Tatsuya, Unn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22-532
    • /
    • 2022
  • Cheonggukjang is a traditional fermented food in Korea, which is known to exert beneficial effects on heal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cheonggukjang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SCGB 574 (B574) on high fat diet (HFD)-deteriorated large intestinal health. Rats were fed with HFD or HFD supplemented with 10.1% cheonggukjang (B574). Fecal microbiota was analyz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nd the fecal and serum metabolome were measured using GC-MS. Our results showed that SCGB574 intake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restored tight junction components, and ameliorate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SCGB574 also shifted gut microbiota by increasing the abundance of short chain fatty acid producers such as Alistipes and Flintibacter, although it decreased the abundance of Lactobacillus. Serum and fecal metabolome analys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metabolic profiles between the groups. The top five metabolites increased by SCGB574 were i) arginine biosynthesis, ii) alanine, aspartate, and glutamate metabolism; iii) starch and sucrose metabolism; iv) neomycin, kanamycin, and gentamicin biosynthesis; and v) galactose metabolism. These results showed that cheonggukjang fermented by SCGB574 ameliorates adverse effects of HFD through improving intestinal health.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 식이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간 기능과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Powder Made with Black Foods on Liver Function and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현숙;양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9-707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및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이 STZ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간 기능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후, 당뇨병과 같은 생활 습관병의 예방과 합병증을 낮추기 위한 식이요법으로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식이 섭취에 대한 근거 자료를 마련 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으로는 정상식이군(Control), 당뇨 정상식이군(Diabetic), 당뇨 대두청국장 식이군(DSC), 당뇨 약콩청국장 식이군(DYC), 그리고 당뇨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식이군(DYCB)로 나누어 7주간 실험식이를 공급 한 후 혈청과 간 조직 내 간 기능 지표 및 지질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의 일일 체중 증가량과 사료효율이 감소되었으며, 이때 식이로 공급한 청국장식이 공급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간 기능 지표로 GOT와 GPT 활성 모두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청국장식이 공급으로 높아진 활성을 조절할 수 있었다. 총 빌리루빈 함량은 역시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약콩청국장 및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 식이의 공급으로 낮출수 있었다. 또한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고지혈 증상과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위험지수가 증가된 반면에 HDL-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청국장식이 공급으로 다소 호전된 결과를 얻었다. 특히 간 조직 내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위험지수 조절은 대두 청국장에 비해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당뇨에 의해 유발 될 수 있는 간 기능, 고지혈증 그리고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위험지수 개선에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 식이 섭취가 다소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