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t interven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발목 근 피로 시 테이핑, 스트레칭 그리고 초음파 중재가 융합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aping, Stretching and Ultrasound Intervention on Convergent Balance with Ankle Muscle Fatigue)

  • 유은정;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41-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된 발목 근피로 시 테이핑, 스트레칭 그리고 초음파가 융합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건강한 성인 남녀 39명이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발목 근피로 유발 이후 대상자들은 테이핑, 정적 스트레칭 또는 초음파 그룹으로 무작위 선정되었다. 그리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중재방법이 적용되었다. 균형 능력은 Space Balance 3D를 이용하여 발목 근피로 전과 후 그리고 중재 후에 측정되었다. 균형능력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p>.05), 그룹 내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그러므로 발목 근 피로에 테이핑, 정적 스트레칭 그리고 초음파는 융합적 균형능력에 효과적일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측정변수 측정과 치료적 중재를 적용하여 치료적 효과를 증명할 필요가 있다.

혈액여과투석 환자의 치료이행 지표와 분류기준, 융합형 혈액여과투석 치료이행 측정도구 개발 : 온라인 혈액여과투석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Hemodiafiltration Treatment Compliance Indicators and Discriminant Standards, Development of Hemodiafiltration Treatment Compliance Measurement - Convergent Form(HDFTCM-CF) : Focused on On-line Hemodiafiltration)

  • 허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69-282
    • /
    • 2015
  • 본 연구는 혈액여과투석 환자의 치료이행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와 분류기준을 개발하고 치료이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융합형 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300명의 혈액여과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저유량 혈액투석, 고유량 혈액투석 치료이행과 불이행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 및 전문가 그룹, 임상전문가 그룹의 구성타당도, 내용타당도를 거쳐 혈액여과투석 지표와 분류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혈액여과투석 치료이행 지표와 분류기준의 판별분석력을 정준상관판별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3가지 지표의 혈액여과투석 치료이행 판별분석력은 95.6%(wilks ramda=.256, p=.002)이었다. 또한 임상형 혈액여과투석 치료이행 측정도구는 91.7%의 판별력을 가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혈액여과투석 치료이행은 환자의 건강상태 악화와 합병증 발생 전 단계에서 환자교육과 간호중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혈액투석환자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북지역 낮 병동 작업치료 융복합활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손기능, 인지기능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eon-buk area daytime ward occupational therapy convergent activity on hand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IADL in people with dementia)

  • 김현기;이민영;김고운;오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511-519
    • /
    • 2017
  • 본 연구는 낮 병동 입원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융복합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매환자의 손 기능, 인지기능, 수단적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치매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융복합활동프로그램과 약물을 동시에 실시한 실험군 17명과 약물치료만 한 17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24주간 주 8회 192회기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손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손의 장악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MMSE-K와 GDS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단적일상생활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K-IADL를 이용하였다. 중재 결과 실험군에서는 손기능, 인지기능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이 유의하게 증진했지만, 약물치료만 한 대조군에서는 손기능, 인지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증진이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작업치료 융복합활동프로그램은 손기능, 인지기능, 수단적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 분리불안 심리적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Domain-specific Assessment of Psychological Control in Parents of Korean Adolescents :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 박성연;이은경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1-229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replic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DAPC [Domain-specific Assessment of Psychological Control (Soenens et al., 2006)] in parents of Korean adolescents. Participants included 289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DAPC items regarding their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s. Two factors comprising 17 items were identified and labeled as "achievement 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eparation-anxious psychological contro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provided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APC through construc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cross both sex of parents and adolescent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indicated that DAPC could be useful in studying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s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ren.

  • PDF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 김지영;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3-2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등 4학년 패널 자료 중 2016년 7차 연도 자료 1,9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공동체 의식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위축을 경유하여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 관련 감소된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는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 관련 공동체 의식 약화를 다룰 때, 의존과 사회적 위축, 공동체 의식 변인을 함께 고려하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융복합적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소방공무원의 융합적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음악감상효과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Convergent Job Stress of Fire-Fighter)

  • 백미례;김유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99-104
    • /
    • 2016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음악 감상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소방공무원 중 실험군 40명에게 총 10회의 음악 감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대조군 40명은 각자 휴식하게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으로 동질성 검정을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음악 감상의 효과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의 분포는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별적 휴식을 취한 대조군에 비해 음악 감상을 실시한 실험군의 직무스트레스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향후 음악 감상을 활용한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음악감상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적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moto Program Based on Convergent Intervention on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ADHD)

  • 유진호;강유석;채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63-470
    • /
    • 2018
  • 본 연구는 융합적 중재의 심리운동프로그램의 참여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Kiphard의 6단계의 심리운동 적용에 따른 시각과 청각의 주의집중력에 하위요인 중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를 반복측정 분석하였다. ADHD 아동의 심리운동 중재에 따른 분석결과 시각주의력의 하위요인인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는 실험집단에서만 오류가 감소하였으며 청각주의력의 하위요인인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서 감소하지 않으며 중재에 따른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심리운동의 후속 연구는 주의집중력 뿐만이 아닌 다양한 중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ADHD 아동을 위한 융합적 중재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걸음마기 아동 기질척도의 타당도 연구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Toddler Behavior Assessment Questionnaire in Korean Children)

  • 박성연;케네스 루빈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72
    • /
    • 2007
  • Replic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TBAQ(Toddler Behavior Assessment Questionnaire Goldsmith, 1988) in Korean 2-year-old children was examined by Multitrait Multimethod matrix of observed and reported child behavior. Participants included 113 toddlers and their mothers. Three factors comprising 63 items were identified and labeled as easy, difficult and fearful. On the Child Behavior Checklist(Achenbach & Edelbrock, 1983) difficult tempera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externalizing while fearful tempera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ernalizing problems. Observation of inhibited child behavior in both unfamiliar social and nonsocial situations demonstra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observed inhibition of fearful temperament. Easy temperament correlated negatively with both social inhibition and internal behavior problems. Results supported construct validity of TBAQ factors for Korean 2-year-old children.

  • PDF

여성노인의 차(茶)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 경험 현상 연구: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대상으로 (A Study on Elderly Women's Experience of the Convergent Tea Culture Therapy Program: Focusing on female elder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 김인숙;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5-4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 이용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차(茶)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 경험을 탐색하고 그 융합프로그램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P시 H주간보호센터를 중심으로 차(茶)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 경험을 마지막 회기까지 참여 한 여성노인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주간보호센터 이용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차(茶)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 경험의 4개의 범주인 되돌림의 일상, 차와 함께 나는 대비마마, 차와 함께 젊은 그대, 차와 함께 행복의 나라로 분석하였다. 차(茶)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실천 영역에서 코비드 19로 인한 노인 여가활동에 관심과 개입이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모바일 헬스 기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 (Analysis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mobil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 강민아;이수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429-44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건강행위 실천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D광역시 소재 2개의 간호대학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는 건강 앱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처방과 정확한 측정을 원하였고,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들과 의견, 정보교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알맞은 운동법에 대한 콘텐츠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게임화 요소 선호도는 목표, 보상, 경쟁 순이었다. 웨어러블 기기의 적정 가격은 1~5만원이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은 '칼로리 소모량 확인' 기능을 선호하였다. 웨어러블 기기 및 앱 사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대사증후군 지식정도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에 따른 유의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생활습관 관련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웨어러블 기기 및 앱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 집단의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대상자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는 모바일 헬스 기반의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웨어러블 기기 사용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충분히 모집하여 사용자 유형별 수요와 특성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