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practicu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신고운;김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6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Result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efficacy directly. Als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direct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The Stor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 Focusing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50-761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마친 3급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경험이 남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3급 보육교사들의 효율적인 보육실습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소재 P 보육교사교육원과 S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은 실습기관 선정의 어려움, 실습준비 부족, 교육과정과 현장의 연계 불일치, 실습의 스트레스, 영유아 지도의 어려움,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의 경험이 남긴 의미는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진로 결정 및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보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 강정원;국소영;박명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 라승선;이춘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5-49
    • /
    • 2013
  • 본 연구는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대상은 D광역시의 보육교사 368명이다. 연구도구는 조운주(2001)의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목적을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력과 경력에서 '효율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지도 능력'을 제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널에 대한 피드백에서는 경력에 따른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형식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시기는 학기 중(평일 귀가 후) 단기교육과 3일 이하 3시간미만의 교육을 선호하였다. 장기지속 교육의 경우 주당 3일 이하, 1일 1-2시간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 참여 여부는 58.4%였고, 앞으로 이러한 요구를 반영한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겠다.

실습일지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및 보육실습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wn in Practice Teaching Journals)

  • 이미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227-24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e teaching journ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52 practice teaching journals of 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the type of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journal writ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 similar ratio of the type of teaching practice management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more group activities in practicum in kindergartens, but more choice activities in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Third, the journal writing contents of pre-service teachers in both types of teaching practice mainly addressed the operating of educational and child care activities, and the execution of observing young children. But some categories of teacher's competency were hardly add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early childhood practicum programs.

4년제 간호대학(과) 아동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 박은숙;탁영란;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1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scribe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status regarding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to facilitate student's clinical compliance for the bachelor's degree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and included data from 40 institutions among the 53 university nursing programs in Korea(75.5% response rate).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ed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ntent analysis was done. Results: Findings show that most institutions have common learning objectives for the clinical practicum; neonatal care, high risk infant care, hospitalized child care, and advanced nursing practice. The mode for theoretical credits in child health nursing was 5 to 6 and 3 to 4 credits for clinical practice. The practice settings were prepared to provide diverse experiences, including childc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for learning outcomes included faculty and instructors. It was pointed out that updating evaluation based on student and faculty feedback is important for a comprehensive practicum evaluation.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ized curriculum for clinical practicum and for the expanding role of advanced nursing practice-, a need for diverse clinical settings for practice, and effectiv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t is significantly noted that the attitude and teaching methodologies of clinical instructor's are highly important to effective clinical learning outcomes.

  • PDF

보육실습 개정안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Perception and need of directors, child 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n revised child care practicum)

  • 최석란;서원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79-93
    • /
    • 2017
  • 본 연구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면타당도와 문항의 내적 신뢰도를 구한 설문지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4년제 관련학과 재학생인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배부하고 독립표본 ⅹ2-검정과 t-검정,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보다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어린이집 원장의 경우 경력과 상관없이 소지자격,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해 자세히 인식하고 있었고 보육교사의 경우는 소지자격보다 개정과 관련된 재교육이 인식을 좌우하였다.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 모두 보육실습 기간 연장에 긍정적이라고 하였다. 다만, 기간 연장에 따른 보육교사 및 예비보육교사의 실습지도와 실습 과정 수행의 부담감을 해소하기 위한 양성기관과 보육실습기관의 사전교육 및 협의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보육실습기관의 질을 선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 요구가 있는 바, 이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 개정안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추후 개정안의 보육현장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병행된다면 보다 더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6주 보육실습에 대한 보육실습기관의 인식 (The Perception of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on the Revised Six-week Educare Practicum)

  • 김보영;심윤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9-34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x-week educare practicum revised in 2017 and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the change on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directors and teachers from national public child care centers within Seoul.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participants. Results: Firstly,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had generally received trainees through industry-academy partnership schools, and had planned to receive the same number of trainees as in the previous system. They had trained according to their planned program, and self-evaluation had also been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Additionally, they perceived that the quality control of the centers was carried out by the trainees. Secondly, they perceived that the new system would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sonality issu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stitute. Hence, it was believed that it would help to develop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of first-tim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ublic child care training centers recognized that the six-week educare practicum would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teachers, and the child care operation management.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실습 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Practicum on Teaching Practicum through Metaphor Analysis)

  • 정혜영;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44
    • /
    • 2015
  • 본 연구는 은유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해 학교현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1, 2학년 예비유아교사 1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114개의 은유를 제시하였고, 이를 코드화하여 분류한 결과, 힘들지만 보람 있어요, 새로운 경험이에요, 힘들고 어려워요, 의미 있고 중요해요, 두렵고 걱정돼요, 많이 배워요, 꼭 거쳐야 해요, 노력해야 해요, 즐거워요, 평가 받아요, 기타의 11가지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이 예비유아교사에 어떤 의미인지 검토해 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Meaning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Daycare Centers for Toddler)

  • 천혜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7-199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실습에서 예비보육교사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어,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A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4명의 보육실습 체험을 8개월간 수집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의 체험은 개인마다 다양하였으며 실습을 통하여 교사가 되어가는 것의 가치와 영아에 대한 이해, 영아보육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고 있다. 영아반보육실습의 의미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자기존재를 확인하고 교사로서 자신을 돌아보는 자기성찰의 태도를 통하여 자기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고, 가르치는 일에 행복함을 체험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은 영아들의 삶에 진정으로 마음을 다하여 함께 하는 돌봄의 자세임을 알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