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indicum 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2초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α-Glucosidase와 PTP1B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and PTP1B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and Fractions)

  • 황성우;이훈연;차지윤;김보람;박민;이보리;문광현;이정호;김대근;김욱;정경옥;이영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5-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에 속하는 Chrysanthemum indicum L.(CI)의 70% EtOH 추출물 및 분획물(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및 H2O)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ABTS 및 superoxide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생리활성 평가는 ${\alpha}$-glucosidase와 PTP1B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I 70% EtOH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0.20 mg 및 31.58 m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분획물 중 EA 분획물이 폴리페놀(87.87 mg)과 플라보노이드(65.12 m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EA 분획물의 DPPH, ABTS 및 SOD 소거능은 각각 93.84%, 93.38% 및 84.68%의 억제를 나타냈다. EA 분획물은 70% EtOH 추출물 및 다른 분획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EA 분획물($20{\mu}g/mL$)의 ${\alpha}$-glucosidase 및 PTP1B 억제 결과는 다른 시료에 비해 각각 30.29% 및 99.24%의 가장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감국의 EA 분획물이 70% EtOH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보다 많은 항산화 및 항당뇨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CI의 천연 항산화 물질 및 기능성 물질에 성능이 좋아 화장품 첨가제나 음료로도 개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국 정식시기와 거리에 따른 생육특성과 성분 분석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gredi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Transplanting Date and Distance of Dendranthema (L.).)

  • 정재한;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65-77
    • /
    • 2020
  • 시중에서 많이 판매되는 국화차의 대명사인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을 산업화하기 위해, 2018년 가을에 자생지에서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종자를 채취하여 냉장 보관 후 종자를 발아시켰다. 어린 묘종은 2, 3, 4월에 노지에 시기별, 간격별에 따른 꽃의 수확량과 잎, 줄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꽃을 채취한 후 잎, 줄기를 채취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국화 묘종을 정식시기별로 심었을 때 꽃은 4월에 정식한 처리구에서 17.1개로 가장 많았다. 꽃의 지름은 2.9cm, 꽃수는 16개, 생체중은 6.5~6.6g, 건체중은 1.1~1.2g이었다. 잎은 3, 4월에 심은 처리구에서 46~47개, 엽장은 5.2~5.3cm, 옆폭은 3.5~3.6cm이었다. 2. 국화 묘종을 정식거리별로 심었을 때 꽃수는 20×20cm 간격으로 심었을 때 16.2개로 가장 작았고, 30~50cm 간격에서는 16.8~17.1개 이었다. 꽃 지름은 2.7~2.8cm, 꽃잎수는 8개, 꽃잎 길이는 0.8cm, 꽃 한 개의 생체중은 6.5~6.6g이었다. 잎수는 30×30cm, 40×40cm에서 47개로 가장 많았고, 엽장은 50×50cm처리구에서는 가장 긴 6.2cm로 나타났지만 그 외 처리구에서는 5.2cm이었다. 3. 국화 잎+줄기의 추출수율은 7.93%였고, 추출 용매색은 50, 60%는 연녹색, 70, 80, 90, 100%는 녹색으로 나타났다. 감국 꽃은 추출수율이 7.58%, 추출 용매색은 50, 60, 70%에서는 연노란색, 80, 90%에서는 노란색, 100%에서는 진노란색이었다. 4. 국화 꽃에 함유된 성분은 gallic acid, 4-hydroxy benzoic acid, methyl gallate, 4-hydroxy-3-methoxy benzoic, caffeic acid, salicylic acid, p-coumaric acid, sinapic acid, naringin, 4-melthoxyben, flavone 등 11가지 성분을 확인하였다. 함량은 29.200~36.900ppm이었다. 5. 국화 잎+줄기에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가 6,129.526ppm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4-methoxyben 1,966.714ppm이었다. 함유량이 10ppm 이하로 나타난 것은 methyl gallate 8.197ppm, 4-hydroxy-3-methoxy benzoic 6.994ppm, caffeic acid 5.566 ppm, flavone 4.522ppm, p-coumaric acid 3.787 ppm, gallic acid 1.893ppm이었다.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with Temperature and Time in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k) Teas During Elution Processes in Hot Water

  • Eom, Seok-Hyon;Park, Hyung-Jae;Jin, Cheng-Wu;Kim, Dae-Ok;Seo, Dong-Wan;Jeong, Yeon-Ho;Cho, Dong-H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08-412
    • /
    • 2008
  • Determining the elution of water-soluble substances from herbal tea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efficient use in terms of taste, perfume, and content of health-related compon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 of catechins in commercial Chrysanthemum indicum (gamguk) teas were determined for optimum elution conditions. The water extract of gamguk te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yield compared to methanol extracts and show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Catechin contents in gamguk teas were 8-18% of the extracts when individual peaks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were compared to standard catechin peaks. Gamguk teas exhibited faster release of antioxidant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hermal treatments. Gukhwacha (GC) was the best tea for rapid release (30 sec) of antioxidants with the $50^{\circ}C$ treatment, whereas antioxidants in other teas were relatively slower released.

감국의 유산균 발효물이 hedgehog 신호를 통한 지방구세포 분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Chrysanthemum indicum L.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Hedgehog Signaling)

  • 최재영;임종석;심보람;양영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32-541
    • /
    • 2020
  • 본 연구는 지방감소를 위한 소재개발로 감국 유산균 발효물이 갖는 지방구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감국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극복하는 유산균의 발효물을 제작하였다. 3T3-L1 세포주에서 감국 추출물 및 발효물이 갖는 세포독성은 모두 없었다(1day culture). 감국 추출물 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3T3-L1 세포주에 처리시 증식 유도된 발효물을 선별하였다. 감국 추출물 및 발효물의 분화억제 및 세포생존률 FACS분석은 분화 유도된 세포가 모든 실험군에서 줄어들었다. 3T3-L1 세포주에서 감국 추출물과 발효물 처리가 protein kinase B (Akt) pathway활성이 증가하였고, 단백질 발현은 지방구세포로 분화되면서 Gli2의 수준은 감소하였다. Hedgehog를 조절하는 유산균은 KCTC 3115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분화와 관련된 KCTC 3115 및 KCTC 3109 발효군에서 단백질 수준에서 C/EBPα 및 FAS를 감소, pACC는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국 추출물과 4개의 감국 유산균 발효물 중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KCTC 3115 발효물이 지방구세포 분화 신호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hedgehog을 같이 조절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dgehog 신호를 조절하면서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감국 발효물의 생리활성 물질 중 향후 매커니즘 분석을 위한 활성물질의 자료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감국 추출물 및 감국 발효물의 hedgehog 신호조절이 새로운 비만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국, 국화 및 구절초 꽃 휘발성 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 우관식;유정식;황인국;이연리;이철희;윤향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5-809
    • /
    • 2008
  •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해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자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camphene, 1,8-cineole, benzene, pinocarvone, bicyclo-2,2,1-heptan-2-ol, trans-caryophyllene, 3-cyclohexen-1-ol, ${\gamma}$-curcumene, zingiberene,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어 주요 향기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감국, 국화 및 구절초의 향기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DPPH법으로 측정한 결과 1 g/mL의 농도에서 각각 30.57, 46.36 및 51.72%로 나타내어 구절초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항산화력을 ABTS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4.99, 35.31 및 38.48mg AEAC/g으로 나타내어 전자공여능과 마찬가지로 구절초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구절초가 camphene, 1,8-cineole, camphor, germacrene D, myrtenol 등의 성분이 감국이나 국화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국화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The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Fabrics Dyed with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 박영희;오화자
    • 복식
    • /
    • 제53권2호
    • /
    • pp.119-125
    • /
    • 2003
  • This study shows the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bout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Chrysanthem indicum L. In the case of dyeability, in the first, K/S value was shown comparatively high numerical value. The value of all test sample was over 20. In the next, in the case of colorfastness, the light colorfastness showed the lowest grade, the other colorfastness was relatively good.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fabrics and mordants. In the case of antibacterial activity to Klebsielia pneumoniae, the cotton fabrics had the most antibacterial effect at the dyed fabrics that had been mordanted $CuSO_4$.$5H_2O$, and the silk fabrics had the most antibacterial effect at the dyed fabrics that had been mordanted $CuSO_4$.$5H_2O$.$Al_2$ and $(SO_4)_3$.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C57BL/6 mice에서 감국이 미치는 비만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in C57BL/6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최재영;이자복;김명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11-121
    • /
    • 2021
  • 감국의 유산균 발효를 통한 감국 배양물(CILL)의 비만억제 식품의 소재로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C57BL/6 mice에서의 체중, body fat mass, T cell 등을 측정하였다. 체중 변화에서 CILL 군 (25.15±2.44 g)은 4주부터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1주차부터 8주차까지 낮은 증체량을 유지했다(1.00±0.53 g). 8주 체중(30.38±4.17 g)은 HFD 군(60% high fat diet, 34.99±2.09 g) 대비 13.15%의 체중 감소를 보였다. Fat mass는 10.3022±2.8813 g로 감소했으며, 간 절대 중량에서 HFD 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CD4+ T cell 4.84±1.33%, CD8+ T cell 7.02±2.26%, CD4+CD8+ T cell 1.46±0.81%로 HFD 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CILL은 비만억제 효과가 있으며, CILL내의 비만억제 물질을 선별한다면 효과적인 비만억제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an Ethylacetate Fraction of Chrysanthemi Flos on the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rofile in Rats with Ethanol-Induced Liver Damage

  • Choo, Myung-Hee;Jeong, Yoon-Hwa;Lee, Myung-Yu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52-360
    • /
    • 2004
  •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n etbylacetate fraction extracted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i Flos) on the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rofiles of rats with ethanol induced hepatotoxicity.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150$ g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NOR),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200 mg/kg) treated group (S1), $35\%$ etbanol (10 mL/kg) treated group (S2),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200 mg/kg) and ethanol concomitantly treated group (S3) and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400 mg/kg) and ethanol concomitantly treated group (S4),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ach fraction was decreased in order of EtOAC, n-hexane, n-BuOH, water and chloroform. The growth rates and feed efficiency ratios were decreased by ethanol treatment, but were gradually restored to similar levels as in the NOR group by administering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The whole blood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the activities of ALT and AST that were elevated by ethan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treated group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activities of SOD, catalase, xanthine oxidase and GSH-Px elevated by ethanol in rat liver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treated group as compared to S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ysanthemi Flos EtOAC fraction has possible protective effects against ethanol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