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mented Cellular Automata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90/150 NBCA 구조를 이용한 영상 암호화 (Image Encryption using 90/150 NBCA structure)

  • 남태희;김석태;조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2-155
    • /
    • 2009
  • 본 논문은 90/150 NBCA(Null Boundary Cellular Automata)에 기반한 여원 MLCA(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를 이용하여 영상을 암호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암호화 방법은 먼저 선형 MLCA에서 유도된 여원 MLCA를 이용하여 원 영상의 크기만큼 PN(pseudo noise) 수열을 생성한다. 그 후 생성된 여원 MLCA 수열을 원 영상과 XOR 연산하여 암호화를 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하여 본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IBCA에 기초한 여원 MLCA와 2D CAT를 이용한 영상 암호화 (Image Encryption using Complemented MLCA based on IBCA and 2D CAT)

  • 남태희;김석태;조성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4호
    • /
    • pp.34-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BCA(Intermediate Boundary Cellular Automata)에 기반을 둔 여원 MLCA(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와 2D CAT(Cellular Automata Transform)를 단계적으로 이용하여 영상을 암호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암호화 방법은 먼저, 여원 MLCA를 이용하여 원 영상의 크기만큼 PN(pseudo noise) 수열을 생성한다. 그리고, 원 영상과 생성된 수열을 XOR 연산하여 여원 MLCA 영상으로 변환한다. 그 후, 게이트웨이 값을 설정하여 2D CAT 기저함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기저 함수를 변환된 여원 MLCA 영상에 곱하여 암호화를 한다. 마지막으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및 안정성 분석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높은 암호화 수준의 성질을 가졌음을 검증한다.

NBCA 에 기초한 여원 MLCA와 2D CAT를 이용한 새로운 영상 암호화 (A Novel Image Encryption using Complemented MLCA based on NBCA and 2D CAT)

  • 김하경;남태희;조성진;김석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C호
    • /
    • pp.361-36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영상 암호화를 위해 NBCA(Null Boundary CA)에 기초한 여원 MLCA(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와 2D CAT(Two-Dimensional Cellular Automata Transform)를 이용한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암호화 방법은 먼저, Wolfram Rule 행렬에 의해 전이행렬 T를 생성한다. 그 후, 암호화하려는 원영상에 생성된 전이 행렬 T를 곱하여 원 영상의 픽셀 값을 변환한다. 또한 변환된 원 영상을 여원 벡터 F와 XOR 연산하여 여원 MLCA가 적용된 영상으로 변환한다. 다음, 게이트웨이 값을 설정하여 2D CAT 기저함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여원 MLCA가 적용된 영상에 생성된 기저함수를 곱하여 2D CAT 암호화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정성 분석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높은 암호화 수준의 성질을 가졌음을 검증한다.

비디오 암호화를 위한 여원 최대길이 셀룰라 오토마타 (Complemented Maximum-Length Cellular Automata Applied on Video Encryption)

  • 이고용;조성진;김석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17
  • 인터넷기술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를 보호하려는 연구가 점점 중요하게 되었다.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본 논문에서는 여원 MLCA(Complemented 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 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CA규칙 90/150을 이용해 여원 MLCA의 상태 전이행렬 T를 만든 후, 2D 여원MLCA의 기저영상을 생성한다. 다음, 비디오영상을 다중프레임으로 나눈다. 마지막으로 여원 MLCA 규칙을 이용하여 생성한 기저영상과의 XOR 연산으로 최종 암호화된 비디오영상을 얻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영상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한 영상의 기본 정보인 픽셀의 값을 변환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암호화 방법보다 향상된 암호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대길이 여원 CA 기반의 의사랜덤수열 분석 (Analysis of Pseudorandom Sequences Generated by Maximum Length Complemented Cellular Automata)

  • 최언숙;조성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001-1008
    • /
    • 2019
  • 고품질 의사랜덤수열 생성은 암호화 프로토콜을 포함한 많은 암호화 응용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의사랜덤수열 생성기(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 이하 PRNG)는 암호시스템에서 키수열 생성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PRNG는 고품질의 랜덤한 큰 데이터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생성해야 한다. CA 기반의 PRNG는 LFSR기반의 PRNG에 의해 출력되는 난수열보다 랜덤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밀키 암호시스템에서 보다 안전한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키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PRNG를 설계하기 위해 최대길이를 갖는 90/150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로부터 유도된 여원 CA가 최대길이 CA임을 보인다. 또한 90/150 최대길이 CA(MLCA)와 여원벡터로부터 유도된 여원 MLCA의 각 셀에서 출력되는 수열 중 비선형 수열을 출력하는 셀의 위치를 분석한다.

Watermarking Based on Complemented MLCA and 2D CAT

  • Li, Xiao-Wei;Yun, Jae-Sik;Cho, Sung-Jin;Kim, Seok-Ta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212-216
    • /
    • 2011
  • Digital watermarking has gained importance in recent years in copyright protection and multimedia. This paper proposes a secure and novel watermarking system based on complemented 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 (MLCA) and Two-Dimension Cellular Automata Transform (2D CAT). In this watermarking scheme, the original watermark is first encrypted by complemented MLCA with the private keys, and then the encrypted watermark is embedded into the CAT domain of the cover image, at last use the inverse CAT for the transformed image, the watermarked image is obtained.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is new method is more secure and provides robust performance against watermarking attacks.

Secure and Novel Watermarking System Based on Complemented MLCA and 2D CAT

  • 이소위;윤재식;조성진;김석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3-396
    • /
    • 2010
  • A secure and novel watermarking system based on complemented 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 (MLCA) and Two-Dimension Cellular Automata Transform (2D CAT) is proposed. In this watermarking scheme, the original watermark which is first encrypted by complemented MLCA with the private keys, and the encrypted watermark is embedded into the CAT domain of the cover imag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is new method is more secure and provides robust performance against watermarking attacks.

  • PDF

최대길이를 갖는 셀룰라 오토마타의 생성 (Generation of 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

  • 최언숙;조성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30
    • /
    • 2004
  • 최대길이를 갖는 선형 90/150 셀룰라 오토마타(CA)가 패턴생성, 신호분석, 암호, 오류정정 부호에 응용되면서 n차 원시다항식을 특성다항식으로 갖는 선형 CA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최대길이를 갖는 다양한 셀룰라 오토마타의 효과적인 생성방법을 제안한다. 특성다항식이 n차 원시다항식인 선형이며 최대길이를 갖는 CA(MLCA)로부터 유도된 여원 CA가 MLCA임을 밝히며 여원 MLCA의 여러 가지 성질들을 분석한다 또한 n-셀 MLCA를 ${\phi}(2^{n}-1)2^{n+1}$/n.개 생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선형 TPMACA의 0-tree의 0이 아닌 상태를 여원벡터로 갖는 셀룰라 오토마타 (Cellular Automata with a Complemented Vector as a Non-zero State in the 0-tree of a Linear TPMACA)

  • 조성진;김한두;최언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356-3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선형 TPMACA C의 0-tree에서 0이 아닌 상태를 여원벡터로 갖는 CA C'를 분석하여 C의 모든 상태가 C'의 어느 곳에 있는지를 밝혔다. 또한 C의 상태전이 그래프에서 한 경로만 알면 나머지 상태를 모두 알 수 있음을 밝혔다.

  • PDF

최대 동일 길이를 갖는 여원 HGCA구성 (Construction of Complemented Hybrid Group Cellular Automata with Maximum Equal Lengths)

  • 조성진;최언숙;황윤희;김진경;표용수;김한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565-1572
    • /
    • 2006
  • 최근 무선 통신의 출현과 PDA, 스마트 카드와 같은 휴대용 장치의 발전으로 인해, 이에 대한 보안과 개인 정보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암호학의 적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CA는 암 복호화를 공유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이규칙 60, 102 또는 204를 갖는 선형 하이브리드 셀룰라 오토마타가 그룹 셀룰라 오토마타가 되는 조건을 제안하고 이 셀룰라 오토마타로부터 유도된 여원 하이브리드 그룹 CA의 상태전이 그래프에서 모든 사이클의 주기가 동일하고 가능한 최대 길이를 갖는 CA가 되기 위한 여 원벡터의 조건을 제시한다. 또한 여원 하이브리드 그룹 셀룰라 오토마타의 사이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는 Mukhopadhyay의 결과의 일반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