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junos Tanak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Korean Medicinal Herb Extracts Inhibit Melanin Formation in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s

  • Park, Kap-Joo;Choo, Dong-Wan;Lee, Hyung-Hoan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36-340
    • /
    • 2004
  • In order to search for anti -melanin formation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we selected 21 Korean medicinal herbs, based on a review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books and the recommend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doctors. We tested for inhibition effect of melanin pigmentation of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s when we treated the extracts of 21 medicinal herbs in the mouse melanocyte cell lines, respectively. Among 21 medicinal herb extracts, 5 extracts showed a inhibition effect of melanin formation. The sample Phaseolus radiatus L, Cordyceps militaris, Pinellia ternata, Phellinus linteus and Citrus junos Tanaka showed a significantly little formation of melanin pigmen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Especially extract of Citrus junos Tanaka was more potent than the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 of Korean Citrus junos may represents an excellent candidate for inhibition of melanin pigmentation at in vitro level.

In vitro 상에서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 용매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효과 및 항산화성 (In Vitro Effe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 유경미;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39-344
    • /
    • 2004
  • 유자는 성숙할수록 과피와 과육의 총페놀 함량은 많아지고 자유기 소거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자로부터 추출한 18가지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전립선 암세포 DU 145, LN-CaP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과피와 과육 모두 미성숙한 유자 보다 성숙한 후 수확한 유자가 그 활성이 높게 나타냈다. 용매별로 살펴보면 과성숙 유자 과피, 과육의 클로로포름, 메탄올 추출물은 전립선 암세포 DU 145에 대하여 60% 이상의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도 농도에 따라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 조직을 현미경으로 살펴본 결과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사멸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런 세포 사멸의 경향은 추출물의 자유기 소거 환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신육성 왜성 한국유자 (Citrus junos)의 밀식재배 및 조기 다수확을 위한 생리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for Dense Planting and Early High Yielding Potential of New Korean Dwar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5-274
    • /
    • 1995
  • 유자(Citrus junos)에 있어서 수관내 위치별 엽, 엽면적, 엽중의 특성차이와 정아의 발생상태, 화아분화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기초자료들을 얻고져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 서, 남, 북의 방향별 엽수, 엽면적, 엽중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2. 수관의 상하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은 유의차가 었었다. 3. 정아의 횡경과 종경은 방향별로는 차이가 없었지만, 상하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투과광도와 엽 및 엽면적과의 상관관계는 광도 감소율에 따라 엽의 엽비중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단과지당 전체엽중, 평균 엽중, 단과지 정아의 횡경, 종경도 높은 상과관계를 나타내었다. 5. 화아분화에 차광은 비효과적이었으며, GA처리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적과는 1과당엽수를 40잎 이상으로 하는 것이 화아분화율과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Contents of Polyphenols and Limonoids in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Extracts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 Choi, In-Wook;Choi, So-Yeon;Nam, Bo-Ra;Kim, Yoon-Sook;Choi, Hee-D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73-378
    • /
    • 2008
  • Contents of phytochemicals in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 of defatted citron seeds contained the highest amounts of total polyphenols followed by 70% ethanol and water extracts. Neohesperidin was the most predominant citrus flavanones in these extracts. The highest amounts of limonoids were found in methanol extract, and this extract was the most efficient in scavenging both DPPH and ABTS radicals. All 3 extracts also exhibited good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attack of linoleate free radicals on $\beta$-carotene. When methanol extract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into ether,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fractions, butanol fraction contained the highest amounts of polyphenols otherwise most of limonoids were concentrated in ethyl acetate fraction.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fractions was observed while antioxidant activity on $\beta$-carotene seemed more related with contents of limonoids and other hydrophobic polyphenols.

유자 요구르트의 항산화능과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Yuza(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

  • 이영주;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42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o develop new functional yogurt added domestic yuza(Citrus junos). In order to make the most effective yogurt, yuza extract and fructose were mixed at different proportion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yuza yogurts increased dependent on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1% yuza yogurt was proven to be the best. The overall sensory score for yogurt made from adding 1% yuza ethanol extract was the best of tested yogurts. The antioxidant activity(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1% yuza yogur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ared yogurt were evaluated in terms of acid production(pH and titratable acidity), viscosity, color and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period. During storage, the quality of yogurt made from adding yuza extract was better than control(without yuza extract). The sedimentation of curd was repressed a little by adding 1% yuza extract.

유자와 탱자의 속간교잡후 배주배양에 의한 식물체 유기 (Plant Regeneration via in Vitro Culture of Ovule Obtain by Intergeneric Crossing Between Citrus junos Sieb. et Tanaka and Poncirus trifoliata Raf.)

  • 이만상;남궁승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17-322
    • /
    • 1995
  • 속간교잡에 의한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유자와 탱자를 정역교잡한 후 배주배양하였고, 자웅배우체 형성 및 수정현상을 조사하였다. 속간교잡의 결과율은 유자$\times$탱자가 16.6%, 탱자$\times$유자는 11.7%이었다. 수분후 6주된 배주를 MT 기본배지에 Zeatin 0.5 mg/L에 NAA 1 또는 3.0 mg/L에 배양했을 때 callus형성율이 높았지만, 14~15주된 배주를 2,4-D 0.1 mg/L 또는 0.5 mg/L이 첨가된 배지에 배양했을 때는 식물체 유기가 잘 되었다. 20주된 배주배양시 발아율은 유자 $\times$ 탱자의 경우 54.5%, 행자 $\times$ 유자는 48.6%이었다. F$_1$식물의 삼엽형 출현율은 유자$\times$탱자는 56.7%, 탱자$\times$유자는 100%이었다. 유자와 행자의 염색체수는 모두 n=9 (2n=18)이었고 화분립의 크기는 각각 33.75 $\mu$, 25.0 $\mu$이었다. 유자와 탱자 배낭의 길이와 폭은 69.38~79.23 $\mu$, 27.50~38.56 $\mu$, 난세포의 길이와 폭은 17.50~41.50 $\mu$, 6.25~8.12 $\mu$이었다. 수분 후 72시간이면 수정이 끝났다.

  • PDF

Flavonoid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erminated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hoots

  • Choi, In-Wook;Choi, So-Yun;Ji, Joong-R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24-1229
    • /
    • 200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sible application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s, which are massively produced as by-products during citron tea process, into functional food materials. First of all, citron seeds were germinated and produced citron shoots were examined for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hen contents of flavonoids in citron seeds and their germinated shoots were compared, naringenin, neohesperitin, and hesperitin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shoots after germination while naringin and didymin were decreased. Concentrations of limonin and nomilin were decreased by germination otherwise their unidentified derivatives were newly formed. A methanol extract of citron shoot had lower $IC_{50}$ values [0.13 and 0.07 mg/mL for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ABTS, respectively] than citron seed extract i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ddition of 500 mg/mL of citron shoot extract suppressed fat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by 36.9%. Oral administration of olive oil along with citron shoot extract (33 mg/kg body weight) to Sprague Dawley rats effectively inhibited absorption of lipid into a body by decreasing blood triglyceride levels from 105.1 to 74.9 mg/dL 2 hr after olive oi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citron shoot extract as a rich source of flavonoids can be utilized for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properties.

유자 부산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및 미백효과 (Antiaging and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y-product)

  • 김다슬;김동현;오명진;이광근;국무창;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7-143
    • /
    • 2010
  •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는 북동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는 감귤류 종이며, 비타민 C, 플라보이드, 리모노이드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유자는 차나 음식료품으로 사용되고, 부산물인 씨와 과피는 전량 폐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자 부산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씨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는 크지 않았지만 고농도의 phenolic compounds를 함유하고 있다. 각질형성세포(HaCaT 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Normal Fibroblast)에 UVB를 각각 12.5 $mJ/cm^2$, 15 $mJ/cm^2$를 조사한 후 항염효과와 Collagen 합성량, Collagen 분해효소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과피 추출물에서 UVB에 의해 증가된 TNF-$\alpha$를 상당량 줄여주었다. 마찬가지로 과피 추출물은 MMP-1의 발현량을 줄여주고 Collagen의 합성량도 증가시켰다. 한편 유자 추출물의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처리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능과 타이로시나제 발현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자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질은 항노화,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가치가 기대된다.

남해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from Three Different Areas of Namhae)

  • 이수정;신정혜;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81-90
    • /
    • 2010
  • 남해 유자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남해군 설천, 창선 및 이동 지역에서 재배된 개량종 유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자의 총 중량은 120.51~176.56 g으로 창선 유자가 유의적으로 무거웠으며, 총 중량에 대한 과피의 비율도 가장 높았다. 과피의 표면색은 지역간에 차이가 작았다. 과육의 수분 함량은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당도는 창선 및 이동 유자가 설천 유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이동 유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lic acid 함량이 창선 유자에서 다소 높았으며,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는 과피에서, sucrose는 과육에서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향기성분 중 dl-limonene의 함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동 유자는 57.60%, 설천 및 창선 유자는 각각 71.02%, 73.04%를 차지하였다. 이와같이 남해 지역에서 재배된 유자간에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는 토양, 수확시기, 재배 조건 등의 영향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