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ur appearance mode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디스플레이에서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링 (Colour Appearance Modelling based on Background Lightness and Colour Stimulus Size in Displays)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3-48
    • /
    • 2018
  • 본 연구는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색채를 동일하게 지각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색채 재현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디스플레이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보다 정확한 색채와 향상된 영상 재현은 화질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디지털 색채 재현을 위해 중심와 시각과 주변시 시각의 특성을 분리하고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링을 계발하였다. 도출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분산분석을 통해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링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모델을 근거로 하여 알고리즘 및 모델링 검증 작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접목을 위해 제안한 모델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색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복합적인 화상이 입력 영상으로 제시될 경우의 방법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전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색채 변환 오류를 인간의 시지각 관점에서 해결 하여 보다 정확한 색채 표현과 향상된 화질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Effects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Cured Colour Development and Residual Nitrite Level in Model System

  • Hong, Geun-Pyo;Park, Sung-Hee;Kim, Jee-Yeon;Ko, Se-Hee;Lee, Sung;Min, Sang-Gi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325-328
    • /
    • 2006
  • In low nitrite level, treatment of combined with pressure and thermal processing improved cured meat colour comparing with that of only thermal processing. However, visual colour of only pressurised treatment could not be improved at low nitrite level. Pressure treatment could develop cured meat colour when high nitrite level was added. Moreover, pressurisation combined with thermal processing decreased nitrite residuals compared to thermal processing.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essurisation combined with thermal processing had potential benefits in appearance of cured meat products, promising improved food safety.

  • PDF

명도 수준에 다른 목표 샘플의 색차 (Color Differences of Standard Samples according to Their Lightness Levels)

  • 김정렬;이승준;김삼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25
    • /
    • 2005
  • A colour-difference formulae would be based on a colour appearance model, but, So far, most colour-difference formulae in common use are based on empirical fits to data. Therefore, of the many proposed, none are completely satisfactory but advances have been made in recent years. A new color-difference data set has been produced with the aims of making a comparison of the advanced CIE Lab formulae as well as confirming the effect of color-difference. 416 low lightness pairs that have only lightness-difference were produced for evaluation of CIE Lab-based formulae on lightness-difference from glossy polyester fabric. The standard color-difference pair was prepared and used. It was neutral grey sample pair that has only lightness difference. The standard pair was used to investigate lightness tolerances. And grey-scale method used to evaluate visual assessment. CIE Lab coordinate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a X-Rite 8200 spectrophotometer. Visual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using Gretag Macbeth The Judge II Light Booth. A study of color tolerances at low lightness was carried out and get avaliable some results.

2D-3D 정합기반 실제 제품의 사실적 3D 모델 생성 (Realistic 3D model generation of a real product based on 2D-3D registration)

  • 김강연;손성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385-5391
    • /
    • 2013
  • 온라인을 기반한 제품의 구매가 활성화 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사실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형상정보(3D mesh)와 색/질감정보(image)를 이용하여 텍스쳐 맵핑된 실사적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3 차원 형상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텍스쳐 좌표 관계를 구하기 위해 오브젝트 좌표계와 카메라 좌표계 사이의 변환행렬, 카메라의 초점거리, 카메라 CCD 와 프레임상의 이미지 사이의 종횡비를 파라미터로 하는 2D-3D 정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2D-3D 정합에 있어 발생하는 연산의 복잡도와 비선형도를 낮추기 위하여, 카메라 내부파라미터 검정단계, 임의의 회전행렬에 대한 임시적 최적 이동 벡터 (TOTV), 회전행렬에 대한 비선형 최적화 단계로 접근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시현하기 위해 3차원 컬러 측정기로는 색외관을 획득하기 힘든 메탈릭 페인트 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에 적용한 구현결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