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a Q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경상분지에서의 Coda파의 감쇠특성 (Characteristics of Coda Wave Attenuation in the Kyungsang Basin)

  • 김성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35-40
    • /
    • 1999
  • In or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attenuation of coda wave in the Kyungsang Sedimentary Basin quality factor for coda wave or coda Q is estimated from the earthquake data recorded in the KIGAM microearthquake network. The single scattering model for coda wave generation is adopted in estimating coda Q. Coda Q appears to be largely dependent on the normalized time(a) which is the ratio of elapsed time to S-wave travel time. In the present study coda Q(Qc) is estimated in the range of a=1.5-3.Q and expressed in terms of frequency(f). The deduced function in the range of 1 to 25 Hz is Qc=36.8283 f1.15095 to represent the strong dependence of coda Q on frequency.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Qc between U-D N-S and E-W components is negligible, This face supports the back-scattering theory that coda were originates from scattered waves by randomly distributed heterogeneities in the crust.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that the coda Q increases with depth.

  • PDF

한반도 남동부에서의 Coda파 감쇠 (Attenuation of Coda Wave in the Southeastern Korea)

  • 김성균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4호
    • /
    • pp.379-384
    • /
    • 1999
  • In or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attenuation of coda wave in the Kyungsang Sedimetary Basin, quality faclity factor for coda wave (coda Q) is estimated from the earthquake data recorded in the KIGAM local seismic network. Thesingle scattering model for coda wave generation is adopted is adopted in estimating coda Q. In the present study, coda Q(Qc)is estimated in the range of $\alpha$=1.5~3.0, where $\alpha$ denotes the normalized time to S-wave travel time and expressed in terms of frequency (f). The deduced function in the range of 1 to 25 Hz is Qc=36.8283$f^{1.15095}$ which represents the strong dependence of coda Q on frequency.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Qc between U-D, N-S, and E-W components is negligible. This fact suports the back scattering therory that coda wave originates from scattered waves by randomly distributed heterogenities in the crust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that the coda Q increases with increasing epicentral distence.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QC increases with depth.

  • PDF

한반도 coda Q의 지역적 변화 (Regional variation of the coda Q in the Korean Peninsula)

  • 윤숙영;이원상;이기화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2
    • /
    • 2005
  • 한반도 남부 지각에서의 지진파 감쇠 양상을 나타내는 Q값을 구하기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과 기상청(KMA)의 지진파 자료 중 진앙거리가 100km 이내이고 Sampling 비가 80Hz 이상인 NS방향의 540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각의 자료에 대해 단일 산란 모델을 적용하여, S파 주시의 두 배부터 20초 길이를 가지는 시간창 위에서 1Hz, 1.5Hz, 3Hz, 6Hz, 9Hz, 12Hz, 15Hz, 18Hz의 주파수 별 coda Q 값을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각의 coda Q, 즉 $Q_c$값으로부터 주파수 관계식(f> 1Hz 일 때 $Q_c=Q_{0}f^n$)을 이용하여 1Hz 에서의 coda Q, $Q_0$를 구하였다. 한반도의 $Q_0$값은 50과 250사이 그리고 n 값은 0.5 와 1.0 사이에 있고 그 지역적 분포는 반도 내 지질구조와 잘 연관됨이 밝혀졌다. 또한 반도 서해부근의 Q 값은 중국 동쪽의 값과 잘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Coda 파를 이용한 경상분지에서의 Q값 추정 (Q Estimates Using the Coda Waves in the Kyeongsang Basin)

  • 이기화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67-74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단일 산란이론을 이용하여 경상분지에서 얻어진 국소 미소지진의 자료를 1.5-1.8Hz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대역 통과 필터링을 g여 coda 파의 진폭 감쇠로부터 Q값을 결정하였다 Coda Q 값은 Qc=Q0 fn 형태의 주파수 의존 양상을 보여주며 Q0 값은 83.9-155.9 n 값은 0.76에서 1.05 사이로 나타났다 산란 감쇠와 고유감쇠를 고려하여 감쇠가 순전히 산란에 의해서만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 평균 자유경로를 51.-56km 이고 비탄성 감쇠계수는 0.0093-0.0098 로 나타났다 진앙과 관측소간의 경로가 단층지역을 지나는 것이 다른 경로를 지나오는 것보다 높은 감쇠와 강한 주파수 의존성을 보여준다.

  • PDF

Coda 파를 이용한 경상분지에서의 Q 값 추정 (Q estimates using the Coda waves in the Kyeongsang Basin)

  • 이원상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1998
    • /
    • pp.383-390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경상분지에 설치되어있는 지진계에 기록된 자료를 이용하여 coda Q값을 계산하고 그것이 어느 정도 주파수에 의존하는 가를 추정해 보는 것이다. 분석한 주파수 영역은 1.5Hz에서 18Hz까지이다. 자료는 3조로 나누어 처리하였으며, 단일 산란 이론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매질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minimum mean free path 와 비탄성 감쇠계수를 계산했다. 계산 결과는 Q0값이 83.85 ~155.88로 단층대를 지나는 경로를 가진 자료에서 비교적 낮은 Q 값이 결정 되었고 n은 0.7615~1.0466이다.

  • PDF

확장 Coda 규격화 방법에 의한 한국남동부 지각의 Q$_P^{-1}$, Q$_S^{-1}$연구 (A Study of Q$_P^{-1}$ and Q$_S^{-1}$ Based on Data of 9 Stations in the Crust of the Southeastern Korea Using Extended Coda Normalization Method)

  • 정태웅;;이기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00-511
    • /
    • 2001
  • 양산단층이 지나는 한국 남동지방 지각의 Q$_P^{-1}$ 및 Q$_S^{-1}$를 한국자원연구소가 설치한 9점의 지진관측소 자료를 바탕으로 확장 Coda 규격화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1994년 12월부터 2000년 2월에 일어난 근지지진에서 707개 지진기록에 대하여 1${\sim}$2, 2${\sim}$4, 4${\sim}$8, 8${\sim}$16및 16${\sim}$32Hz의 대역필터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 관측점의 Q$_P^{-1}$는 (7${\pm}$2)${\times}$10$^{-3}$에서 (5${\pm}$4)${\times}$10$^{-4}$으로, Q$_S^{-1}$는 5${\pm}$4)${\times}$10$^{-4}$에서 (5${\pm}$2)${\times}$10$^{-4}$로 주파수가 1.5Hz에서 24Hz로 늘어남에 따라 줄어드는 주파수 의존성이 보인다. 이들 값의 지수 회귀선은 Q$_P^{-1}$가 0.009(${\pm}$0.003)f$^{-1.05({\pm}0.14)$, Q$_S^{-1}$가 0.004(${\pm}$0.001)f$^{-0.75({\pm}0.14)$)이다.

  • PDF

한국 남동부 지각의 P파와 5파 감쇠구조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Attenuation of P and S Waves in the Crust of the Southeastern Korea)

  • 정태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119
    • /
    • 2001
  • 지진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국 남동부 양산단층 지역에 대하여 707 미소지진자료기록에 대하여 Coda 확장규격화법을 적용할 경우, 회귀선값이 Q$_p^{-1}$는 0.009f$^{-1.05}$, Q$_s^{-1}$는 0.004f$^{-0.70}$로 나타난다. 이를 세계 여러지역에서의 조사연구와 대조하여 본 결과, 회귀선식의 지수값은 세계 여러 다른지역과 매우 유사한 반면, Q$_p^{-1}$ 및 Q$_s^{-1}$ 값은 가장 낮은 수준이다. 활성단층과 연관된 지각의 균열을 시사하는 높은 Q$^{-1}$ 값은 한국 남동부에서는 찾아지지 않았으며, 도출된 값은 오히려 순상지와 같이 지진학적으로 안정한 지역과 대응된다.

  • PDF

덕정리 지진자료를 이용한 한국남동부지역 지각의 P, S파 감쇠구조 연구 (A Study on the Attenuation of High-frequency P and S Waves in the Crust of the Southeastern Korea using the Seismic Data in Deok-jung Ri)

  • 정태웅;사또 하루오
    • 지구물리
    • /
    • 제3권3호
    • /
    • pp.193-200
    • /
    • 2000
  • 지진파가 전달되면 진폭이 감쇠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감쇠상수 $Q^{-1}$는 지구내부 물질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이며, 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있어서 지반의 강진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경상북도 덕정리에 위치한 지진관측기기에 기록된 80지진과 76단일 관측망 기록자료를 바탕으로 한국남동부의 P, S 실체파 감쇠상수를 Coda확장규격화법에 의해 구하였다. 구하여진 $Q_P^{-1}$$Q_S^{-1}$는 각각 1.5Hz에서 $1{\times}10^{-2}$$9{\times}10^{-3}$, 24 Hz에서 $6{\times}10^{-4}$$5{\times}10^{-4}$로 줄어들고, $Q_P^{-1}=0.01\;f^{-1.07}$$Q_S^{-1}=0.01\;f^{-1.03}$의 강한 주파수 의존성을 보였다.

  • PDF

The Attenuation Structure of the South Korea: A review

  • Chung, T. W.;Noh, M. H.;Matsumoto, S.
    • 지구물리
    • /
    • 제9권3호
    • /
    • pp.199-207
    • /
    • 2006
  • Fukuoka earthquake on March 20, 2005 showed the potential hazard of large events out of S. Korea. From the viewpoint of seismic hazard, seismic amplitude decrease Q-1 is very important. Related to the crustal cracks induced by the earthquakes, the value of Q-1- high Q-1 regions are more attenuating than low Q-1 regions - shows a correlation with seismic activity; relatively higher values of Q-1 have been observed in seismically active areas than in stable areas. For the southeastern and central S. Korea, we first simultaneously estimated QP-1 and QS-1 by applying the extended coda-normalization method to KIGAM and KNUE network data. Estimated QP-1 and QS-1 values are 0.009 f-1.05 and 0.004 f-0.70 for southeastern S. Korea and 0.003 f -0.54 and 0.003 f -0.42 for central S. Korea, respectively. These values agree with those of seismically inactive regions such as shield. The low QLg-1 value, 0.0018f -0.54 was also obtained by the coda normalization method. In addition, we studied QLg-1 by applying the source pair/receiver pair (SPRP) method to both domestic and far-regional events. The obtained QLg-1 for all Fc is less than 0.002, which is reasonable value for a seismically inactive region.

  • PDF

한반도 남동부지역 코다 Q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n Coda Attenuation of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 정태웅;최수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4권3호
    • /
    • pp.249-253
    • /
    • 2011
  • 한반도 남동부지역 지진자료의 고유감쇠($Q_i^{-1}$)와 산란감쇠($Q_s^{-1}$)값을 바탕으로 다중산란모델에 의한 이론코다감쇠 값(${Q_{Cexp}}^{-1}$)을 구하고 단일산란 모델의 관측 코다감쇠값($Q_C^{-1}$) 및 고유 및 산란 감쇠상수 값($Q_i^{-1}$, $Q_s^{-1}$)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Q_{Cexp}}^{-1}$ 값은 $Q_i^{-1}$값에 근접한 전형적인 모습이나, $Q_C^{-1}$값이 고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Q_{Cexp}}^{-1}$ 값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연구는 깊이에 따라 변화하는 감쇠값을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