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removal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1초

담수조류의 대량번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녹조제거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algae removal system to minimize the damage of algae bloom on freshwater)

  • 한재호;박우식;김종현;이영식;노준혁;김연규;윤범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2-69
    • /
    • 2000
  • 본 연구는 담수조류의 대량 번식에 따른 정수장의 여과막 박힘, 어류의 대량폐사 등 각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여과공정을 녹조제거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응집-여과 공정에서 최적의 응집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료로는 낙동강 원수를 사용하였고 Jar test와 실험실용 반응기를 사용하여 알칼리도, 탁도, Chl-a, pH를 측정하였다. 응집시간, 응집제 주입량, 드럼필터 회전속도 그리고 Chl-a는 각각 5min, 5mg/l, 3rpm 그리고 90㎍/l의 조건에서 높은 조류제거율을 보였다. Alum을 사용하였을 때의 조류 및 탁도 평균제거율은 50~60%, 30~50%이었고, PAC는 Chl-a의 제거율이 Alum보다 약 20% 더 좋은 효율을 보였다.

  • PDF

기계식 스크루 브러쉬 콘필터를 이용한 조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Algae by a Mechanical Screw Brush Cone Filter)

  • 김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1-21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algae by a mechanical Screw Brush Cone Filter in a lake. The device used a stainless steel cone-shaped filter with a screw brush. The ability of the developed device to remove algae larger than $20{\mu}m$ in Lake ChaSa, Gwangyang city was tes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4. The results show that the removal rates for chlorophyll-a, suspended solids and volatile suspended solids were 44-87%(mean 61%), 35-54%(mean 40%), and 37-46%(mean 43%), respectively. This study also discusses equipment and device operation costs and device application problems, and suggests in situ. solutions to these problems.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 Removal with Phytoplankton)

  • 정의호;안태석;김순래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133-139
    • /
    • 2001
  • 이 연구는 식물플랑크톤(Scenedesmus sp.)이 영양염류를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을 교반하여 배양할 경우, 가장 빨리 증식되었고, 오수방류수를 식물플랑크톤 배양액에 50% 되도록 혼합하여, 약 2일 동안 배양시키는 것이 영양염류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이었다. 이러한 최적조건에서 증식된 식물플랑크톤을 GF/C glass fiber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한 결과, TKN는 88% 이상 제거되었고, DIP는 70${\sim}$80% 제거되었으며, 이때 식물플랑크톤이 최대한 1300mg/m$^{3}$로 증식되었다. 또한, 3시간 간격으로 영양염류의 이용과정을 분석한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은 NH$_{3}$-N(r$^{2}$=0.96)와 DIP(r$^{2}$=0.92)와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염류를 섭취하여 증식된 식물플랑크톤을 여과시키거나, 동물플랑크톤에 적용시켜 먹이연쇄 관계를 이용한다면, 생태공학적으로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고, 수계의 부영양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적엽ㆍ제협처리가 콩의 광합성과 동화물질 배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Photosynthesis and Assimilate Partition in Soybean)

  • 김웅태;성락춘;해리 씨 마이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9-165
    • /
    • 1993
  • 대두에서 각각 50%의 협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해서 변화된 동화물질에 대한 sink demand가 엽의 광합성율과 각 부위별 단백질 함량 및 엽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실험포장에서, pot에 팔달콩을 공 시하여 총건물중과 엽을 제외한 vegetative tissues의 건물중, 잎과 뿌리의 전분함량, 엽의 광합성율과 기공저항성, 각 부위별 단백질함량, 엽의 chlorophyll content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을 제외한 vegetative tissues의 건물중은 협제거 처리에 의해서 증가되었고, 따라서 협제거 처리에 의한 총건물중의 감소는 유의성이 없었다. 2. 종실의 100립종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50% 협제거 처리에 의해 6.4% 증가하였으며, 50% 엽제거 처리에 의해서 3.0% 감소하였다. 3. 엽의 전분함량은 처리 후 22일부터 감소되었고 뿌리의 전분함량은 전 시기에 걸쳐 감소되었는데, 잎과 뿌리의 전분함량은 협제거 처리에 의해 높아지고 엽제거 처리에 의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Specific leaf weight는 협제거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고 엽제거에 의해 감소 되었다. 5. 엽의 광합성율은 전 시기에 걸쳐서 높아졌으며, 협제거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7. 잎, 중기+엽병, 뿌리 등의 단백질함량은 점차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협제거 처리에 의해 높아졌고 엽제거에 의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8. 성숙기( $R_{7}$)의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협제거와 엽제거 처리에 의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9. 엽의 chlorophyll content의 감소에 의한 엽의 외관상 노화는 협제거처리에 의해 지연되었고 엽제거에 의해 촉진되었다. 10. 광합성율의 감소에 의한 엽의 기능상 노화는 엽제거 처리에 의해 촉진되었다.

  • PDF

클로로필을 제거한 영하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Lycium barbarum's leaf with removal of chlorophyll)

  • 김지은;배수미;남유리;배은영;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26-3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구기엽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50%, 70%, 100% 에탄올 추출물과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클로로필을 제거한 시료를 포함하여 총 4종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와 ABTS radicals 소거능, FRAP assay를 통해 시료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H_2O_2$처리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HepG2세포주에서 추출물 들이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ROS 생성, DNA fragmention, 세포의 항산화효소활성 (SOD와 catalase)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 DPPH와 ABTS radicals 소거능, 그리고 FRAP value에서 모두 추출용매의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클로로필 제거 시료가 제거 전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p < 0.05). HepG2세포에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1,000{\mu}g/mL$까지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모든 추출물들은 $31.3{\mu}g/mL$ 농도부터 $H_2O_2$에 의해 증가한 ROS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p < 0.05). 모든 추출물은 $250{\mu}g/mL$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p < 0.05). 또한 $H_2O_2$처리한 세포에 비하여 추출물들을 함께 처리한 세포군의 SOD와 catalase 활성은 정상세포과 유사한 수준으로 강력한 보호효과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들은 항산화능이 높으며 고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고 $H_2O_2$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클로로필 제거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높고 세포독성과 세포보호 효과가 클로로필 제거전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나타나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하기에 적절한 소재로 생각된다.

정수처리에서 응집제 종류와 분리공정이 조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nts and Separation Methods on Algal Removal in Water Treatment Process)

  • 박흥석;이상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9-28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에서 응집제 종류와 고액분리방법이 조류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원수의 특성을 탁도, $KMnO_4$ 소비량, UV-254, chlorophyll-a 등으로 파악하고 이들 수질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판중인 Alum계열 응집제(Alum, PAC, PACS)가 조류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쟈테스트를 이용하여 탁도 및 유기물제거, pH 저하특성 및 알카리도 소모특성 및 개체수 제거율 등으로 연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유기물항목인 UV-254, $KMnO_4$ 소비량, chlorophyll-a와 탁도의 상관계수는 각각 0.775, 0.674 및 0.623으로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발생시 응집제 종류별 응집침전에서 유기물 제거특성은 조류의 농도가 적을 경우에는 유사한 효율을 보였으나 조류농도 증가에 의한 높은 유기물 농도($KMnO_4$ 소비량 20mg/l 이상)와 높은 탁도(100NTU 이상)에서는 PAC, PACS와 같은 무기고분자 응집제가 Alum보다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조류번성시 응집공정을 거친 후 침전과 부상공정의 비교실험에서 부상분리공정을 사용할 경우 Alum이 모든 분석항목에서 고분자 응집제인 PAC, PACS보다 우수하였으며, 95%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AC와 PACS의 경우는 침전공정이 부상공정보다 효율이 높았으며, $KMnO_4$ 소비량의 경우 부상법 제거율의 2배 이상 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조류제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Alum을 사용할 경우 부상분리, PAC, PACS를 사용할 경우 침전공정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원수에서는 남조식물문의 Microcystic와 녹조식물문의 pediastrum simplex 등 두 가지의 속이 다수 속으로 출현하였으며, Alum, PAC, PACS의 투입후 침전실험에서 27%, 45%, 22%의 조류개체수의 제거율을 보였으나,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적용한 경우에는 모든 응집제에서 동, 식물플랑크톤 모두가 100%에 가까운 제거율을 보여주었다.

  • PDF

낙동강 상수원수의 오존처리 효과 - II. 회분식 오존처리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조류제거 효과 -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Nakdong River Raw Water - II. Removal of VOCs and Algae in Raw Water by Conducting Batch Test of Ozonation Experiments -)

  • 임영성;이홍재;이도진;허종수;손보균;조주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267-127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of the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using ozonation process. For raw water, Nakdong River was used. By conducting batch test of ozon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hen ozone dosage of $5 mg/{\ell}$ was used, ozone transfer and utilization efficiencies of the ozonation were 94 to 92%, respectively. Removal efficiencies of single VOC compound or mixed VOC compounds in the raw water were 80% to 90% by the ozonation with $2 mg/{\ell}$ dosage and 10 minutes contact time. Removal efficiencies of ABS by the ozonation with $1 mg/{\ell}$, $3 mg/{\ell}$ dosage and 20 minutes contact time were 83% to 96%, respectively. Almost 67% of chlorophyll-a at the concentration of $38.4\mu\textrm{g}/{\ell}$ was removed by ozonation at ozone dosage of $1 mg/{\ell}$ for 20 min.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ozone utilization and water treatment, the most effective ozonation could be obtained with high ozone dosage and short contact time.

Changes in BOD, COD, Chlorophyll-a and Solids in Aquaculture Effluent with Various Chemical Treatments

  • Park, Jeonghwan;Daniels, Harry V.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9-55
    • /
    • 2017
  • Four chemical treatments with hydrogen peroxide (H2O2), copper sulfate (CuSO4), potassium permanganate (KMnO4) and chlorine (Cl2) were applied to the effluent pond water of a hybrid striped bass saltwater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to compare their oxidation power. Four chemicals were applied at concentrations of 0 (control), 1, 5, 10 and 20 mg/l. An additional concentration of 40 mg/l was included in the chlorine treatment. Water samples from four hybrid striped bass ponds were tested with KMnO4 and Cl2. H2O2 did not reduce any of BOD, COD and chlorophyll-a, and copper sulfate was only effective on chlorophyll-a for the effluent pond. Removal efficiencies for chlorophyll-a by copper sulfate were 19.2%, 37.5%, 54.2% and 74.1% dose-dependently. Potassium permanganate effectively removed the BOD, COD and chlorophyll-a. The COD removal rates in four fish ponds varied from 15.9% to 31.6% at the concentration of 10 mg/l. Interestingly, Cl2 did not reduce the BOD and COD at all, but the BOD and COD instead increased drastically with increasing the Cl2 concentration. The pond water with the highest initial BOD and COD values among the fish ponds tested increased by 350% in the BOD and 150% in the COD at 20 mg/l. Furthermore, Cl2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any types of solid matter in this study, while KMnO4 seemed to reduce some extent volatile dissolved solid in the fish pond.

전산화 공정을 이용한 조류제거 (The Removal of Algae by Pre-oxidation)

  • 손희종;정철우;배상대;최영익;강임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9-298
    • /
    • 2009
  • The blue-green algae which caused odor problem in the tap water are difficult to precipitate in sedimentation basin and clogged the filter void rapidly. The studies of this paper were not only oxidation,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processes for effectively removing blue-green algae but yellow clay and polyamine for verification as coagulants ai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Higher ozone dose(C) and longer contact time(T) were needed for a high degree of removing blue-green algae efficiency. the removal rate of blue-green algae was proportional to the $C\times T$ value. The removal percent of chlorophyll-a by sedimentation and filter without pre-ozonation was about 75% but 1 mg/L pre-ozonation could increase the removal percent of chlorophyll-a to 99% and more pre-ozonation could remove completely. Though the removal efficiency of turbidity could increased by high dose of chlorination, the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increased. More chlorine dose from 4 to 10 mg/L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decreased. Using yellow clay as coagulant aids increased density of floc so the settling velocity of floc become rising but polyamine could not increase settling velocity of floc though it could formated large floc.

Performance of Chlorella vulgaris for the Removal of Ammonia-Nitrogen from Wastewater

  • Choi, Hee-Jeong;Lee, Seung-Mo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235-239
    • /
    • 2013
  •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efficiency of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 was evaluated for the removal of ammonia-nitrogen from wastewater. Eight different wastewater samples were prepared with varied amounts of $NH_4-N$ concentrations from 15.22 to 205.29 mg/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pH $7.5{\pm}0.3$, temperature $25^{\circ}C{\pm}1^{\circ}C$, light intensity $100{\mu}E/m^2/s$, and dark-light cycles of 8-16 hr continuously for 8 day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NH_4-N$ was completely removed by C. vulgaris,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between 5.22-25.24 mg/L. However, only 50% removal was obtained when the $NH_4-N$ concentration was 85.52 mg/L, which further decreased to less than 32% when the $NH_4-N$ concentration exceeded 105.43 mg/L. The further influence of nitrogen on chlorophyll was studied by various $NH_4-N$ concentrations. The maximal value of chlorophyll a (Chl a) content was found to be 19.21 mg/L for 65.79 mg/L $NH_4-N$ concentration, and the maximum specific $NH_4-N$ removal rate of 1.79 mg/mg Chl a/day was recorded at an $NH_4-N$ concentration of 85.52 mg/L.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 vulgaris could potentially be employed for the removal of $NH_4-N$ from waste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