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ic Imag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John Galliano 작품에 표현된 웃음의 미학 (The Comic Expression depicted on John Galliano's Works)

  • 장애란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129-142
    • /
    • 2006
  • The historicism and romanticism of John Galliano's designs are rivaled only by the spectacular and theatrical nature of his fashion shows; romantic silhouette, the complexity of the cut and, of course, the painstaking attention to historical detail. Galliano's approach is very much that of a British designer in that he absorbs wildly diverging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to invent new hybridizations of the contemporary. Galliano started his career as part of the wildly uninhibited avant-garde London design scene. His designs were twisted and artfully torn, weired and also beauti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ic Expression depicted on John Galliano's works by borrowing the Comic. The Comic or the Comedy is a kind of art form that signifies exciting effects, and so, is a means of raising a laugh. The similar concepts of the Comic already were depicted by means of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form, satire, fantastic pastiche and reversion of substances on Cubism, Dada, Surrealism, Pop Art and Postmodernism. Therefore, John Galliano selected the quixotic expressional methods to seek for having playful fun. The aesthetics of the Comic is the beauty based on quantitative or qualitative contradiction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zations. That is, the Comic is characterized by getting rid of stress through laugh with clarifying a subject of contradiction. This study found that John Galliano's designs are expressed the quixotic comic on Historical image, Exotic image and Primitive image to make a complaint against the social evils.

OpenCL 기반의 그래디언트 라돈변환을 이용한 만화영상의 정규화 (Comic Image Normalization using the gradient Radon Transform based on OpenCL implementation)

  • 김동근;전혁준;황치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4호
    • /
    • pp.221-230
    • /
    • 2011
  • 디지털 만화영상은 인터넷에서 매우 인기 있는 컨텐츠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만화영상은 디지털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며, 후처리를 하지 않으면 서로 다른 크기와 기울어짐을 가질 수 있으며, 경계부분에 내용이외의 여백이 있을 수 있다. 기울어짐과 여백이 없이 영상의 내용의 크기를 정규화하는 것은 내용기반 만화영상 검색과 같은 응용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디언트 라돈변환을 사용하여 검출한 선분을 이용하여 만화영상의 박스 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만화영상에서 박스프레임은 여백이 없는 만화영상 내용으로 이루어진 최대 사각영역이다. 만화영상의 크기를 정규화하고, 기울어짐을 없애기 위하여 박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선분 검출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OpenCL로 구현하였다. 제안 방법이 만화영상에서 효과적으로 박스 프레임을 검출함을 실험으로 보였다.

그래디언트 라돈변환을 이용한 만화영상의 외곽 경계사각형 검출 (Out-Boundary Rectangle Detection in Comic Images Using the Gradient Radon Transform)

  • 김동근;양승범;황치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38-545
    • /
    • 2011
  • 최근, 인터넷에 다양한 컨텐츠가 있으며, 특히 만화영상은 인기 있는 디지털 컨텐츠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만화영상은 대부분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며, 크기, 기울기, 경계선 부분의 여백 등이 정규화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정규화 과정은 만화영상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로, 만화영상의 외곽 경계사각형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디언트 라돈 변환을 사용하여 만화영상에서 외곽의 경계사각형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만화영상에서 경계 사각형의 변의 후보인 선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그래디언트 정보를 이용한 라돈 변환을 적용하고, 후보 선분과 지역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외곽의 경계사각형 검출하였다. 제안 방법으로 만화 영상에서 효과적으로 외곽의 경계사각형을 검출함을 실험으로 보였다.

영화 <중국 여인>에 나타난 만화적 표현 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ic Strip Style in the movie )

  • 장세영;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343-351
    • /
    • 2014
  • 본 연구는 만화적 표현 연출이 적용된 영화의 시퀀스에서 차지하는 역할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만화와 영화는 동일한 평면적 공간에서 표현되는 매체이지만, 각 매체의 내러티브를 해석하는 수용자의 입장은 다르다. 만화는 독자로 하여금 적극적 해석을 요구하는 미디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데올로기의 성격이 강한 영화에서 관객의 객관적인 비판의 시선을 만들어낼 수 있는 시각적 표현방법으로 연출될 수 있다. 만화적 표현은 만화 매체가 가진 2차원의 평면적 프레임의 특성과 만화적 미장센과 몽타주, 카메라 워킹으로 연출된다. 본 연구는 영화 '중국 여인'의 시퀀스를 통해 이 만화적 표현이 영화에서 관객의 객관적인 시점을 연출할 수 있음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효율적인 수화 통신을 위한 코믹한 감정 표현 (Comic Emotional Expression for Effective Sign-Language Communications)

  • 고광훈;김상훈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1-654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motional expression method using a comic model and special marks for effective sign-language communications. Until now we have investigated to produce more realistic facial and emotional expression. When representing only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a comic expression could be better than the real picture of a face. The comic face is a comic-style expression model in which almost components except the necessary parts like eyebrows, eyes, nose and mouth are discarded. In the comic model, we can use some special marks for the purpose of emphasizing various emotions. We represent emotional expression using Action Units(AU) of Facial Action Coding System(FACS) and define Special Unit(SU) for emphasizing the emo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a possibility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efficiently for sign-language image communications.

  • PDF

3D 얼굴 모델의 코믹한 감정 표현 (A Comic Emotional Expression for 3D Facial Model)

  • 고광훈;김상운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6-539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 emotional expression method using a comic model for effective sign-language communications. Until now we have investigated to produce more realistic facial and emotional expression. When representing only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a comic expression could be better than the real picture of a face. The comic face is a comic-style expression model in which almost components except the necessary parts like eyebrows, eyes, nose and mouth are discarded. We represent emotional expression using Action Units(AU) of Facial Action Coding System(FACS). Experimental results show a possibility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efficiently for sign-language image communications.

  • PDF

Emotion Analysis of Characters in a Comic from State Diagram via Natural Language-based Requirement Specifications

  • Ye Jin Jin;Ji Hoon Kong;Hyun Seung Son;R. Young Chul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92-98
    • /
    • 2024
  • The current software industry has an emerging issue with natural language-based requirement specifications. However, the accuracy of such requirement analysis remains a concern. It is noted that most errors still occur at the requirement specification stage. Defining and analyzing requirements based on natural language has become necessary. To address this issue, the linguistic theories of Chomsky and Fillmore a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natural language-based requirements. This involves identifying the semantics of morphemes and nouns. Consequently, a mechanism was proposed for extracting object state designs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code templates. Building on this mechanism, I suggest generating natural language-based comic images. Utilizing state diagrams, I apply changes to the states of comic characters (protagonists) and extract variations in their expressions. This introduces a novel approach to comic image generation. I anticipate highly productive comic creation by applying software processes to Cartoon ART.

코믹연출을 위한 입체적인 샷(Shot)연구 (A Study On The Comic Presentation For Three-Dimensional Shot)

  • 황길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6-839
    • /
    • 2006
  • 애니메이션제작에 있어 과장과 강조를 통하여 코믹한 연출을 만들어 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적인 과장과 강조를 Shot에 적용시킨 코믹효과를 연구한다. 먼저 선행단계로 입체적인 Shot을 연출하는 카메라계산법으로 이미지추출 실험과 Shot 이동연출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입체원리로 제작되어진 애니메이션 Shot을 분석하여 코믹효과를 제언한다.

  • PDF

서사적 관점에서 본 만화 <형가자진왕>의 도상 표현 (The Expressive of <The Emperor and the Assassin>'s Comic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 조정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84-93
    • /
    • 2014
  • 본문은 만화의 텍스트가 내용적 의미를 전달한다면 이미지는 어떻게 텍스트와 결합하여 서사적 기능을 하는가에 대한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한국과 일본의 만화 <형가자진왕>에 나타난 텍스트와 이미지 표현, 만화의 서사방식과 소통 그리고 도상적 표현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서사방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만화의 창작 모티브로서 형가의 이미지는 서사의 흐름에서 탈피하여 현재화하고 독자와 공감하는 타자이다. 고우영과 스메라기 나츠키의 만화에서 선, 면, 공간, 음영 등을 통해 가상의 서사적 시공간을 구축하였으며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불가능한 역사적 현실의 재현과 서사적 의미를 실현하였다. 스메라기 나츠키의 만화는 지속적인 역사적 진실과 추동력에 기초한 섬세한 정물화적인 서사적 표현이며, 객관적 묘사에 집중하면서 역사적 재현을 넘어 감각적인 현실의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고우영 만화의 도상적 서사는 주관적이고 낭만적인 이미지를 역사적 서사 속에 고착시키고 독자의 기억을 자각시키며 서사의 흐름과 충돌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려 하였다. 만화의 순간의 이미지는 역사적 현실의 재현이 아니라 고우영 자신이 추구한 서사적 실재의 재구성화된 도상이다.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에 의한 심볼디자인의 의미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Function of Symbol Design based on The Comic Dual Forces and The Five Elements)

  • 장은석;김재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53-62
    • /
    • 1999
  • 본고의 목적은 심볼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첫째, 디자이너들이 심볼의 굿디자인을 동양의 음양오행사상에 바탕을 시각적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적응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며, 둘째 심볼의 구조형태 분석과 감성인식 방법을 다른 각도에서 파악하여, 새로운 장조기법의 하나로서 심볼디자인의 사고영역을 넓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