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enhancement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1초

전통놀이를 활용한 초보놀이치료자 치료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vice Play-therapists Using Traditional Play)

  • 소현하;한유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5호
    • /
    • pp.103-11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velop a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vice Play-therapists Using Traditional Play to enhance therapy Competency and secon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and each session employs a variety of traditional play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Scale and Playfulness Scale were used as a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8.0 program, which applied the Mann-Whiteney U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Twelve novice play therapists participated in ten sessions of the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and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twelve novice play therapists who did not receive treatment. The treatment group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playfulnes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vice Play-therapists Using Traditional Play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playfulne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ts attempt to develop a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to improv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layfulness of novice play therapists by Traditional Play.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의 성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Outcomes of Parent Competency Enhancement Project for Children's Education in Daegu, Korea)

  • 김현욱;주동범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71-9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교육청의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의 다양한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부모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전개과정 및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의 주요 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의 주요 성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을 통해 학부모들의 자녀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둘째,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을 통해 학부모교육을 위한 인력을 양성하였다. 셋째,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강화 사업을 통해 교육수요자인 학부모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기본과정, 심화과정 등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학부모, 교원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평가의 결과는 학부모 자녀교육역량 강화사업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나, 운영시간 및 방법의 다양성과 강사 및 프로그램의 전문성이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학교유형에 따른 학부모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주요 결과에 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o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하영미;리메일링;채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47-35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실험중재는 간호대학생에게 6회(총 8시간)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이 실험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lourish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s)

  • 강현미;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7-187
    • /
    • 2015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필요성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나아가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노력여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노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정도, 효과정도, 프로그램 목표, 실시주기, 교육방법, 참여의사에서는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필요성은 기관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실시시기와 프로그램 운영자는 기관유형,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간호역량 모델링에 대한 고찰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고자경;정명실;최명애;박영임;방경숙;김정아;유미수;장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6
    • /
    • 2013
  • Purpose: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attracted many nursing institutions' attention, pursuing the enhancement of competency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not merely scrutinize the nomenclature of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as a concept of pedagogy as well as nursing science, but also form a well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process for nurs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nursing competency modeling. Methods: A comprehensive review on related literatures was conducted in each section of 1) competency-based curriculum, 2)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and 3) contents of competency. Results: The nomenclature of competency including nursing competencies, competency modeling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clarified and summarized. Through analyzing and reviewing former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 desirable nursing competency modeling and nurs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proposed and described. Conclusion: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nursing education that emphasizes intellectual skills acquisition and the enhancement of future-oriented professionalism. Competency modeling should reflect the fact tha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hould focus on the integration of nursing theories and clinical practices. Nursing competency modeling is essential in order to develop a genuin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ile in-depth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followed so that nursing theories and clinical practices work together in a coordinated fashion.

중소기업의 자격부여형 일학습병행제 참여가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of Small Businesses on Employees' Job Competency Enhancement)

  • 김은수;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95-101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자격부여형 일학습병행제 참여가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학습병행제의 교육형태 중 수행평가가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에 유의한(p<.001, ${\beta}=.514$) 영향을 미쳤으며 직급에 따른 일학습병행제 효과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의 자격부여형 일학습병행제 참여 시 수행평가가 근로자의 직무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기존 학습과정에서 대표적으로 운영되는 집체식 교육훈련이나 현장훈련만큼 수행평가의 효과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자격부여형 일학습병행제 참여가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일학습병행제 참여의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 학습형태에 따른 효과성을 규명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만성질환 예방사업에서 요구하는 필요능력과 보건교육사의 직무 강화 방안 (Enhancement for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o prevent chronic disease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5-14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on population-based program to prevent chronic disease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enhance specialized competency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Method: The current operating strategy and demanded competency related to chronic disease programs were analyzed by reviewing the Korean Health Plan 2020, the guideline of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the job description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Results: Preventive programs for chronic disease provide with healthy lifestyle programs i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service. First, health education specialist should learn to professional knowledge on health risk factor and chronic disease. Second, they should cultivate the integrated competency to manage operations on obesity, hypertension,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prevention programs. Third, they get strengthened the-job training to implement health education, public relations, campaigns, media advocacy, and utilization of multi-media. Conclusion: It should implement the preventive programs for chronic disease in various health promotion services through coordination with multiple sectors. To identify of the job in preventive program for that, it would be required empowerment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on disease prevention science and practical life skill.

2016 한의사 역량모델 정립 및 활용 방안 (2016 Competency Modeling for Doctor of Korean Medicine & Application Plans)

  • 임철일;한형종;홍지성;강연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11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 Korean medicine doctors and find application plans for the future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Meth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fted a competency model framework for modeling and defined competencies using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Also we conducted a FGI with 20 extension specialists in Korean medicine to validate competency model. Results: Findings are 5 domains and 15 competencies. 5 domains have optimal patient care, reasonable communication skill,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erforming social accountability, and efficient clinical management. 3 competencies are included in 5 domains each. With this model, 4 ways of application plans are shown to apply for the futur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Conclusion: Developed 2016 competency model for the Korean medicine doctors can be a first huge step to innovate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toward competency-based educational system.

독서치료를 적용한 역량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for Competency Enhancement in Nursing Students)

  • 김정회;안황란;편순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92-700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치료를 적용한 역량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고, 참여자는 24명의 간호대학생 중 실험군 10명, 대조군 14명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실험군을 대상으로 주 1회 90~120분 10주(9회기) 동안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 test, t-test 및 two-way ANOVA 등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전체 역량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10.62, p=.001).그리고 역량의 구성 요소 중 기본 역량(F=8.74, p=.001)과 실천 역량 (F=8.58, p=.001) 점수는 차이가 있었으나, 결과 역량인 시민성 역량(F=.229, p=.797)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독서치료를 적용한 역량증진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역량(기본역량과 실천역량)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한다.

간호역량 군집 유형에 따른 성찰 수준, 팀학습 분위기 및 학습조직 구축정도 비교 (Comparison of Reflection Hierarchy,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on Nursing Competency in Clinical Nurses)

  • 김희영;장금성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2-29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usters of nursing competency,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according to nursing competency clust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244 clinical nurses who worked in 4 general hospita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during June and July, 2011. Nursing competency, levels of reflection hierarchy,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with SPSS/WIN 20.0 version. Results: Nursing competency correlated positively with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p<.001). There were three clusters of nursing competency in a clinical ladder, which wer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grouped as high, middle, and low competency.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ing of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developing intensive reflection, reflection, team learning climat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would be useful strategies for enhancement of nursing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