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s Usag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즐거움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 (Continued Usage with Attachment on Mobile Devices Influencing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Enjoyment)

  • 권순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9-14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 정보시스템간(예: 모바일디바이스)의 애착동기(attachment)를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특히 사용자경험(user's experience)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가치(perceived value), 지각된즐거움(perceived enjoyment), 애착동기(attachment)의 요인들이 모바일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continuos usage)과의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경주하여, 사용자의 과거경험(user's past experience)이 모바일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착동기(attachment)는 지각된즐거움(perceived enjoyment)과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에서 지속적인 사용(continuos usage)에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로서의 위치를 검증하였다. 또한, 지각된즐거움(perceived enjoyment)과 지속적인 사용(continuos usage)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지각된가치(perceived value)에서는 조절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스마트폰 게임의 지속적 사용의도와 추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to User's Continuos Usage and Recommendation of SmartPhone-Games)

  • 권혁인;김호일;최용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5-125
    • /
    • 2011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스마트폰게임 시장의 큰 성장을 가져왔으며 고 부가가치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에 새롭게 부각되는 스마트폰게임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야기되고 있으나 기존 연구가 스마트폰 이전의 휴대폰을 대상으로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져 스마트폰 중심의 새로운 확장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스마트폰게임의 구매영향요인을 토대로 구매의도, 구매행동, 만족, 추천, 지속사용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추천과 지속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 커뮤니티 등을 통해 수집한 설문응답자료 293부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 분석에 이점을 가진 구조방정식 모델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핵심 요인들은 차후 스마트폰게임 관련 비즈니스 시장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개발을 수행하고 보다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유용한 시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기반 uTradeHub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Acceptance Model of uTradeHub Service Based on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송선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81-189
    • /
    • 2017
  • 무역 분야의 혁신 정보기술인 uTradeHub는 국가 전자무역 통합서비스로서 중소무역업체를 포함한 무역거래당사자들이 추가적인 투자 없이 인터넷을 통해 마케팅, 상역, 외환, 통관, 물류, 대금결제에 이르는 모든 무역 업무를 단절 없이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불만이나 외면으로 방치되거나 지속적인 사용이 뒷받침되지 못함으로 인해 그 활용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TradeHub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사용된 변인(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기반)을 uTradeHub의 지속적 사용에도 적용가능한지 이론적 틀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용자 만족(매개효과)과 CEO지원(상호작용효과)의 역할을 규명해 봄으로써 uTradeHub 운영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된 응답지 총101부를 실증분석(SPSS 24.0)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기술수용요인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H1)에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만이 사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촉진기반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사용자 만족이 uTradeHub의 지속적인 사용에 미치는 영향관계(H2)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사용자 만족의 매개효과 검증(H3)에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사용자 만족을 거쳐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CEO지원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H4)에서는 성과기대와 사회적 영향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만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원자력 구조재 신뢰성 향상을 위한 열피로 균열 시험편 제작 기법 개발 (Development the Technique for Fabrication of the Thermal Fatigue Crack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Structural Component in NPPs)

  • 김용;김재성;이보영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6권2호
    • /
    • pp.43-49
    • /
    • 2008
  • Fatigue cracks due to thermal stratification or corrosion in pipelines of nuclear power plants can cause serious problems on reactor cooling system.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technology including fabrication of standard specimens and their practical usage is need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nondestructive testing. The test material was austenitic STS 304, which is used as pipelines in the Reactor Coolant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s. The best condition for fabrication of thermal fatigue cracks at the notch plate was selected using the thermal stress analysis of ANSYS. The specimen was installed from the tensile tester and underwent continuos tension loads of 51,000N. Then, after the specimen was heated to $450^{\circ}C$ for 1 minute using HF induction heater, it was cooled to $20^{\circ}C$ in 1 minute using a mixture of dry ice and water. The initial crack was generated at 17,000 cycles, 560 hours later (1cycle/2min.) and the depth of the thermal fatigue crack reached about 40% of the thickness of the specimen at 22,000 cycles. As a results of optical microscope and SEM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fabricated thermal fatigue crack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real fatigue cracks in nuclear power plants. The crack shape and size were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