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rt hall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초

베를린 필하모니 콘서트홀에 나타난 한스 샤룬의 건축적 특성 연구 (A Study on Hans Scharoun'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Berlin Philharmonic Concert Hall)

  • 주범;김홍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4-31
    • /
    • 2007
  • Berlin Philharmonic Concert Hall is one of most prominent architecture of Hans Scharoun, which is known as the fine combination of the functionalism as an important factor in modern architecture and the hi-developed technology Moreover, the plan and spatial planning of the concert hall is famous for its evolutionary approach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concert hall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forms and organic system of functions of this concert hall in order to re-evaluate it's historical meanings in our modern architecture history, The current study will also look into how the personal background of Hans Scharoun has influenced his design in various ways, especially the inside of lobby and auditorium of Berlin Philharmonic Concert Hall.

청취자 선호도를 반영한 콘서트홀 음향설계 (Room acoustic design of a concert hall with a reflection of listeners' preference)

  • 김지현;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9-144
    • /
    • 2019
  • 콘서트홀의 소리품질을 나타내는 실내음향 지표들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청취자들이 기대하는 소리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의 결과로 각 실내음향 지표들의 적정 범위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에 따라 연주나 청취환경의 경향이 변하고 있고, 각 지표의 적정 범위에 대해 연구자들의 이견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콘서트홀의 음향환경에 대해 청취자들이 어떠한 선호개념을 갖고 있는지 조사하고 이를 콘서트홀의 음향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의 연주 및 청취에 전문적인 경험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콘서트홀 음향효과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청취조건을 구현하는 콘서트홀의 음향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콘서트 홀에서 선호되는 음향특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Preferred Acoustic Characteristics in Concert Halls)

  • 최영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16
    • /
    • 2005
  • 본 연구는 주관적 음향평가를 통하여 콘서트 홀에서 선호되는 음향특성과 중요한 음향지표 조사에 그 목적이 있다. 호주의 두 콘서트 홀 (이하 Hall A와 Hall B로 가칭함)에서 더미헤드 (Dummy Head)로 녹음된 음악을 이용하여 음향평가를 위한 청감실험을 통해 실시하였다. 평가된 두 콘서트 홀의 음향선호도는 측정된 음향지표와의 상관도를 분석하여 실제 홀에서의 음향평가에 기여하는 음향지표를 조사하였다. 청감실험에서 피험자들은 Hall B가 Hall A에 비해 음향적으로 우수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Hall A의 낮은 음향선호도는 전문음악가와의 인터뷰조사결과와 유사하였다. 두 콘서트 홀의 음향평가에 가장 중요한 음향지표는 음압레벨로 밝혀졌다.

콘서트홀에서 음향지표와 앙상블 연주와의 상관관계 (Relation between Acoustical Parameters and Ensemble Performance on a Concert Hall Stage)

  • 김용희;이평직;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75-978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stage acoustics in concert halls for ensemble performance in terms of stage support parameters. A concert hall with large stage area was selected. Objectiv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Gade's methods for investigating stage support (ST1). The sound field on the stage was evaluated using stage and audience acoustic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ositions at stage, different acoust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Higher ST1 and lower $IACC_{E3}$ were measured near side and rear stage walls. In case of conductor/soloist vs. orchestra player, objective measurement of acoustical parameters shows that early sound fields depend on the source-receiver distance but late sound fields depend on the location of side and rear walls. In addition, in-situ evaluation of the trio instrumentalists was carried out. Results show that ensemble is favored by higher early reflection of sounds and sound diffusion affecting ‘blending’ of their performance.

  • PDF

콘서트홀 무대반사판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ensemble reflector in a concert hall)

  • 김민애;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6-362
    • /
    • 2018
  • 장방형 평면의 한쪽 끝에 자리잡아 벽체와 천장 등의 1차 혹은 2차반사음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슈박스 콘서트홀의 무대와는 달리, 객석으로 둘러싸인 무대의 빈야드 콘서트홀은 무대 위의 연주자들이 자신이나 다른 연주자들의 연주음 크기나 화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초기반사음이 절대 부족하다. 무대 주변벽에서의 반사음을 기대할 수 있지만 무대라이저와 그 위의 연주자들에 의해 상당부분 가려지기 때문에 그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다. 무대반사판(ensemble reflector)은 무대의 상부에 설치하여 연주자들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주음의 앙상블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2,000여석 규모의 커다란, 따라서 높은 천장으로 인해 유효한 초기 천장반사음을 확보하기 힘든 대형 빈야드 콘서트홀에서 적절한 위치와 형태와 면적을 갖는 효율적인 무대반사판을 설계하고 무대서포트에 관한 정량적 지표를 토대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콘서트홀의 무대 천장높이 변화에 의한 객석음향의 영향 (The Effect of Stage Ceiling Height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Concert Halls)

  • 신동재;전진용;서형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장방형 콘서트홀에서 무대천장높이 변화가 객석의 음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객석부에서의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표적 장방형 콘서트홀인 Boston Symphony Hall (이하 BSH)의 단순화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신축된 400석 규모의 장방형 홀의 축소모형 $(1.2m{\times}0.68m{\times}0.31m)$ 실험과 축소모형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무대부 천장높이의 변화에 따른 객석에서의 음향특성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축소모형실험 및 축소모형실험의 시뮬레이션에서 모두 무대천장높이가 낮아질수록 잔향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무대천장 높이에 따른 잔향시간의 변화율은-0.09[sec/m]$\~$-0.061[sec/m]로 나타났다.

콘서트홀에서 무대음향에 대한 무대 반사판의 영향 (The Effects of Stage Reflectors on Stage Acoustics in Concert Halls)

  • 김용희;김수연;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7-91
    • /
    • 2005
  • The effects of the movable reflectors on the stage acoustics in Seoul's Sejong Performing Arts Center (3,048-seat multi-purpose hall, stage area of $270m^2$ within an orchestra shell) and Ceramic Palace Hall (440-seat concert hall, stage area of $105m^2$) were investigated. Acoustical parameter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stage and audience acoustics in the two halls. The study was primarily based on the stage support parameter STI proposed by Gade (Acustica 65, pp.193-203, 1989). Results showed that STI varied on the stage of the large hal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flectors, whereas STI did not vary in the small hall. In the large hall, a smaller clear stage area (bounded by the reflectors) yields an increase in both STI and other early energy measures. In the small hall, early energy decreases when its stage's surface diffusion was covered with specular reflectors.

  • PDF

가상 콘서트홀 기반의 인터랙티브 음향 체험 인터페이스 (Interactive sound experience interface based on virtual concert hall)

  • 조혜승;김형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가상 콘서트홀에서 사용자가 인터랙티브한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가상 콘서트홀을 기반으로 좌석 위치별 음향 체험 시스템과 악기 제어 및 음향 체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의 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인공 잔향 알고리즘과 멀티채널 음원 분리, 머리전달함수를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유니티(Unity)를 사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사용자는 가상현실기기인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를 통해 가상 콘서트홀을 체험할 수 있고 립 모션(Leap Motion)을 통해 별도의 입력 도구없이 손동작만으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며 헤드폰을 통해 시스템이 제공하는 음향을 체험할 수 있다.

수치해석모델을 이용한 콘서트 홀 바닥진동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Concert Hall Floor Vibration Using Numerical Analysis Model)

  • 노지은;허석재;문대호;이상현;나창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469-47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실제 공연장을 예제 건물로 하여 공연장에 발생한 진동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연장 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해 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프로그램은 MIDAS GEN을 사용하였으며, 바닥판은 합성효과를 고려하여 모델링하였다. 해석결과 진동계측실험을 통해 구한 바닥판 고유진동수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군중의 율동에 의한 동적하중을 시간이력해석으로 해석하여 진동계측 실험과 유사한 수준의 바닥판 가속도 응답을 확인하였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예제 공연장의 최대관람인원인 400명의 집단율동 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둥과 보의 가해지는 외력은 설계 내력을 하회하여 안전성에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연 시 발생하는 수평방향 진동수준은 지진하중의 2% 수준으로 수직수평 모두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주지역 공연장 접근 형평성 평가와 입지선정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quality and the Direction of Location Selection for the Concert Hall in Jeju)

  • 고혜영;고태호;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14-620
    • /
    • 2021
  • 제주도민은 문화예술 활동의 이용 내용에는 만족 비율이 높은 반면, 이용 환경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가 공연장 접근성이 낮아 문화소외지역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제주도 내의 공연장 중 공공기관이면서 문화예술회관, 종합공연장, 일반공연장인 경우를 선정하였으며 9개의 공연장이 이에 부합하였다. 이후 GIS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공연장의 입지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공연장 접근성이 취약한 제주 서부지역, 동부지역의 입지선정방향을 제안하였다. 입지선정방향은 이론, 선행연구,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주밀집지역의 제외, 접근성 취약지역의 우선, 접근성 취약지역 내 접근성 양호지점,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권역과의 원거리 지점, 자연경관 친화, 대중교통접근성을 선정하였다. 제안한 입지 방향에 맞는 2020년 현재 공연장 건립가능 지역으로 성산일출봉, 새별오름, 표선 해수욕장, 송악산 등 4곳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제주를 '문화의 섬'으로 만드는 문화마케팅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