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ema Novel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5초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The Theory of the Image of the "Cinema-novel" in 1920s)

  • 공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1-514
    • /
    • 2017
  • 1920년대 영화소설은 영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효과를 활용해 구성된 서사물이며, 독서 과정에서 끊임없이 영화의 이미지를 환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영화 매체의 흥행과 함께 나타난 이 독특한 장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근대적인 예술매체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에 걸맞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1920년대 예술의 시대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고는 혼종의 매체 시대, 파격적인 장르 실험의 한 사례로서 '영화소설'에 주목하고, 영화소설이 어떻게 하나의 장르로서 수렴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영화, 소설, 사진, 그리고 삽화가 결합된 융합 텍스트의 미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일은, 본고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캐나다 '뉴 퀘벡 시네마(New Quebec Cinema)'의 전형(典型), 소피 데라스페 감독의 <안티고네(Antigone)>(2019) 연구 (A Study on the Sophie Deraspe's (2019) as a Typical Film of 'New Quebec Cinema')

  • 강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15-430
    • /
    • 2022
  • 이 글의 목적은 캐나다 퀘벡(Quebec)의 영화감독 소피 데라스페의 작품 <안티고네>(2019)에 대한 서사구조, 영화미학, 주제의식에 대한 작품분석을 통해 퀘벡사회와 맺는 사회맥락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작가구조주의'와 '문화연구'라는 두 가지 층위의 연구방법론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소피 데라스페 감독은 퀘벡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현하는 '퀘벡성'을 가진 작가주의 감독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서사구조에서는 소포클레스의 원작 '안티고네'를 알레고리 삼아 21세기 퀘벡의 이주민 집단과 차별문제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셋째, 영화미학적 측면에서는 인서트, SNS, 환타지와 같은 가상의 미장센을 통해 극적 효과를 부여하고 있으며, 넷째, 주제에서는 민족에 근거한 과거의 정체성을 '개방성과 혼종성'이라는 보편적 가치로 확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티고네>는 퀘벡영화의 '이주 글쓰기' 전통을 계승하면서, 글로벌 시대의 보편적 가치관인 '혼종적 정체성'을 추구하며 퀘벡영화를 재영토화해 나가는 '뉴 퀘벡 시네마(New Quebec Cinema)'의 새로운 흐름을 상징하는 작품이다.

모던한 방식으로 찍은 고전적 영화 : 영화 <아사코>의 스토리텔링 (The Return of Modern Cinema to the Classic Film : The Storytelling of the Film Asako I & II)

  • 한동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59-70
    • /
    • 2021
  • 하마구치 류스케의 2018년 작 영화 <아사코>는 시바사키 도모카의 원작소설 『꿈속에서도 깨어나서도』(2010)의 서사를 영화언어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원작의 특징인 '유사'와 '반복'의 대안적 내러티브와 수동적 주인공을 배제하지 않고 계승한다. 본 논문은 하마구치 류스케가 영화 <아사코>의 서사를 구성하는 데 있어 수행한 소설적 '말하기'에서 영화적 '보여주기'로 서사를 전환하는 과정과 이로 인해 발생한 원작과 영화의 차이점을 고찰한다. 또한 영화 <아사코>가 전통적인 영화 시나리오 이론이 오랜 시간 지양해온 수동적 주인공이란 장치를 규범적 시나리오 작법의 다른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스토리텔링으로 극복할 수 있던 요인 및 반복 구조와 규범적 내러티브 구조를 동시에 차용하여 모던 시네마와 고전적 영화의 관객 모두를 사로잡은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안토니오 무뇨스 몰리나의 『어둠의 왕자』와 역사적 트라우마 (A study on the historical trauma in Antonio Munoz Moliña's Beltenebros)

  • 김찬기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445-463
    • /
    • 2012
  • Beltenebros is Antonio Mu?oz Molina's third novel. Its plot originates in a criminal act. Darman, the main character, arrives in Madrid to kill a traitor of the undercover organization to which he himself belongs. Treason is paid with death and Darman is in charge of the executions. The intricate story of espionage and intrigue is absorbing. Unlike other novels of the genre, in Beltenebros we can witness a uniqu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main character. In his fiftieth anniversary, Darman becomes conscious of the painful and devastating effects of his criminal acts on the lives of the people he has crossed paths with. Then, for the first time, he acts like a Romanesque heroe by killing Valdivia-Ugarte, a deceitful mole who has been manipulating the strings of the plot to his own benefit. The story unfolds along an almost uniform progression of chronological time, only interrupted by random memories of a past that twenty years ago destroyed Walter's life, and in which Darman and the rest of the characters are all implicated. Few references to the Spanish Civil War inserted in the discourse are, however, of paramount importance as the depiction of a historical trauma, as a triggering force for the episodes of the novel, or as justification to Darman'scrimes as well as those of the clandestine Comunist Party. Indeed they were the victims of the conflict and the winners inflicted upon them hatred, repression, treason and disloyalty. As in other Mu?oz Molina's novels, the literary space, in this case Madrid, propels the development of the plot, and plays a protagonist role only equal to that of the main characters. It is in Madrid where Darman lives until he becomes prisoner of the enemy army, or where the symmetrical deaths of Walter and Andrade take place. Other spaces inhabit Madrid: the Universal Cinema, symbolic territory of the secret and hidden, where the sto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of the characters start and end the warehouse; or the Bo?te Tab? the nightclub that frequents Valdivia-Ugarte through secret passages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Cinema.

NOTES ON ANTIQUITY IN WESTERN LATE MODERNITY THROUGH NOVEL AND FILM

  • Bertoni, Roberto
    • 영미문화
    • /
    • 제14권1호
    • /
    • pp.53-71
    • /
    • 2014
  • This paper is about some aspects of the late-modern representation of antiquity in Western countries. The timeframe is mostly the decades since the 1980s, but some works are also mentioned from previous phases. Some information is given on the late-modern historical novel, characterized by mixture of genres and intertextual references to historical events and contemporary varieties of discourse. Eclecticism would seem to be a characteristic feature, and it mainly consists of a mixture of real events and imagination, cohabitation of ancient settings and modernized characters, and interaction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Commercialization often accompanies novels on antiquity in the $21^{st}$ century. And ideologies such as romanness, germanism and barbarianism are employed by some authors to refer to contemporary realities. A number of films and novels are mentioned. More specific analysis focuses on Valerio Manfredi's The Last Legion and the film based on the book; Simon Scarrow's Gladiator: The Fight for Freedom; and Robert Harris's Pompeii.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복식 분석 - 여주인공 복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ostume in - In the Reference to Scarlett O'Hara's Costume -)

  • 서은주;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285-295
    • /
    • 1997
  • This dissertation aims to study a role and importance of clothing as a visual transmission system, with investigating the system and structure of a pragmatics in a cinema costume and analyzing what the meaning of a pragmatics i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n the circumstance on the basis of pragmatics. It examines as an objective the clothes of Scarlett, a heroine in 'Gone with the Wind's film originated from the novel written by Margaret Mitchel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vie costumes demonstrate a purposed transmission medium as a describing tool governing comprehensive circumstances in the process of drama. The costum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livering a meaning of a movie showing historical backgrounds, soci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description, status, characteristics, tastes of characters by means of their costumes in the movie.

  • PDF

마르세의 소설과 할리우드 영화의 영향 - Caligrafía de los sueños(2011)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Hollywood Movies and Marsé's novels - Based on Caligrafía de los sueños (2011))

  • 김광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4권
    • /
    • pp.201-236
    • /
    • 2014
  • Juan $Mars{\acute{e}}$ was born in 1933 in Barcelona. Being the son of a City cleaner, he was able to watch, from a very early age, all the films he desired, as many times as he wished. This privilege meant a great help in future years, when having to develop the plots and characters of his works. In his last (latest) novel, Caligrafía de los $sue{\tilde{n}}os$, published in 2011, as he has done in his previous works he uses a cinematographic frame again. The explicit references to Hollywood's Golden Age -such as John Ford's Stagecoach and Cecil B. DeMiller's The Plainsman- bring very specific and vivid images to the reader's mind, leading to clear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sociations. The aim is achieved: the reader's attention is caught immediately. However, characters, plot and cinematographic structures are actually distracting mirages. They make the reader expect a predictable ending which, in fact, will be very different. Therefore, the surprised reader must step back, in order to approach the main topics of the novel from a certain distance. Doing so, he's following the Theory of the Distancing Effect. He becomes aware of the need of a new perspective on social problems that he had considered as familiar justo a few moments before. Thus, he is getting prepared for a more objective interpretation, such as the futility of war and the ideological differences that led to the (Spanich) Civil War and all its devastationg effects.

비트 스트림 지도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효율적인 지역복호화 (Efficient Local Decoding Using Bit Stream Map for High Resolution Video)

  • 박성원;원종우;이선영;김욱중;김규헌;장의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91-401
    • /
    • 2004
  • 본 논문은 고해상도 영상 서비스를 위하여 부분 영상의 공간임의접근(Spatial Random Access)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비트 스트림 지도 (B-map)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환경에서, TV 브라운관, 모니터, PDA용 LCD와 같은 표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디지틸 시네마 또는 파노라마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영상을 위한 충분한 해상도와 프레임 크기를 지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운샘플링된 저해상도의 영상이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춰진 부분 영상만을 볼 수밖에 없다. 제안한 B-map은 부호화 과정에서 생성된 비트 스트림에 대한 블록 단위의 배열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복호 시 해당 영상의 비트 스트림보다 앞서 보내져 참조됨으로써 효과적인 지역 복호(Local decoding)를 가능하게 한다. B-map을 이용한 방식은 타일링을 비롯한 비교 대안들에 비해 효율적인 지역 복호화를 구현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HSV 색상 모델과 영역 확장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프레임 이미지의 흑백 만화 카투닝 알고리즘 (A Black and White Comics Generation Procedure for the Video Frame Image using Region Extension based on HSV Color Model)

  • 류동성;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12호
    • /
    • pp.560-56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흑백 만화로 변환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해 논의한다. 대부분의 흑백 만화는 사람의 얼굴이나 손과 같은 살색 계통은 흰색 내지 엷은 색상으로 표현되며,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은 해칭과 같이 규칙적이면서도 불규칙한 형태로 묘사한다. 그러므로 단순한 임계값을 이용한 이진화 알고리즘으로 흑백 만화를 렌더링 할 경우, 원본 색상 영상의 다양한 색상과 흑백 만화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렌더링 할 수 없다. 이러한 흑백 만화의 특징을 반영한 카투닝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먼저, 원본 이미지 영상의 미세한 색상변화를 제거하기 위해서, 1) Bilateral 필터를 적용한다. 그 후, 영상의 각 영역을 유사한 색상 정보로 클러스터링 하기 위해서, 2) Mean shift 세그멘테이션을 적용하였으며, 각 영역별 확장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 각 영역의 색상이 유사한 정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사람의 색상인지 능력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HSV 색상 모델을 사용하여, 각 영역의 색상 유사정도를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세그멘테이션된 색상정보를 바탕으로 흑백만화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색상과 프레임 이미지의 픽셀값을 고려한 3) 이진화를 수행하고, 4) 스트록을 추가해 흑백 만화의 컷 이미지를 완성한다.

시나리오 「벙어리 삼룡(이)」의 장면 구조와 각색 의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adaptation intention of the scene appeared in the scenario A Deaf, Sam-ryong(Beong-eoli Samryong))

  • 김남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339-371
    • /
    • 2017
  • 이 논문은 1929년 조선극장에서 개봉한 나운규의 영화 "벙어리 삼룡"을 고찰한 연구로, 현재 남아 있는 부분적인 장면과 관련 시나리오 그리고 원작 작품을 비교하여, "벙어리 삼룡"의 경과와 구조를 재구하고, 이를 고찰하려는 목적 하에 집필되었다. 영화 "벙어리 삼룡"은 나도향의 동명 소설 "벙어리 삼룡이"를 원작으로 삼고 있지만, 각색 과정에서 나운규의 의도가 짙게 반영된 작품이었다. 이러한 각색 의도를 살피는 연구는 현재로서는 남아 있는 장면을 재구하여, 관련 시나리오 혹은 원작과 비교하는 연구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비록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명확한 결론을 추려내기 어려운 상황이 도출될지라도, 한국 영화사의 잃어버린 한 대목을 복원하려는 목적을 멈출 수 없다면, 이러한 연구 정황 자체를 용납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작품(필름)의 부재와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중단되었던 이러한 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 고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