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ssible Inclus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EPS의 압축성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시스템 연구 (Retaining Wall System Using the Compressible Inclusion Function of EPS)

  • 김진만;김호비;조삼덕;주태성;최봉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1-418
    • /
    • 2001
  • The last 30 years have been significant worldwide growth in the use of EPS as a lightweight fill material. This paper analyzes the compressible inclusion function of EPS which can results in reduction of static earth pressure by accomodating the movement of retained soil. A series of model tes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duction of static earth pressure using EPS inclusion and determine the optimum stiffness of EPS, Also, field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duction of static earth pressure using EPS inclusion. Based on field test it i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static earth pressure was reduced about 20% compared with theoretical active earth pressure.

  • PDF

EPS의 압축성을 이용한 토압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Load Reduction Effect Using EPS)

  • 김진만;조삼덕;최봉혁;오세용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01-108
    • /
    • 2004
  • 최근 30년간 EPS 블록은 전 세계적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EPS 블록의 적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EPS 블록의 압축성에 따른 아칭효과를 이용한 옹벽, 교대, 매설관등 지반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 저감 분야를 들 수 있다. EPS 블록은 경량성에 기인한 우수한 시공성과 밀도 변화에 따른 균질한 공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압축재로서 최적의 재료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EPS 블록은 밀도가 낮은 경우 동일한 하중 아래에서 보다 압축성이 우수한 경향을 보이나, 밀도가 10kg/$\textrm{m}^3$ 이하인 경우 발포 비드간 결합력이 약하여 쉽게 파괴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지반공학적으로 이용할 때에는 10kg/$\textrm{m}^3$ 이상의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구조물의 하중 저감을 위한 아칭재로서의 EPS 블록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과 콘크리트 박스 암거를 대상으로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시험시공 결과 아칭재인 EPS 블록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이론적인 토압에 비하여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약 20% 정도, 콘크리트 박스 암거의 경우 약 45∼53%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압축성재료를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의 수평토압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 (Reduction of Horizontal Earth Pressure on Retaining Structures by a Synthetic Compressible Inclusion)

  • 류기정;백영식;김호비;김기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9-28
    • /
    • 2003
  • 통상 콘크리트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토압 산정에는 Rankine이나 Coulomb의 토압이론을 사용하고 있으나 문헌연구결과, 실제 옹벽 벽체에 발생하는 변위인자에 의한 영향으로 벽체 중단부 이상에서는 주동토압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벽체 중단부 하단에서는 주동토압보다 큰 토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수평토압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압축성 재료인 EPS를 벽체 배면에 설치하여 배면토체의 변위를 인위적으로 유발함으로서 수평토압의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EPS에 의한 수평토압 저감효과, 최적의 EPS 포설두께 및 밀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내모형토조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 실내모형토조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이용한 현장 시험시공결과, EPS 포설에 의해 약 20%의 수평토압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토목섬유를 이용한 매설암거의 토압저감효과 연구 (Load Reduction on Buried Pipes and Culverts using Geosynthetics)

  • 김진만;조삼덕;최봉혁;오세용;안주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토목섬유기술위원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 /
    • pp.21-31
    • /
    • 2001
  • The last 30 years have been significant worldwide growth in the use of EPS as a lightweight fill material. A new construction method was introduced, which reduces earth pressure acting on culvert and conduit by placing a thin layer of EPS. This paper analyzes the compressible inclusion function of EPS and geogrid which can results in reduction of earth pressure by arching that is the behaviour of soil-structure system involving redistribution of soil stress around the structure. Field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duction of vertical earth pressure using EPS and geogrid inclusion. Based on field test it i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reduced vertical earth pressure was about 24~50%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 PDF

압축재 포설에 따른 매설관거의 하중저감 효과 평가 (A Study of Load Reduction Effect on Conduits Using Compressible Inclusion)

  • 김진만;최봉혁;조삼덕;주태성;김호비;이종화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3-11
    • /
    • 2003
  • 지중매설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하중 저감기법인 유도 고랑형 기법은 관거 상단의 내부토체에 압축성이 큰 재료(점토, 이토, 지푸라기 등)를 뒤채움함으로서 다짐된 지반인 외부토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향 침하하는 변위를 유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아칭효과에 의해 하중을 저감시키는 기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유도 고랑형 기법은 상대적 변위를 유발시키기 위한 압축재인 점토, 이토, 지푸라기 등이 현장의 품질관리차원에서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관련 연구 경향은 압축재로서 재료 관리가 용이한 대체 재료의 개발과 EPS 블록의 활용성 검증 등에 초점이 모아 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성강관의 포설 효과, EPS 블록 포설 형태, 연성강관의 직경 등을 변화인자로 한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연성관 및 EPS 블록 포설에 따른 수직하중 저감 효과와 매커니즘을 분석하고, 현장적용에 필요한 최적 단면 및 설계 시 적용되는 환산하중계수(K')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PS 블록을 이용한 파형강관의 하중저감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Load Reduction on Corrugated Steel Pipe Using EPS Block)

  • 김진만;조삼덕;최봉혁;오세용;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91-99
    • /
    • 2004
  • 지중매설구조물의 하중저감과 관련하여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점토, 이토, 지푸라기 등의 압축재를 이용한 유도고랑 관거(induced-trench)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일본과 노르웨이 등에서는 압축재로서 EPS 블럭을 이용한 하중 저감 방안에 대한 현장 시험시공을 통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아칭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재료인 EPS 블록을 이용한 고성토 매설구조물 구축공법은 작용하중 저감에 따른 경제적인 구조물 단면의 선정, 구조물의 안정성 증대, 시공의 용이성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성 관거인 파형강관에 대한 토압 저감을 대상으로 아칭재인 EPS의 아칭 효과에 따른 토압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련의 EPS를 이용한 하중 저감 평가시험이 수행되었으며, 현장 시험을 기초로 한 수직 토압 저감효과는 일반적인 연성관거에 비해 약 35∼40%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Study for improvement of grounds subjected to cyclic loads

  • Mittal, Satyendra;Meyase, Kenisev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4권3호
    • /
    • pp.191-208
    • /
    • 2012
  • Due to rapid industrialisation, large sca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is taking place worldwide. This includes railways, high speed highways, elevated roads etc. To meet the demands of society and industry, many innovative techniques and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In developed nations like USA, Japan etc. for railways applications, new material like geocells, geogrids are being used successfully to enable fast movement of vehicles. The present research work was aimed to develop design methodologies for improvement of grounds subjected to cyclic loads caused by moving vehicles on roads, rail tracks etc. Deformation behavior of ballast under static and cyclic load tests was studied based on square footing test. The paper presents a study of the effect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 on the (cumulative) plastic settlement, of point loaded square footing on a thick layer of granular base overlying different compressible base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inclusion of geo-synthetics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ballasted tracks and reduces the foundation area. If the area is kept same, higher speed trains can be allowed to pass through the same track with insertion of geosynthetics. Similarly, area of machine foundation may also be reduced where geosynthetics is provided in foundation. The model tests results have been validated by numerical modeling, using $FLAC^{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