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ut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46초

Active biotelemetry를 이용한 젖소의 보정 스트레스 반응 측정 (Measuring restraints stress responses using active biotelemetry in cattle)

  • 이동희;이병한;임좌진;김진영;박희명;정병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77-282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rope and the tipping chute restraints on body temperature (BT) and heart rate (HR) as acute response for stress caused by restraining for diagnasis and treatment in cattle. Both parameters were recorded by active biotelemetry. In addition cortisol concentration in blood was analyzed as a indicator for stress response. Twelve catt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hydraulic power, the rope restraint group and the tipping chute restraint group. BT and HR were measured at -30 (base), 0, 10, 20, 30, 40, 50, 60, 90, 120, and 180 minutes, including restraint period from 0 to 30 minutes during the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1. BT of the rope restraint group was increased ($39.8{\pm}0.3^{\circ}C$) until 20 min after restraint stress for 30 min, and then maintained with high values to the end of experiment. In the tipping chute restraint group, the BT was increased ($39.6{\pm}0.3^{\circ}C$) until the end of the restraint period, but then showed decrese until the end of experiment. 2. HR of both groups was maximized at the beginning of the restraint stress (P<0.05), and then it was decreased gradually but in the tipping chute restraint group showed increase again at the end of the reatraint stress (P<0.05). 3. The cortisol level of the rope restraint grou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9.72{\pm}5.09{\mu}g/d{\ell}$) until 30 min after the end of the restraint stress (P<0.05) and then decreased, but in the tipping chute restraint group showed great increase ($4.68{\pm}1.56{\mu}g/d{\ell}$) at the end of the restraint stress (P<0.05) and then decreased while the tipping chute restrai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ope restraint group 30 min after the restraint stress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ipping chute restraint produces less response to physical stress than the rope restraint but the time for diagnasis and treatment should be shortened when using the tipping chute restraint.

한우의 개체관리를 위한 시각제어 유도로 효과 (Effect of Solid Side Chute Design for Individual Handling of Hanwoo (Korean Cattle))

  • 최재관;이창우;이용준;조광현;최연호;김형철;김시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331-336
    • /
    • 2006
  • 소의 개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써 축사의 유도로에 시각제어를 처리하였을 때와 시각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한우 집단의 이동시간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파이프로 시설된 유도로에 비해 불투명한 청색 커튼을 처리 하였을 때 유도로를 통과하는 소의 이동시간이 짧아졌으며 짧은 유도로보다 긴 유도로에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아울러 본 실험을 통하여 유도로와 함께 유도로 입구 설계 역시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함으로써 소의 머뭇거림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유도로가 긴 실험에서 crowd pen에서 선두 소가 유도로에 진입하기까지의 시간에서는 시각 제어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선두 소가 crowd pen 으로부터 우형기까지 진입하는 시간은 시각 제어 처리를 한 경우가 22.78±1.15초로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40.56±4.46초 보다 유의적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선두소가 유도로에 진입한 시간을 뺀 작업시간과 총 작업시간에 있어서도 시각제어 처리한 경우가 96.33±3.98, 104.56±3.89초로 시각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의 121.89±5.54, 131.22±6.42초 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단축되었다.유도로가 짧은 실험에서는 유도로가 긴 실험에 비하여 crowd pen의 모서리 모양이 직각으로 되어 시험축 집단의 유도로 진입이 부드럽지 않았다. holding pen에서 crowd pen으로 선두 소가 유도로를 진입한 시간에는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총시간에서 선두 소가 crowd pen을 진입한 시간을 뺀 작업시간에 있어서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는 없었는데 이는 유도로로 연결된 crowd pen의 모서리 형태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총작업 시간은 시각제어처리가 209.89±6.06초로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243.56±10.53초 보다 유의적으로 단축됨을 보였다.

배선용 차단기 Arc Chute의 최적형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Shape of Arc Chut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 김진수;이창용;송태헌;최명준;김덕중;이관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926-928
    • /
    • 2002
  • Much progress has been made during the past two decades in numerical analysis of electromagnetic forces in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MCCB) for increasing arc voltage due to the change of the configuration of arc chute and fixed conductor. A review on this topic is given. which mainly covers the past research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at of our company.

  • PDF

콘크리트 믹서 트럭에서의 드럼 및 슈트의 원격 제어 (Remote control of Drum/Chute mechanism in a concrete mixer-truck)

  • 이민철;손권;정의봉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29
    • /
    • 1993
  • A remote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in order to operate by push-buttons the conventional drum and chute components, which have been operated manually, in a concrete mixer-truck. As actuators, a hydraulic power unit was used for chute operations: two DC motors for drum operations. The devised drum controller consisted of three electric circuits : an analog proportional-integral control circuit, a drum acceleration circuit, and an emergency stop circuit. The remote control system was installed to be tested experimentally and then was evaluated to work successfully with a desirable accuracy.

  • PDF

현생 및 고기 급경사 선상지-삼각쭈계 퇴적층의 특성과 퇴적상 (Depositional features and sedimentary facies of steep-faced fan-delta systems: modern and ancient)

  • 최문영;조성권;황인걸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1-81
    • /
    • 1994
  • 선상지 삼각주는 흔히 깊은 분지로 전진하여 급경사의 전면층을 형성한다. 현생의 급경사 선상지-삼각주는 사태흔적, 츄트/협곡, 스웨일(swale), 로브(lobe), 스플레이(splay). 및 암설낙하(debris fall) 등의 표층 지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들은 강하구에서 발생하는 퇴적물 붕괴나 중력류에 의해 생성된다. 고기의 선상지-삼각주 퇴적상은 경사가 급한 전면층과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기저층 및 전삼각주(prodelta)층을 구성한다. 이는 다시 판상 또는 쐐기 모양의 역암 및 사암, 사태 충진층, 츄트/협곡 충진층, 판상층, 열편층, 사태층 등으로 구성된다.

  • PDF

쓰레기 수송관로 방식의 적용사례 및 실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 민병균;이재영;최상일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9-117
    • /
    • 1997
  • 6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 새로운 주거양식으로 정착된 아파트내 설비의 일부였던 쓰레기 투입구(Dust Chute)는 여러 사회적인 논의를 거쳐 폐쇄되었고, 이제는 신도시에서 조차도 찾아볼 수 없는 낡은 유물이 되고 말았다. 현재는 주택 옥외공간에 별도의 집하장소를 만들어 수거해가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그럴수밖에 없었던 주된 이유는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95년초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된 쓰레기종량제는 우리나라의 쓰레기 처리 분야에 있어 생활쓰레기의 분리수거 및 재활용을 가능케하는 제도로 자리잡고 있다. 인간들은 또 그린라운드 시대에 걸맞는 주거환경의 질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한 여러 노력이 쓰레기 수거운반 분야에서도 이뤄질 수 있다고 본다. 이미 택지개발 등으로 새로 조성되는 주거단지에는 지역난방시스템과 쓰레기소각장, 공동구 등이 도입 활용되고 있으며, 바로 이들 시설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각국의 쓰레기 수거운반 방식을 비교하고, 선진 각국의 신도시와 주요 대형시설에 도입 활용되고 있는 방식인 관로내 공기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운반 시스템(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의 적용사례 및 그의 실용성에 대하여 연구하기로 한다.

  • PDF

블록 매칭을 이용한 Granular Flow의 속도 측정 (Velocity Measurement of Granular Flow with Block Matching)

  • 이진걸
    • 공학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5-11
    • /
    • 1997
  • 입자 물질의 흐름(granular flow)은 일반 산업체의 거의 모든 공정에서 발생한다. 본 논문은 중력 하에서 경사진 슈트 (chute)를 통하여 흐르는 입자들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속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방법을 논한다. 유리 입자 들이 이 실험에서 사용되었다. 유리 입자 들의 평균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블록 매칭 (block matching)이 사용되었으며 유리입자 들의 평균속도는 변동 정규 상관 함수에 보간법을 적용함으로서 화소 간격보다 적은 단위로 측정하였다.

  • PDF

싱가포르 주택개발청(HDB)의 업그레이딩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pgrading Program of HDB in Singapore)

  • 김주현;박선경;하재명;이재윤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97-105
    • /
    • 2004
  • This research is about Apartment Remodeling Upgrading Programme by Singapore Housing Development Board(HDB). For this study, we visited HDB and made field survey of the projects. There are basically three types of upgrading, namely, Precinct Upgrading, Apartment Block Upgrading and Flat Upgrading. Precint Upgrading refers the upgrading of services and facilities of the precinct. It involves the extention of open space, car-park, commercial space and additional covered linkways. These afford the residents greater convenience and comfort and generally enhance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Apartment Upgrading refers the upgrading of the block facade, improvements to the elevator, lift lobbies, letter boxes, trash chute and rain chute. The upgrading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Flat Upgrading Involves the addition of space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 new Utility-room, replacement of old services, piping and equipment within an apartment unit. These provide the residents with a bigger and more comfortable living space.

철도 차량용 직류 고속도 차단기의 그리드 특성 해석 (Effects of Grid Characteristics on High Speed Circuit Breaker for Railway Vehicle)

  • 박지원;정주영;최진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7-123
    • /
    • 2016
  • 철도차량용 직류 고속도 차단기(HSCB)는 주 회로에 흐르고 있는 전류를 정상 차단시 아크 슈트 내부에서 발생아크를 소호하여 접지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로에 사용되는 접촉기의 개방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연구하기 위하여 아크 구현, 외부자계 등에 의한 효과적인 아크 소호의 방식 정립 및 아크 자기 구동력의 해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전자접촉기의 정상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자속밀도 차와 로렌츠력을 통하여 소호능력을 예측하였다. 아크 슈트 내부의 그리드 개수와 형상은 내부 자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그리드의 변화에 따른 아크 소호능력을 연구하였으며 정격전압에 따른 그리드의 소호능력 평가와 그리드 형상 특성을 해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