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Response System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수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챗봇과 슬라이드 위젯 기반 교실응답시스템 (Chatbot and Slide Widget-based Classroom Response System to Promote Classroom Participation)

  • 손의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40-949
    • /
    • 2019
  • Classroom response systems (CRS) have been proven to hav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on student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by allowing immediate feedback to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We explore the use of a chatbot and slide widget-based CRS to overcome some of the challenges of existing mobile-based CRSs while retaining their advantages. Our system uses widely available instant messaging services and operates web-based slide widgets that can be seamlessly integrated into instructors' slides to visualize student feedback in various formats. The student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our system is as effective as conventional CRSs in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 Study on Google Classroom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odel of College English

  • Lee, Jeong-Hwa;Cha, Kyung-W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2호
    • /
    • pp.65-76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se of Google Classroom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College English. The study targeted 34 university students. They took part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writing reactions to video lectures, peer-editing essays, and recording video presentations, et cetera. For the study, a t-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nglish development of the students. The two essays that each student wrote were used as the data sources. The result (t=-5.854, p=.000) indicated an improvement in their English writing proficiency.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students' feedback regarding their perceptions towards the course. The study covered five aspects of their experience: Google Classroom, language development, Quizlet, classroom experience, and essay-writing experience. From the results, students indicat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program. The use of Google Classroom in an online learning setting accomplishes two things; it helped the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provided activities that students find interesting, which in turn stimulates their self-learning spirit.

Clicker를 활용한 한국어 교실 상호 작용 증진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Promoting Interaction in L2 Classroom Using Clickers)

  • 류혜진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53-82
    • /
    • 2014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thod to promote interaction in L2 classroom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to-learner and learner-to-teacher in L2 classroom plays an important role in language acquisition. In light of this, L2 classroom would benefit with the help of learning tools such as Clickers which helps learners to express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itself. This is because the anonymity of Clickers allows learners to express their needs without the social risks associated with speaking up in the class. It allows for an evaluative feedback loop where both learners and teachers understand the level of progress of the learners, better enabling classrooms to adapt to the learners' needs. Eventually this tool promotes participation from learners, This is in turn, believed to be effective in fostering classroom interaction, allowing learning to take place in a more comfortable yet vibrant way. This study is finalized by presenting the result of an experiment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when teaching pragmatic aspect of the Korean expressions with similar semantic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higher than the learners' in a control group.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given to the learners, the study presented data suggesting that this approach increased the scope of interactivity in the classroom, thus enhanc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among learners. This active participation in turn led to a marked improvement in their communicative abilities.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의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효과 (Practical Use of the 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s in a High School Life Science Class)

  • 강정민;심규철;동효관;김운화;손정우;곽대오;오경환;김용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3-283
    • /
    • 2014
  • 본 연구는 문제풀이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에서 교육매체의 일종인 교실응답시스템(CRS)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 학습 전략으로 CRS 활용반(34명)은 학생들이 CRS단말기로 응답한 결과를 교사가 즉시 파악하고 개인별 응답 이유를 질문한 후 피드백을 하였다. 비교반(35명)에서는 CRS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에게 일괄적인 피드백을 하였다. 연구 결과, CRS 활용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에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있어서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성적 수준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을 때, 중위그룹에서는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CRS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들을 사전에 개발하고,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여 더욱 많은 학생들에게 개인별 맞춤형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초등 과학에서 STS 주제에 대한 수행평가자료의 개발 : 6학년 '우리 몸의 생김새' 단원의 호흡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 on STS Theme: Focused on the Respiration Theme in the Unit of 'Our Body')

  • 심주옥;임채성;김은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30-42
    • /
    • 2005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lementary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 on STS theme, especially the respiration. The material is constituted with 3 components, which are performance task, students' response format and scoring system, and it also has various objective domains such as applying science knowledge, improving science attitude, using ICT, communicating and reflective thinking. It offers teachers a tool by which they can assess students' abilities on a whole. The task is made with the motivation-evoking content of 'No Smoking'. It is constructed on the activity of writing a letter to his/her father not to smoke. The students' response format is made b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scoring system is matched with the steps of students' response. The material involves several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strength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addition, due to the detailed students' format and scoring system, it can be used practically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 PDF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Clicker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Education)

  • 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9-50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에 개설된 화학교육론 강좌에 클리커로 알려진 교실 응답 시스템을 적용한 뒤 이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 첫 시간에 클리커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소개한 뒤, 수업 중 평균 4-5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예비교사들에게 클리커로 입력하게 한 뒤, 응답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제시된 질문은 학습 내용을 회상하는 질문,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하는 질문, 어떤 사안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는 질문, 이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한 질문이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학기 말에 클리커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리커트 형식과 에세이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클리커 활용의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그리고 매체 특성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8가지 클리커 질문 유형 중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과 학습 점검 질문이었다. 클리커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도 포함되었다.

An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Tasks in the Korean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

  • Cho, Hyungmi;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245-263
    • /
    • 2012
  • The Korean mathematical curriculum has been changed three times during the resent five years. It led to changes in textbook system. I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orkbook was developed focusing on student's self-oriented learning, effective practice in differentiated classroom,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and the way the tasks are organized in the textbooks and the work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ing with the function section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Researchers examine whether the textbook and workbook were accomplished the purpose with "cognitive expectation", "level of cognitive demand", "and "response types". Researchers revised framework of [Son, J. W. & Senk, S. (2010). How reform curricula in the USA and Korea presen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Educ. Stud. Math 74(2), 117-142] to make them suitable for the function section at the seventh grade.

대학 수업에서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 (A Study on the Interactivity of Smart LMS in a University Class)

  • 최미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5-404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공영어 과목에서 한 학기 동안 강의실 안과 밖에서 스마트 LMS를 활용한 후 이 과목을 수강하는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 LMS는 교수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학습내용 간 모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업 중에 활용한 수업활동게시판은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였고 위키는 강의실 밖에 조별 발표를 위해 학생들이 협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였다. 또한 수업활동 게시판에 정리된 조별활동 산출물과 스마트 LMS에 탑재된 강의자료들 역시 상호작용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향후 상호작용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점은 학생들에게 스마트 LMS를 활용하는 수업방식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마련과, 스마트 LMS 기능에 대한 사전 실험, 스마트폰의 데이터와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을 꼽을 수 있다.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Calculus of one Variable on Motivation and Active Learning

  • JEONG, Moonj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211-227
    • /
    • 2015
  • Information Technology influenced on classroom to chang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Recently, flipped learning method became a hot issue in education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is introduced in our university in the spring semester 2015, made it possible to apply flipped learning method. So, we used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n a calculus course. In this paper, we found that flipped learning in Calculus we was a little bit affirmative in the aspect of motivation and active learning from students' response on flipped learning method. We analyzed the reason that students were not so positive in continuing flipped learning even though they liked flipped learning a little bit better than traditional learning. We suggest what we pay attention to fo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effectively.

협력학습을 위한 혼합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Collaborative Learning)

  • 구진희;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7-285
    • /
    • 2009
  • 협력학습이 효과적인 교수모형으로 인식되고 있고, 최근 기본적인 학습 환경은 면대면 강의실 환경일지라도 e-러닝 환경의 장점을 부가적으로 활용하는 혼합학습 형태의 수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아직 협력학습을 위한 체계적인 혼합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면대면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혼합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습자 기초 조사를 위한 문항,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 협력학습 각 단계에 적용된 혼합학습 전략 및 지원도구에 대한 만족도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학습이 면대면 강의실 수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은 5점 Likert scale의 평균 4.09로 조사되었고,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이 면대면 환경에서보다 더 효과적이었는가에 대한 답변은 평균 4.06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협력학습의 각 단계에서 적용한 혼합학습 전략과 지원도구의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 대해서 평균 4.0이상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혼합학습 전략에서 사용된 지원도구 중 학습자들이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순서는 채팅, 팀별 커뮤니티, 메일&쪽지, 자료실 순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습관리시스템의 협력학습 모듈을 설계할 때에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해야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