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vic Consciousnes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대한 관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the Civic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손경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115-142
    • /
    • 2012
  • 본 연구는 민주시민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역학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대한 관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손경애 외(2009)의 설문자료에서 대학생 1,200명에 해당하는 부분을 발췌하여 단계적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과 가정환경 변인들은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대체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주시민 의식 하위요인에 대해서는 가정환경은 대체로 민주주의 제도와 참여 실천에, 학교환경은 대체로 가치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변인들 중에서 부모의 태도(${\beta}$=.228)와 교수(${\beta}$=.162)가 민주시민 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 형성 과정에 있어서 부모와 교수가 두 축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사회환경 변인들 중에서는 어느 변인도 민주주의 참여 실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정치인과 기업은 오히려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대학교육과 사회 정치 제도의 민주적 실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넷째, 본 연구는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민주시민 교육 센터'를 설립하고, 대학생용 민주시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각 대학에 민주시민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차원에서는 학사운영을 민주적으로 실시하고,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민주시민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지역시민의식 형성 영향 요인 : 용인시를 중심으로 (Impacts of Local Civic Consciousness Formation : Focused on the Yong-in City)

  • 전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85-799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복지를 극대화하는 지방자치시대에 있어 지역주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시민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파악하였다. 즉, 지역사회 문제인식의 정도, 개인의 가치 및 태도, 그리고 사회활동 참여여부 등이 민주시민의식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의 상황과 현실에 맞춘 성숙한 시민의식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용인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지역주민 600명을 대상으로 비례확률층화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경제 환경문제인식, 노인문제인식 등 지역사회문제를 높이 인식하고, 사회적성취욕구, 자아인식, 문화적 가치지향 정도가 높고, 사회활동에 참여할수록 긍정적인 시민의식 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이 공동체 구현 실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혁신문화의 매개 효과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on Actions for Building an Community: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ulture)

  • 정계숙;노진형;손환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3-109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ul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 community in order to obtain methodological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at a time when the need to build an education community has been raised.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27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ults: All three variables civic consciousness, innovative culture, and actions for building a commun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on the actions for building a community through the innovative cultur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teacher's civic consciousness and to create an innovative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promote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f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formation of an innovative cul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봉사 및 기부와 민주시민의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Donating and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of Highschool Students in Seongnam City)

  • 박선하;박신혜;이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5-306
    • /
    • 2015
  •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교외봉사활동과 기부의 실태를 조사하고 봉사와 기부의 유무나 봉사활동의 형태에 따라서 민주시민의식이 달라지는지 탐구하기 위하여 일반고 1개와 외국어고 1개에서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외봉사활동과 금전적인 기부의 참여율에서 학교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별 차이는 유의하여서 여학생들의 참여율이 남학생들보다 높았다.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수준은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민주시민의식을 각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민주주의 태도 평균이 민주주의 가치와 민주주의 참여 평균보다 높았으며, 외국어고 학생들의 민주주의 참여 평균이 일반고 학생들보다 높았다. 교외봉사활동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일반고의 경우에만 교외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평균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높았다. 전체적으로, 교외봉사활동과 금전적인 기부에 참여하지 않는 그룹의 민주시민의식 평균이 낮았고 교외봉사활동에만 참여하는 그룹과 금전적인 기부만 하는 그룹간의 차이는 없었으므로 금전적인 기부는 자원봉사활동과 보충적인 대체관계가 될 수 있었다. 봉사활동 시간이나 기관 같이 민주시민의식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단일 요인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동일한 기관에서 40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교외봉사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서 봉사의 지속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중학생의 시민의식과 공동체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ivic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on Happiness in Adolescent: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sision)

  • 이명하;조옥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5호
    • /
    • pp.97-107
    • /
    • 2023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시민의식, 공동체의식, 진로결정과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진로결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년 Z세대 10대 청소년 가치관 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중학생 2,703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PROCESS MACRO Model Number 4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Bootstrapp 기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와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학생의 시민의식과 공동체의식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 시민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중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과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사회적기업 교육과 사회적기업가 정신과의 상관관계 연구 : S 사회적기업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Is a social enterprise academy program correlated with changes in social entrepreneurship? A case study of S social enterprise academy)

  • 한창근;박은영;오단이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1호
    • /
    • pp.33-60
    • /
    • 2013
  •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 아카데미 프로그램과 사회적기업가 정신의 변화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과 연관 요인으로 자기의식, 시민의식, 복지태도의 변화를 검토하고 있다. 이 논문은 2012년 S 사회적기업 아카데미에서 두 달간 진행되었던 사회적기업 아카데미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연구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참여자의 사회경제적 특징, 사회적기업가 정신, 자기의식, 시민의식, 복지태도로 구성된 조사 질문지를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첫 주와 마지막 주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번의 조사에서, 최종적으로는 55명이 응답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사회적기업가 정신, 자기의식, 시민의식, 복지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기업가 정신의 주요한 측정변수인 새로운 시장에 대한 흥미는 연구 기간 동안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 논문은 사회적기업 아카데미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며 마무리 하고 있다.

제천시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시민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ivic Consciousness for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Jecheon)

  • 이완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8-87
    • /
    • 2013
  •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people who live in Jecheon. It investigated the general term concerning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awareness of local architectural heritage, and the civic consciousne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wnscape. And, it is aim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wnscape in Jeche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ly, when the policy related to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Jecheon is to be made and proceeded, it should actively promote and reflect the views of the citizens. Secondly, it should be to develop the available utilization programs and to find the metho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architectural heritage. Thirdly, it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 which can give the economic benefits to owners and the enjoyment of culture to the citizens. Lastly, the long term plan will be required for a distinctive townscape in Jecheon. And, when modern architecture adjacent to the architectural heritage is built, we should be considered the design which can be expressed the historicity of architectural heritage.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시민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ivic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on Happiness in Adolescent: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sision)

  • 장각자;김나연;김미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75-86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시민의식, 진로정체성과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년 Z세대 10대 청소년 가치관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고등학생 3,037명 중 결측을 제외한 2,959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베이런과 케니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Sobel test 기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와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시민의식이 행복감을 높여주었다. 둘째, 공동체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시민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의 부분 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과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춘천시 도시림의 관리실태 및 시민의식 분석 (The Management Status and Civic Consciousness Analysis on the Urban Forests in Chuncheon)

  • 김지훈;최인화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46-55
    • /
    • 2012
  • The research on urban forests in Chuncheon, so far, has mainly conducted in Ponguisan urban forest. Research on other urban forests in Chuncheon was scarce.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author chose the main urban forests in Chuncheon and tried to find a way of efficien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in Chuncheon by field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findings, there were several reasons why effective management can not be implemented in the main urban forests in Chuncheon. To solve these problems and make an efficien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in Chuncheon, the first way is to make forest management plans on the urban forest in Chuncheon and exp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personnel and budge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needs a practical, strengthened overall management system. The second way is to enhance the reg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r urban forest, expand the area of urban forests, and enhance management of Street trees. The third way is to designate Urban Nature Park or Urban Park for the main urban forests in Chuncheon and need to change the ownership of the urban forests by purchasing. The fourth way is to respond to Chuncheon citizen's preference and their way of utilization when create the urban forests in Chuncheon, expand convenience facilities, relaxation facilities as well.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Community Media) 실천연구: 대덕밸리라디오를 중심으로 (Study on Online Community Media Practice: Focus On Daedeok-valley Radio)

  • 최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9-54
    • /
    • 2017
  • 본 연구는 그동안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연구들이 전통적 방식의 지상파(전파) 방송에 국한되어 온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연구들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진 온라인 기반 위에서 실천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 미디어의 특성과 콘텐츠 제작 및 유통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대덕밸리라디오의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 활동은 지역 공동체의 가치를 담아내는 시민미디어(civic/citizen media) 활동이다. 둘째, 미디어 콘텐츠 제작과 유통전략에 따라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를 통하지 않고도 공동체의 지역성을 실현하는 효과적인 매체 활용을 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미디어의 콘텐츠는 공동체를 연결하며 개인이 연결점(node)이 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기반 공동체 미디어 실천은 시민들의 미디어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틈새(니치) 미디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