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flood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부산 연안지형 VRS-GPS 계측을 통한 태풍해일 침수예측 (VRS-GPS Measure of Typhoon Surge Flood Determinedin Busan Coastal Topography)

  • 김가야;정광효;김정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3
    • /
    • 2012
  • A coastal flood area was predicted using the empirical superposition of the typhoon surge level and typhoon wave height along the Busan coastal area. The historical typhoon damages were reviewed, and the coastal topography was measured using VRS-GPS. A FEMA formula was applied to estimate the coastal flood area in a typhoon case wh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data of typhoon waves are not available. The results in the area of Haeundae beach and Gwangalli beach were verified using the flood area data from the case of Typhoon Maemi (2003). If a Hurricane Katrina class typhoon were to pass through the Maemi trajectory, the areathat would be flooded along theBusan coastal area was predic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Maemi case. Because of the lack of ocean environment data such as data for the sea level, waves, bathymetry, wind, pressure, etc., it is hard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for the coastal flood area in the typhoon case, which c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y to mitigate a typhoon's impact. This paper discusses the kinds of ocean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is needed to predict a typhoon's impact with better accuracy.

미계측 해안 도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방법 검토 - 부산시 온천천 유역 대상 -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t Ungaged Coastal Urban Area - On-Cheon Stream in Busan -)

  • 신현석;박용운;홍일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447-4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도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재해 발생시 예상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을 수립하고자 대표적인 해안 도시 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에서 각종 지형자료를 추출하였고 수문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강우 분석은 강우의 공간적 특성을 대상유역인 온천천에 티센망을 이용하여 고려하였으며 강우의 시간적 분포는 Huff의 2분위, 6차 회귀다항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예경보 발령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정 지점 세 곳을 선택하여 위험수심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하천 수리 분석을 위한 한계유출량 산정을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 조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홍수위 및 한계유출량을 산정하였고 도시 돌발 홍수 기준우량 산정을 위해 PCSWMM 2002를 이용하여 수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천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과 이에 따른 홍수예경보 발령흐름도, 운영체계가 결정되었고 홍수예경보 발령 기준이 설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SWMM, HEC-RAS, ArcView GIS 모형을 연계하여 대상유역과 하도에 적용 통합적인 모의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해안 도시 하천에서의 홍수 재해 발생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게되었다. 앞으로 더욱 심도있게 연구하여 주요 해안 도시 하천에 대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FOR COASTAL HAZARD MONITORING IN TAM GIANG - CAU HAI LAGOON, VIETNAM

  • Dien, Tran Van;Lan, Tran Dinh;Huong, Do Th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455-458
    • /
    • 2006
  • Stretching on the coastline of 70 km, the Tam Giang - Cau Hai Lago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for the coastal ecology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Hue region where was Vietnam's Ancient Kingdom Capital and recognized as a World's Cultural Heritage. Recently, coastal hazard in the lagoon have occurred seriously such as inlet movement and fill up, coastal erosion, flood and inundation, etc. These hazards have impacted on lagoon environment, resources, ecosystems, socio-economic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is coastal area. This paper present a case study using remote sensing data in combination with ground survey for monitoring the coastal hazards in Tam Giang - Cau Hai lagoon in recent decades. Analysis results find that during its natural evolution, the lagoon has been being in three situations of only one, two and three inlets. When inlets opened or displaced, coastal erosion have occurred seriously toward new balance condition. Flood and inundation occurs every rainy season in lowland plain around lagoon. The historical flood happened in early of November 1999 with six days long, created very terrible damages for Thua Thien Hue province. Remote sensing data with capability of regular update, large area coverage is effective provide real-time and continuous information for coastal hazards monitoring.

  • PDF

On method calculation design flood elevation of esturial city

  • Wang Chao;Chao, Wang-Dong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42-44
    • /
    • 1996
  • Recently due to repeatedly occurrence of flood, a lot of Chinese cities accept new design criteria for their protective project Most of them calculated by a certain type of probability distribution. In order to meet the demand of development economy the return period of design criteria is changed more longer and longer even 1000years, but the data which the calculation dependent on is only about 30-40 years. (omitted)

  • PDF

수치모형 적용을 통한 나주 강변저류지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Flood Level Mitigation due to the Naju Retention-Basin by Numerical Model Application)

  • 이동섭;김형준;조길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801-5812
    • /
    • 2014
  • 강변저류지는 일정 규모 이상의 홍수를 하도로부터 분배하여 홍수량을 저감시킴으로써 홍수위험을 저감시키는 수공 구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저류지에 의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홍수 발생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획빈도를 상회하는 수문조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강변저류지가 설치된 하천은 복잡한 지형과 횡월류위어를 통하여 강변저류지로 분배되는 흐름이 동시에 발생하므로 복잡한 흐름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2차원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존 강변저류지 홍수저감효과 분석시 주로 활용되는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의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강변저류지에 의한 홍수저감효과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지형 및 횡월류 흐름을 공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2차원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in a Coastal Urban Area: Application to Gohyun River in GeojeIsland in Korea

  • Jeong, Woocha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1-241
    • /
    • 2015
  • In this study, the simulations and analyses of flood flow due to a river inundation in a coastal urban area are carried out using a two-dimensional finite volume method with well-balanced HLLC scheme. The target area is a coastal urban area around Gohyun river which is located at Geoje city in Kyungnam province in Korea and was extremely damaged due to the heavy rainfall during the period of the typhoon "Maemi" in September 2003. For the purpose of the verification of the numerical model applied in this study, the simulated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inundation traces. Moreover, the flood flow in a urban area is simul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cenarios of inflow to the river with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intensity of the heavy rainfall.

  • PDF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 변동에 관한 연구 - 2 . 어장주변 해역의 해수유동 -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 2 . Sea Water Circulation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 -)

  • 김동수;노홍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3호
    • /
    • pp.142-149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The current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s was observed by drogue and current meter in 1990 and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the north enterance of Yeosu bay was southerly in ebb and northwesterly in flood without the distiction of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In spring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68 cm/sec in ebb and 66 cm/sec in flood. In neap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37 cm/sec in ebb and 35 cm/sec in flood. And so the direction of residual current was the south ward mainly and 21 cm/sec.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set net fishing grounds was southwesterly in ebb and westerly or northwesterly in flood.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neap and spring. The maximum velocity of the current in spring tide was 50 cm/sec in ebb and 40 cm/sec in flood and that in neap was 28 cm/sec in ebb and 25 cm/sec in flood. In spring tide the speed vector along the major axis of semidiurnal tide component was three times as large as diurnal tide. In neap tide, however, the speed vector was about 50% less then that in spring tide, and the semidiurnal tide and diurnal tide were equal in the size of current ellipse and the direction of major axis. The sea area had a southwesterly residual current. 11 cm/sec in spring tide and 7 cm/sec in neap ti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drogue tracking, the vicinity of set net fishing ground had a southerly residual current which formed in Yeosu Bay and a weak westerly residual current toward Dolsando from Namhedo. Therefore, set net fishing ground in coastal water of Yeosu was distributed in boundary of inner water which formed from Seamjin river and offshore water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chido.

  • PDF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기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 -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임동일;엄인권;전수경;유재명;정회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151-163
    • /
    • 2003
  • 본 논문은 섬진강 담수가 해양으로 유입하는 남해의 여수해협 -소리도 연안 해역에서 홍수기 (일평균 강우량 50 mm 이상이 10일간 지속)동안 형성된 염하구 환경의 물리-화학적 특성(공간분포 및 조절인자)에 관하여 조사 . 연구한 결과이다. 섬진강 담수는 해수와 비교하여 수온, 염분, pH가 낮고 COD와 영양염(특히 질산염 ) 농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겨울철 갈수기와 달리 여름철 홍수기에는 이러한 특성의 담수가 섬진강 하구에서 약 20~60 km떨어진 전 연구해역으로 유입ㆍ확산되어 광범위한 염하구 환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홍수기 동안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염하구를 일반적인 강 하구의 염하구(river estuary)와 구분하여 “연안 염하구(coastal pseudo-estuary)"로 정의 하고자 한다. 한편, DIN/DIP비는 겨울철 갈수기보다 여름철 홍수기에 훨씬 더 높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논에서 사용되는 질소 화학비료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안 염하구 환경의 해수중에서 물리-화학적 인자들의 공간 분포와 거동 특성은 일차적으로 섬진강이 공급하는 담수와 해수의 물리적 혼합과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탈착 및 기타 생지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안 염하구 환경 특성은 전반적으로 강 하구의 염하구 환경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판단된다.

수치지도를 이용한 연안재해지도 작성 방안 (The Methods of Coastal Disaster Mapping Using Digital Map)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5호
    • /
    • pp.373-379
    • /
    • 2007
  • Natural hazards such as typhoon, flood, landslide affect both coastal and inland areas more often according to increasement of severe and unusual weather. To provide adequate coastal disaster mitigation strategies,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GIS is very useful. Application methods of digital map on this issue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or developing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e data structures related to disaster monitoring is needed to be revised for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o improve the current coastal disaster mapping methods, GIS based new model for coastal disaster mapping was suggested. In this study, coastal GIS showed the attribute data and structures of coastal disaster mapping.

GIS를 활용한 연안침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Using GIS)

  • 원대희;김계현;박태옥;최현우;곽태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7
    • /
    • 2004
  • 국내 기후의 급격한 변화와 국토의 난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커짐에 따라 연안침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가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안침수의 피해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하여 관련 지역의 주민들에게 지역의 특성을 주지시켜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형 국토관리의 일환으로 연안침수 시 피난경로와 피난장소, 의약품과 식량 및 주요 구난장비의 위치 등을 상세히 제공할 수 있는 연안침수지도의 프로토타입 제작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일본과 미국 등의 선진국 사례 분석과 함께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에 대한 GIS 자료구축을 위한 문헌조사와 기구축된 데이터의 확보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자료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과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을 강조하였다. 제작된 연안침수지도의 프로토타입은 효율적인 재난관리와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을 통하여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함께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