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rias batrachu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수조내에서의 열대산 메기, Clarias batrachus의 사육과 산난부화 (The Growing and Spawning of tile Catfish, Clarias batrachus in the Aquarium)

  • 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2-36
    • /
    • 1981
  • 1979년 8월 태국에서 Clarias batrachus 자어 100미를 도입하여 그 중 10미를 제주대학양식학과양어실험실에서 친어까지 사육하였다. 성장은 자어에서 29일후 체장 5cm 전후 체중 1.43g으로 성장하였고, 260일후에는 약 206g으로 성장하였다. 1980년 10월 11일 3미의 암컷에 Chorionic gona-dotrophin $1\sim2\;IU$ 씩 주사하여, 그 중 1미가 10월14일에 산난하여 약 1,500개의 수정난을 얻었고 22시간 후 완전히 부화하여 그후 먹이를 갈 먹고 자란 건강한 자어 약 1,300미를 얻었다.

  • PDF

Newly Developed Microsatellite Markers of Mystus nemurus Tested for Cross-Species Amplification in Two Distantly Related Aquacultured Catfish Species

  • Chan, S.C.;Tan, S.G.;Siraj, S.S.;Yusoff,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513-1518
    • /
    • 2005
  • The work reported here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NA microsatellite loci transfer (cross-species amplification) to other economically important aquacultured catfish species other than its source species. A total of 25 new microsatellite loci developed for riverine catfish, Mystus nemurus were successfully cross-amplified in two distantly related catfish species within the suborder Siluroidei. Five out of the 19 loci that successfully cross-amplified in Pangasius micronemus were polymorphic, while for Clarias batrachus, cross-amplification was successful using 17 polymorphic loci. The observed heterozygosities were high for all the three catfish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icrosatellite loci could be as polymorphic in non-source species as in the source species.

열대산메기, Clarias batrachus의 수조내사육시의 적정사육 수온과 월동수온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 on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and Wintering Temperature of the Catfish, Clarias batrachus, in the Aquarium)

  • 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7-205
    • /
    • 1984
  • 열대산 메기 Clarias batrachus를 새로운 양식어종으로 만들기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 이 종의 성장적수온 및 월동을 위한 성장가능최저수온과 저수온에서의 사치가 시작되는 수온을 찾기 위해 1981년3월부터 1982년 3월까지 체중 $12{\sim}40g$사이의 1년생으로서 $14^{\circ}C$에서 $34^{\circ}C$사이의 수온에서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이 종의 약 12g에서 28g사이의 것의 성장적정수온은 약 $25^{\circ}C$로 나타났고 이 수온에서는 이보다 높거나 낮은 수온에서보다 성장과 사료섭취량, 그리고 사료효율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다. 성장최저한계수온은 $18^{\circ}C$로 나타났으며 62일간의 실험에서 1일성장률은 약 $0.1\%$로 낮았으나 폐사는 없었고 활동도 비교적 활발하였다. 따라서 이 종의 월동가능최저수온은 $18^{\circ}C$로 사료된다. $16^{\circ}C$또는 이보다 약간 낮은 수온에서 방치하면 약 30일내에 대부분 폐사하며 $14^{\circ}C$이하에서는 $1{\sim}7$일 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따라서 이 종에 있어서 폐사가 시작되는 수온은 $16^{\circ}C$로 사료된다. 성장가능최저수온 근처에서 장기간사육할 경우 급작스런 수온하강, 특히 $15^{\circ}C$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전체 어류에 치명적인 피해가 예상되므로 주의하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