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ra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63초

합창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유사언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 합창 딕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 of Para-languages affecting Choral Communication -focused on diction of Korean choral music-)

  • 김형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99-309
    • /
    • 2017
  • 이 연구는 합창에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가사의 의미 형성에 핵심적인 요소인 유사 언어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커뮤니케이션에서 유사언어는 언어가 가진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비언어적 요소로, 합창에서는 가사의 발성과 딕션이 대표적인 유사언어이다. 그런데 그동안은 합창의 음악적 표현을 강조하면서 발성을 중시한 나머지 딕션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함으로써 합창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가사의 의미가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합창에서 발성은 딕션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음악적인 차원에서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도 완성도가 높은 합창연주가 가능하다. 이 연구는 합창 지휘자로서의 활동 경험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한국어 합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딕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장읽기에서의 말더듬 감소율: 합독과 변조청각피드백 (Stuttering Reduction Rate during Sentence Reading: Choral Speech and Altered Auditory Feedback)

  • 박진;박희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4호
    • /
    • pp.109-115
    • /
    • 2012
  • This paper mainly aim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ly choral speech and altered auditory feedback (i.e., delayed auditory feedback, frequency-altered feedback) enhance speech fluency during sentence reading. To do this, a stuttering reduction rate was used and measured how much stuttering in frequency was reduced during each of th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i.e, typical choral reading, DAF, FAF) relative to typical solo reading. The results showed that stuttering frequency was reduced in the thre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and the highest mean value in stuttering reduction rate was observed during typical choral reading. Some discussion wa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stuttering reduction rate observed during typical choral reading and its further speculation.

코랄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개념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conceptualizing a communication model in choral music)

  • 김형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13-422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합창의 음악적 소통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반적인 음악 커뮤니케이션은 작곡자와 연주자, 그리고 청중간의 상호작용과정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합창은 일종의 공동체 음악활동이기 때문에 기존의 음악 커뮤니케이션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는 고유의 특성이 존재한다. 합창은 연주를 통해 청중과 소통하기 전에 구성원 사이에 내적 커뮤니케이션을 거쳐야 한다. 내적 커뮤니케이션의 1단계는 지휘자가 음악을 해석하는 과정이고 2단계는 이러한 해석을 단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적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합창음악의 궁극적 목적인 청중과의 음악적 소통이 가능한 것이다. 아직은 시론적인 차원이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형성된 코랄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개념은 이론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실용적인 차원에서도 합창의 음악적 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합창 커뮤니케이션에서 효과적인 딕션 훈련을 위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ction training in choral communication)

  • 김형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37-24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합창 커뮤니케이션에서 지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딕션 훈련 기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합창에서 딕션은 가사에 사용된 언어가 가진 고유의 음운론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한국어로 합창할 때는 한국어 음운규칙에 따라 가사를 발음해야 한다. 말로 의미를 전달할 때는 발음의 정확성이 중요하지만 노래로 가사를 표현할 때에는 발성과 딕션이 모두 중요하다. 특히 합창은 여러 사람이 함께 노래하기 때문에 딕션이 정확하지 않으면 가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실제 한국어 합창곡에서 자주 나오는 가사의 딕션 사례들을 한국어 음운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합창 딕션을 어렵게 하는 주된 요인은 한국어 고유의 음운변동 현상이었다. 특히 받침 소리를 발음할 때, 그리고 자음과 자음이 결합할 때 음운변동이 자주 나타났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음운론에 기초한 체계적인 합창 딕션을 제시함으로써 합창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합창과 호흡훈련을 병합한 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호흡기능 및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ombined Arts Education Program Combining Choral and Respiratory Training on the Respiratory Functi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 김병수;송준영;김태섭;김지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26-133
    • /
    • 2020
  • 본 연구는 합창과 호흡훈련을 병합한 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호흡기능 및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연구 설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 (n=13)과 일반 예술교양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군 (n=12)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실험 전 후 폐활량과 호흡근력, 스트레스와 삶의 질 척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또한 실험군 대조군간에 비교하였을 때, 1초간 노력성 날숨량(FEV1) 결과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사결과 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합창과 호흡훈련을 병합한 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 호흡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유익할 것이다.

쉘 구조물에서 육면체 요소망의 자동 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Hexahedral Meshes in Shell Structures)

  • 이병채;채수원;권기연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1-48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hexahedral mesh generation for various shell structures, such as automobile bodies, plastic injection mold components and sheet metal parts by using chordal surfaces. After generaling one-layered tetrahedral mesh by an advancing front algorithm, the chordal surfaces are constructed by cutting of tetrahedral elements. Since the choral surfaces are composed of tri/quad elements with poor quality, they are transformed into quadrilateral elements with good quality. Hexahedral elements are then generated by offsetting these quadrilateral elements. The boundary nodes of hexahedral elements are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original shell structures. Sample models including nonuniform thickness have been tested to validate the proposed algorithm.

다화자잡음이 말더듬의 비율과 말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Noise Effect on Stuttering and Overall Speech Rate: Multi-talker Babble Noise)

  • 박진;정인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121-126
    • /
    • 2012
  • This study deals with how stuttering changes in its frequency in a situation where adult participants who stutter are exposed to one type of background noise, that is, multi-talker babble noise. Eight American English-speaking adults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 subjects read aloud sentences under each of three speaking conditions (i.e., typical solo reading (TSR), typical choral reading (TCR), and multi-talker babble noise reading (BNR)). Speech fluency was computed based on a percentage of syllables stuttered (%SS) and speaking rate was also assessed to examine if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rates as a measure of vocal change under each of the speaking conditions.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read more fluently both during BNR and during TCR than during TSR. The study also found that participant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speaking rate across the three speaking conditions. Some discussion wa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multi-talker babble noise on the frequency of stuttering and its further speculation.

배경소음상황에 따른 성인 말더듬화자의 발화 관련 변수 비교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on Speech-related Variables of Adults who Stutter)

  • 박진;오선영;전제표;강진석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7
    • /
    • 2015
  • This study was mainly aimed at investigating on the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i.e., white noise,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on stuttering rate and other speech-related measures (i.e., articulation rate, speech effort). Nine Korean-speaking adults who stut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of the participants was asked to read a series of passages under each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i.e., typical solo reading (TR), choral reading (CR), reading under white noise presented (WR), reading with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presented (BR). Stuttering rate was computed based on a percentage of syllables stuttered (%SS) and articulation rate was also assessed as another speech-related measure under each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o examine the amount of physical effort needed to read, the speech effort was measured by using the 9-point Speech Effort Self Rating Scale originally employed by Ingham et al. (2006).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ach of the passage reading conditions in terms of stuttering rate, articulation rate, and speech effort.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two different types of background noises (i.e., white noise and multi-speaker conversational babble) are not different in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m enhances fluency of adults who stutter. Self ratings of speech effort may be also useful in measuring speech-related variables associated with vocal changes induced under each of the fluency enhancing conditions.

GWP 구현을 위한 조직문화 증진활동의 효과 (Promoting a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Great Workplace(GWP): a Korean experience)

  • 김영미;이지애;김대희;김보열;이순형;박현미;김혜선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6권1호
    • /
    • pp.21-3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GWP project was two-fold:(1) to launch an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ment for great workplace (2)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nursing personnel on communication and team work in a surgical nursing department of a teaching hospital in Seoul. Using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ursing personnel'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team work was evaluated. A 10-item, 5-point scale (1.5)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9 nursing personnel in January 2009 and again to 191 nursing personnel in October 2009. From January 2009, AMANNA team has taken activities focused on trust, pride, and fun. AMANNA is an abbreviation of Korean language, which means wonderful meeting and sharing in English. Monthly activities are as follows: choral concerts by nurse managers, welcome and farewell events, praising members for their services, explaining current circumstances, etc. Special activities are as follows: a New Year's greeting party, a spring picnic, beauty classes, a lecture on drug administration, cultural lectures using videos, and presentations of academic posters and another activity.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was Cronbach's ${\alpha}$: 0.917(pretest), 0.954(posttest). Most nursing personnel'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improved (pretest mean=3.50 and posttest mean=3.78, p<.001). "A sense of belonging"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among the 10 items(3.18 vs. 3.56, p<.001). "Trust each other" showed the highest score (mean=3.98) in posttest.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r=0.179, p=.021). We believe that this project has made a contribution towards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keys to this initiative's preliminary success have been the leadership support and flexibility in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hospital.

  • PDF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의 경구투여와 $N_2O-O_2$ 병용투여시 진정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CIOUS SEDATIVE EFFECT OF CHLORAL HYDRATE/HYDROXYZINE WITH AND WITHOUT $N_2O-O_2$)

  • 홍성준;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9-497
    • /
    • 2002
  •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negative이거나 definitively negative로 분류되는, 전신적으로 건강한(ASA I) 4세미만의 아동 20명(평균 30.8개월, 남아 12명, 여아 8명)을 대상으로 하여, 두 차례의 진료를 시행하였다. 첫 진료시 chloral hydrate(50mg/kg)와 hydroxyzine HCl(25mg)만을 경구투여하고, 동일한 대상에게 두 번째 진료시 chloral hydrate (50mg/kg)와 hydroxyzine HCl(25mg)의 경구투여와 함께 $N_2O-O_2$를 병용하여 통상의 보존적 처치를 시행하였다. 각 치료과정 별로 나타나는 진정효과를 Houpt의 평가표(수면, 울음, 움직임, 전반적 행동지수)에 의해 측정하였고, pulse oximeter를 이용하여 맥박수 및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차이 등을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HCl의 경구투여와 함께 $N_2O-O_2$를 병용한 경우가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만을 경구투여한 경우에 비해 어린이의 행동조절에 더 바람직한 진정요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