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of IT and the Arts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9초

창의적 융복합 『미래융합IT인문학』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성 검증 (Creative Convergence Course 『Future Confluence IT Humanities』 Development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Verification)

  • 최은선;고전;최근배;김희필;이호수;박남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69-582
    • /
    • 2021
  • Education emphasizes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power in an era of rising uncertainty and rapid progress. This paper proactively designed e-Learning team teaching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by these social needs. It analyzed the empirical effects on the operation of the subjects to foster future talent who can converge and apply knowledge in various fields. The curriculum consisted of professors of mathematics, practical Arts, computer, and education, and was operated to convey convergent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humanities, and consisted of 15 liberal arts courses at J University. Besides,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were also developed by the faculty. As a result of the primary research, prospectiv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generall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lass, especially for the faculty. The students' overall convergent thinking ability has increas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01), and the students' major has been found to be irreleva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communication, content convergence, and caring factors, excluding creativity factor, have all risen to a significant level.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and Electricity·Electr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 Kim, Myung-Jung;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99-205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analysis of electric and electronic's unit in paratical arts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current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Korean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the 'information' related chapter is Chapter 3. However, educational contents mainly consist of mak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pecified manual such a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learning about robots, etc. It is very insufficient to develop the computational thinking required by the software-centered society. Therefore, we are to study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and Electricity Electr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국내외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향 분석 (The Analysis on Development Trends for Korean and Overseas Science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 양승지;권난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376-400
    • /
    • 2014
  • 이 연구는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학교 교육 현장에 올바른 적용을 위해 국내의 학교 안과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현황은 어떠한가 알아보고, 국외의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사례 조사를 통해 국외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개발된 국내 외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앞으로 과학과 예술 융합 교육의 학교 정착을 위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학교안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193개, 국내 학교밖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106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국외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정부, 연구기관, 과학관 미술관 등에서 실시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수집한 사례들은 국내 학교 안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교육대상, 운영시간, 융합분야, 예술활동의 기능, 예술 활동의 역할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국내 학교밖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운영시기, 운영방법, 융합분야, 활통형태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 국외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사례는 기관, 개요, 목표, 프로그램의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이 우리 학교 교육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한 단원, 한 차시의 과학과 예술 융합이 아닌 과학교육 내용과정에 적용 가능한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하며,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밖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하며, 프로그램 활동내용 및 지도 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구기관과 교육기관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 학교 교육에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되길 기대해본다.

  • PDF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반으로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개념 검토 (An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as a Basis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me)

  • 박건규;김원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97-403
    • /
    • 2016
  • 본 연구는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의 개념을 검토한다. 시각적 문해력은 문자에 대한 문해력이 그러하듯이 주체에게 시각적으로 주어지는 정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청소년층의 생활전반에서 뉴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시각정보가 많고 다양한 만큼 시각적 문해력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에서 시각적 문해력은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된다. 여기에는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시각정보를 교환하며 서로 소통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Determinant's Factors to Employment Status of College Graduate Majored in Culinary Arts

  • NA, Tae-Kyun;KO, Beom-Seok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25-3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determine whether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culinary arts are employe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largely divid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tus of employment into the personal background, college life,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actors. And, the data of 164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culinary arts-related departments participating in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status and experience of job-seeking activities of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culinary arts decreased the employment probability. On the other hand, major satisfaction and certification acquisition were found to increase the employment probability. Second, the health status and experience of job-seeking activities of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2018GOMS were found to decrease the employment prob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and grade were found to increase the employment prob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the health status of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2019GOMS affected the status of employ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of culinary arts majors at the end of COVID 19, universities nee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and their grades while attending college.

아나모픽 착시예술을 활용한 초등 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onvergence Program using Anamorphic Optical Illusion Art)

  • 안재홍;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24-237
    • /
    • 2015
  • In this study, in regard to the change of the paradigm to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we have looked into the ways to apply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arts,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step forth with the science and the arts in educational field. In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ies related to the optical illusion arts, to make sure that the design-oriented science education to reach its goal to make effective teaching, student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method of the artistic designs. Totally it had two rounds for inspection about operation of the convergence with curriculum. As a result, students changed attitude to concentrate in class naturally while doing their art work, participating in person rather than simply looking. It is caused by the scientific approach to strategy of illusion arts. In addition, we could see that students change into a proactive manner as well as teachers comments that they are communicate and make a complete the work with others. A lot of researches give that science can provide the ideas as a method to arts, arts can provide creative ideas to science, but it is still lacking that resear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specifically on how to. An efforts in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will continue to introduce, as this study STEAM of science and a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e shifted paradigm.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인식 연구 (A Study For The Experiential Value And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 안주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64-370
    • /
    • 2017
  • 공연예술의 창의적 사고와 융복합적 다양성은 장르별 새로운 소통을 전제로 경험적 가치실현의 정착을 추구한다. 이러한 새로운 가치와 소통은 또 다른 의미의 시도와 함께 집단지성의 유형을 창조하며 대중의 개체소통과 수평적 사고를 토대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새로운 유형과 분석을 통해 가능하고 아울러 예술가의 수평적 창작구조로 이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융복합'의 올바른 가치개념은 장르별 예술가들의 경험적 사고능력에 따른 경험적 소통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탈장르화와 협업경향은 지적능력에 따른 협력과 장르별 수평적 소통인식에 의한다. 셋째, 협업에서 대중의 개체화된 소통능력과 보편적 소통인식이 전제되어야 하고 나아가 집단지성의 경험적 정의에 인식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융복합적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집단지성의 실험적 창조를 가능케 하고, 관계구조는 공연예술의 융복합적 해석과 표현의 유의미한 전이로 확장됨을 결론지었다.

경찰 무도 교육의 발전방향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olice Martial Arts Education)

  • 정일홍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121-127
    • /
    • 2015
  • 본 연구는 경찰무도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시설적인 측면에서 현대화된 체육관으로 적정면적($8.5m^2$/1인당) 이상되어야 하고, 현재 4가지의 선택종목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활용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무도종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경찰무도의 교육프로그램 측면으로 무도와 체력은 분리 교과로 이루어져야하며 수업시수의 확대도 필요하다. 그리고 현대사회에 흐름에 맞게 4개의 종목으로만이 아닌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공수도, 우슈쿵푸 등이 다양한 종목이 늘어나야 하고, 선택무도에서 현장에서 실용적인 경찰무도의 단계별 프로그램을 개발, 연결해야 한다. 셋째, 전문적이고, 높은 학습효과를 위해서는 교육경찰무도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무도 교수요원의 확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외부 전문가의 임용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사운드아트의 국내 고등교육 가능성 - 창의적 융복합 교양교과 제안을 중심으로 (The Higher Education Possibility of Sound Art in Korea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Creative Fusion Liberal Arts Learning)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43-451
    • /
    • 2023
  • 사운드아트(Sound Art 또는 Sonic Art)는 20세기 중반부터 주로 유럽과 미대륙을 중심으로 실천되어 온 현대예술의 한 지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원예술 분야로 간주하거나 현대음악이나 미디어아트의 하위장르(subgenre)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2000년대 이후 지금까지 북미와 유럽의 일부 유수 대학에서 전공으로 개설되어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실천적인 작가로 활동을 하는 인재들을 사회로 배출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비주류적 예술 분야로 간주되는 것이 실상이고, 국내의 대학에서는 아직 사운드아트를 주전공으로 개설한 학교를 찾아 보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융복합 교양교과로서 실제로 국내 4년제 종합대학에서 운영하는 <현대사회의 사운드아트>라는 교양교과목 수업모형과 교수법의 소개와 함께 고등교육의 교양학습으로서 사운드아트 활용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Design of Educational Model for Convergence Minor in Culinary Art·Robot Technology Fields

  • Kim, 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09-116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조리 전공과 로봇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분야가 아닌 조리 전공 학생의 코딩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융합부전공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 교육 모델은 4차산업혁명 기술 발전 추세를 따르는 것이고, 비전공 학생을 소프트웨어 전문가로 성장시키는 기능이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 전공과 로봇 기술은 기술적으로 거리가 있기 때문에 융합부전공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로봇을 이용한 조리, 디저트 제작, 바리스터 작업, 자동 서빙 등의 교육 주제를 체계적으로 구성해서 조리 전공 학생들이 전공적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계부전공을 설계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코딩 능력을 기를 수 있게 여러 로봇을 사용하는 실습 과정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기존의 다른 분야 융합부전공과 비교하여 평가하여보니, 20%정도 개선된 교육 효과가 있는 우수한 모델로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