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생들의 스키수업 참여 전·후 참여동기가 수업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a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before/after Ski Class on Class Satisfaction & Revisit)

  • 이태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882-1893
    • /
    • 2016
  •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causal relations, in which a ski class conducted at a college is linked from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to satisfaction and revisit. Among others, this study intended to boost the quality of the ski class conducted at a college with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according to pre/post class participation.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n ultimate basic plan required for winter sports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deduced results, through which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before/after class was established in a joy seeking factor according to ski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Second, the daily routine deviation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ski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before/after class while friendship promotion factor, health factor and physical strength factor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revisit after class.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High-risk neonatal Care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김순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807-6815
    • /
    • 2015
  •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로, 간호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한 후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오리엔테이션 40분, 실습준비 40분, 시뮬레이션실습 160분, 디브리핑 160분, 상황 자율실습 180분, 시뮬레이션실습 평가 2회로 진행되었고 이후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전 후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수업참여도는 수업만족도와, 학습동기는 수업만족도 및 수업참여도와, 임상수행능력은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와 각각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ng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 이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7-1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기전공대학생들의 수업을 통해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간의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단순무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연극, 연기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49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사전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73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IBM STATISTICS SPSS 22와 AMOS 22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중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연기표현성과 심리적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무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기표현성 중 개성과 표현충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동작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노트필기 전략이 블랜디드러닝 성인간호학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ote-taking strategy on blended learning adult nursing education)

  • 구혜자;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73-583
    • /
    • 2022
  • 본 연구는 블랜디드러닝 성인간호학 교육에 노트필기 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33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하여, 2021년 9월 17일부터 10월 15까지 자료 수집 후 SPSS/WIN 26.0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학습동기는 수업 전 3.27에서 수업 후 3.40점으로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t=-1.501, p=.143), 수업 참여도는 수업 전 2.95점에서 수업 후 3.27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t=-2.669, p=.012). 수업 전 학습동기는 수업 전 참여도(r=.838, p<.001), 수업 후 학습동기(r=.545, p=.001), 수업 후 참여도(r=.462, p=.007)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별(Wilks'𝛌=.866), 수업 흥미(Wilks'𝛌=.632)와 수업 만족도(Wilks'𝛌=.822)에 따른 학습동기 및 수업 참여도는 모두 유의수준 .05보다 크므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블랜디드러닝 성인간호학 교육에 노트필기 전략을 적용한 것은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추후 학업 성취에 따른 맞춤형 노트필기 전략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Programming Courses

  • Kim, Ji Sim;Kim, Kyoung Ah;Ahn, You Jung;Oh, Suk;Jin, Myung 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13-121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outcomes in programming cours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learning participation is composed of three sub components: participation in preview, class, and review. Learning outcomes are categorized by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7 students enrolled in programming courses from three IT departments at Myongji Colleg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review and participation in class predicted all sub components of learning outcomes. Participation in review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learners'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class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class was not an influential factor for learning outcomes. Implications for enhanci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팀 기반 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51-363
    • /
    • 2017
  •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1일부터 12월 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문제해결능력은 상승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태도, 학습동기는 수업 후 상승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업참여도는 변화가 없었을 뿐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 팀 기반 학습 후 학습태도는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와 학습동기는 수업참여도, 문제해결능력은 수업참여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양한 간호상황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기본, 성인교과목 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과목에도 팀 기반 학습과 같은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대학생의 스킨스쿠버 참여 동기와 재미요인 및 대학생활만족의 인과관계 규명 (Investigation Causal Relationship among Skin SCUBA Participation Motivation, Enjoy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이민구;김동주;장재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525-538
    • /
    • 2016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musement factor and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on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kin-scuba class and to provide the practical research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ine sports, for the proper operation of skin-scuba class, and for the leisure life which the university students may lack. For these purposes, technical statistics between questions were disposed in order to grasp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 each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the casuality of amusement factor,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and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s the research method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usement factor and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act as the important variables in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and the amusement factor had interrelation with parameter. Therefore, a variety of programs reflecting the amusement factors should motivate the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apte in the skin-scuba clas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to encourage the re-participation of students.

탐색을 강조한 순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4-6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influences of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drawn from this analysis were as below. Firs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among the research group. This shows tha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as improved by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It indicates that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s. Secondly,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among the research group and this means that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that emphasizes exploration stimulates intellectual curio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mproves their scientific attitude. Thirdly, students thought that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interest, participation in their science classes. Above results show that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is highly effective for elementary students. Thus, it is needed to utilize science class applying learning cycle emphasized exploration to current science class as it can promote wider scientific activit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코로나 시기 패들렛 활용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for Liberal Arts Class Using Padlet During the COVID-19)

  • 박옥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7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기간에 온라인 학습 도구 패들랫(Padlet)을 활용하여 대면으로 수업한 교양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B대학 재학생 37명을 대상으로 패들렛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와 동기에 대해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고, 개방형 질문은 중심어 위주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들렛을 활용한 대면 수업에 대해 학습자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1). 수업만족도가 제일 높았고, 이어서 학습 효과와 동기 순으로 높았고 반면, 수업 참여도는 제일 낮았다. 둘째, 성별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참여도를 제외한 만족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1). 셋째, 학년 간 비교에서는 1학년과 4학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01),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모두 1학년이 4학년 보다 높았다. 넷째, 개방형 질문에서 패들렛 활용 학습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 대해 학습자들은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Method on Digital Logic Circuit

  • Lim, Se-Young;Lim, Dong-Kyun;Lee, Ji-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34-37
    • /
    • 2015
  • An ideal teaching-learning method, such a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s to motivate interests in education and to allow activ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Students exposed to this method are hypothesized to be dedicated in learning and their school life. A research was conducted on $11^{th}$ graders in Daejeon city high school specialized in industry; the blend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a course, digital logic circuit and the effects on the students' learning were monitored. The result shows that compared with a common leaning method,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increasing educational interest, class participation,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lso, it shows positive feedbacks from the students on the educational videos and the usage of the contents. Conclusively, the blended learning method effectively increases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improved educational motivation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which positively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