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sulfonic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ifunctional Sulfonamide-Amide Derivatives

  • Abbavaram, Babul Reddy A.;Reddyvari, Hymavathi R.V.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731-737
    • /
    • 2013
  • A convenient synthesis of bifunctional sulfonamide-amide derivatives was reported. Amide coupling of 4-methyl benzoic acid 1 followed by reaction with chlorosulfonic acid produce ethyl-4-(3-(chlorosulfonyl)-4-methylbenzoyl)piperazine-1-carboxylate 4. The resulted compound on further treatment with various anilines produces the title sulfonamide-amide derivatives 5a-n. The configuration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elemental analysis, IR, $^1H$ NMR, mass spectra, and by their preparation from the corresponding 4-methyl benzoic acid 1 and chlorosulfonic acid. All these new compounds demonstrate significant in vitro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all bacterial and fungal strains.

연료전지를 위한 술폰화된 Perfluorocyclobutyl Biphenylene 고분자 전해질막 (Sulfonated Perfluorocyclobutyl Biphenylen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 유민철;장봉준;김정훈;이수복;이용택
    • 멤브레인
    • /
    • 제15권4호
    • /
    • pp.355-362
    • /
    • 2005
  • 본 연구는 연료전지에 적용 가능한 술폰화된 고분자 이온교환막 개발에 관한 것으로, perfluorocyclobutane ring(PFCB)을 함유한 4,4'-biphenylene perfluorocyclobutyl ether 고분자를 합성하여 이를 술폰화제인 chlorosulfonic acid (CSA)와 용매인 dichloromethane (DCC)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후술폰화시킴으로써 PFCB기를 함유한 술폰화된 biphenylene 고분자 막을 제조하였다. 술폰화된 고분자의 제조시 biphenylene perfluorocyclobutyl ether 고분자와 CSA의 몰비를 각각 1:1, 1:2, 1:3, 1:4로 변화시켜주어 다양한 술폰산기의 함량을 갖는 이온교환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합성된 화합물과 고분자는 NMR과 GPC를 통해서 분석 및 확인하였고, 술폰화된 막을 이용하여 술폰산기의 함량 변화에 따른 술폰화도, 이온교환용량, 함수율, 이온전도도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술폰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온전도도, 이온교환용량 및 함수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지 미세조류 Botryococcus braunii 로부터의 수용성 다당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 Soluble Polysaccharide from Defatted Botryococcus braunii)

  • 이다경;박제권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78
    • /
    • 2015
  •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plants or seaweed are well known for antioxidant, anticoagulant activity or other biological activiti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optimize the condition for the isolation of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WSP) and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y. WSP was isolated from defatted microalgae B. braunii using chlorosulfonic acid or sulfuric acid. Among WSP isolated using sulfuric acid showed the lowest the content of total carbohydrates (g/L), wherea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lso the preliminary structural analysis of WSP was performed by FT-IR spectroscopy analysis.

PFCB Group을 포함한 Fluorene계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 및 특성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luoreny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ontaining PFCB Groups)

  • 김정훈;김동진;장봉준;신정규;이수복;주혁종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16-24
    • /
    • 2006
  • 본 연구는 불소관능기인 perfluorocyclobutane (PFCB)과 fluorene계 방향족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술폰화된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및 그 특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막은 세 단계의 합성, 즉 trifluorovinyloxy그룹을 양말단에 포함하는 fluorene계 단량체의 합성, 중부가 반응 형태의 열중합, 그리고 chlorosulfonic acid를 이용한 후술폰화(post-sulfonation)를 통하여 얻어졌다. 후술폰화 반응은 일정한 시간과 온도 조건하에서 술폰화제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온교환 능력(IEC)을 가지는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었다. 제조된 단량체 및 고분자들의 구조와 순도는 각각 FT-IR과 NMR 그리고 질량분석기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사용된 술폰화제의 양이 많아질수록 술폰화도와 이온교환 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함수율도 역시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술폰화된 고분자들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술폰화도가 증가할수록 이온 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전해질막 중 IEC 값이 1.86 mmol/g인 고분자(sulfonated polymer 4)의 경우 다양한 온도범위($25{\sim}80^{\circ}C$)에서 상용 전해질막인 Nafion-115를 능가하는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나타냈다.

Carboxylic acid를 함유한 sulfonated polynmide의 제조 (Sulfonation of Polyamide Containing Carboxylic Acid)

  • 전종영;이기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가진 CPA에 CSA를 이용하여 $-SO_3H$ group이 도입된 SCPA를 제조하였다. SCPA의 제조과정에서 반응계의 온도가 $10^{\circ}C$ 이상, CSA의 농도가 0.05mol 이상에서는 정상적인 반응이 진행되지 않았다. SCPA의 이온교환 용량에 따라 Tg가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치환 반응중 분자간 가교결합이나 주쇄의 분해가 일어났음을 GPC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이들 부 반응에 의한 열적 및 기계적 특성 변화는 거의 없었다.

Sulfonated Polyetherimide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etherimide)

  • 김완주;최남석;최중구;김인철;김종호;탁태문
    • 멤브레인
    • /
    • 제9권1호
    • /
    • pp.10-1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pellet 상태의 polyetherimide (PEI)를 carbon tetrachloride(CCl4)와 1 ,2-dichloro-ethane (DCE) 의 부피비 5:1 하에서 PEI를 불균일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chlorosulfonic acid (CSA)를 이용하여 PEI의 표면을 sulfonation 시킴으로써 , 음이온성을 띠며 친수성이 향상된 sulfonated polyetherimide (SPEI)를 제조하였다. 불균일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가장 적합한 sulfonation 반응조건은 PEI: CSA 의 1 : 1 mole ratio, 온도 $10^{\circ}$, 3 시간이었다. 이온교환용량이 0.2~1.2meq/g을 갖는 SPEI를 합성할 수 있었고, FT-IR 측정을 통하여 sulfonic acid peak가 1020$cm^{-1}$ 와 1170$cm^{-1}$부근에서 관찰되었다. 분자량 분포는 sulfonation을 시킴으로써 좀 더 넓게 나타났고,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친수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FCB (Perfluorocyclobutane) Group을 포함한 랜덤 공중합체 고분자 전해질 막 제조 및 특성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andom Co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ontaining PFCB (Perfluorocyclobutane) Group)

  • 김정훈;김동진;장봉준;이수복;주혁종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221-229
    • /
    • 2006
  • 본 연구는 불소관능기인 perfluorocyclobutane (PFCB), fluorenyl, sulfonyl계 방향족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술폰화된 랜덤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및 그 특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막은 세단계의 합성, 즉 trifluorovinyloxy그룹을 양말단에 포함하는 단량체의 합성, 중부가반응 형태의 열중합, 그리고 chlorosulfonic acid를 이용한 후술폰화를 통하여 얻어졌다. 후술폰화 반응은 고분자 내에 포함된 fluorenyl기의 함량에 따라 일정한 몰비의 술폰화제 비율로 고정하여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온교환 능력(IEC)을 가지는 고분자를 쉽게 합성할 수 있었다. 제조된 단량체 및 고분자들의 구조와 순도는 각각 FT-IR과 NMR 그리고 질량분석기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술폰화된 fluorenyl기가 많아질수록 술폰화도와 이온교환 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함수율도 역시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술폰화된 고분자들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술폰화도가 증가할수록 이온 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전해질막 중 S-1과 S-2의 경우 다양한 온도범위($25{\sim}80^{\circ}C$)에서 상용 전해질막인 Nafion-115를 능가하는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나타냈다.

Sulfonated Polyethersulfone 의 합성과 특성

  • 김인철;전종영;탁태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0-41
    • /
    • 1996
  • 기존에 membrane의 소재로 사용되어 왔던 Polyethersulfone은 막 제조 특성이 우수하고 여러 가지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서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소수성을 띠므로 농도분극과 fouling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친수성의 도입, 물리적, 화학적 세척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hydrophobic Polyethersulfone에 hydrophilic Sulfonate group(-SO$_3$H)을 도입하여 이와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ulfonating agent로는 Chlorosulfonic acid (in CCl$_4$)를 사용하였다.

  • PDF

Membrane Perfomance of Sulfonated Polyetherimide

  • 김완주;권영남;전종영;탁태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1-72
    • /
    • 1996
  • Polyetherimide(PEI)계의 고분자는 막 성능이 우수하고 내열성과 내유기용매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로서 film, sheet, tubular형으로 만들 수 있어 한외여과막이나 역삼투막, 기체분리막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투과속도를 높이고, fouling을 줄이기 위한 친수성 향상은 막 소재의 화학적 개질에 있어서 주된 목표이다. sulfonation은 막 재질의 소수성을 감소시켜 water permeability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이온교환수지, 이온교환막, anion형 하전막의 제조에 이용되어 왔다. 본 실험에서는 polyetherimide계 고분자를 chlorosulfonic acid(CSA)를 이용하여 술폰화시킨 sulfonated polyetherimide(SPEI)를 제조하여 막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폴리피롤/설폰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 옥사이드) 복합전극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pyrrole/sulfonate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Composite Electrode)

  • 허양일;정흥련;이완진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74-79
    • /
    • 2007
  • [ $PPy^+DBS^-$ ] 복합체는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되었고 이때 iron(III) chloride($FeCl_3$)는 개시제로, dodecyl benzene sulfonic acid(DBSA)는 계면활성제 및 도판트로 사용되었다.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는 chlorosulfonic acid(CSA)를 사용하여 설폰화되었고 양극은 $PPy^+DBS^-$ 복합체, 도전제 그리고 바인더로 구성되며 이때 바인더로 PPO와 설폰화된 poly (2,6-dimethyl-1,4-phenylene oxide) (SPPO)를 사용하였다. $PPy^+DBS^-/SPPO$ 양극은 $PPy^+DBS^-/PPO$에 비해 약 50% 높은 충 방전 성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SPPO가 바인더뿐만 아니라 도판트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바인더로 사용된 고분자의 설폰화는 전도성 고분자와의 coulombic attraction을 유발시켜 두 상간의 혼화성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양극과 전해질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기화학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