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ing Flam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다양한 형상의 관내에서 화염전파시 튤립화염으로 전환되는 시간과 거리 (Time and distance of tulip-inversion in various shaped tube)

  • 정상훈;이은도;김남일;신현동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2년도 제24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40-146
    • /
    • 2002
  • The tulip-inversion of flames in half-open tubes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ubes with various shapes. The image of a flame propagation were pictured by HICCD(High speed intensified CCD) and the dynamic pressure of tubes was measured by a piezo pressure sensor. By analyzing the images of the flame propagation, we found the time and the distance for the occurrence of tulip-inversion. Regardless of the shapes of tubes, time of tulip-inversion are similar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urning velocity. But distances have different tendency. In a straight tube, the distance of tulip-inversion increases when the burning velocity increases. But in a converging tube, the distance of tulip-inversion decreases when a burning velocity increases. And the distance of tulip-inversion in a converging tube is much smaller than the distance of tulip-inversion in a straight tube. These results are caused by the deceleration of a flame when the diameter of a hole in open-side of a tube is small. The deceleration causes little effect on the time of tulip-inversion.

  • PDF

등유-산소 층류 확산화염의 길이 변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gth Variation of Kerosene-Oxygen Laminar Diffusion Flames)

  • 이수한;이종원;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22-27
    • /
    • 2018
  • 등유-산소 동축류 확산화염 버너에서 연료의 유량, 버너 외축에 공급되는 산화제의 온도, 불활성가스로 희석된 산화제의 특성이 화염 길이 변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각 실험 조건에서 생성된 동축류 확산 화염은 쉴리렌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뒤 디지털 이미징 프로세싱 기법을 적용하여 그 길이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측정된 화염길이는 등유 연료의 유량과 산화제의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산화제에 첨가되는 불활성가스의 희석량이 증가할수록 화염 길이는 증가하는 하였고, 특히 동일한 산소 농도에서 질소가스로 희석된 경우가 헬륨가스로 희석된 경우에 비해 화염길이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체의 점성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불활성가스의 희석이 화염 길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메카니즘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변형 2색법에 의한 예혼합기 연소의 연소가스온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Burnet Gas Temperature in Premized Combustion by Modified Two-Color Method)

  • 배명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7권8호
    • /
    • pp.43-54
    • /
    • 1999
  • The effects of equivalence ratio and pressure on burnt gas temperature in premixed fuel rich propane-oxygen-inert gas combustion are investigated over the wide ranges of equivalence ration from 1.5 to 2.7 and pressure from 0.1 to 7 MPa by using a specially designed disk -type constant-voume combustion chamber, The premixtures are simultaneously ignited by eight spark plugs located on the circumference of combustion chamber with 45 degree interals. The eight converging flames compress the end gases to high pressures. The burnt gas temperature is meausured by the nmodifie dtow-colr pyrometry method. The transmissivity in the chamber center during the final stage of combustion at the hightest pressure is meausred by in situ laser extinction method. It is found that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urnt gas temperature measured by mofidied and conventrational two-color method is 10 to 20 K, but the accuracy of the modified two-color methdo is higher if the local transmissivity in observed region is uniform , and the combustion at higher pressures results gas density conditions and the burnt gas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volume fraction of argon is increased because the specific heat of argon is lower compared to that of nitrogen with a constant equivalence ratio.

  • PDF

가스터빈 연소기의 스월컵 형상이 분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irl Cup Geometry on Spray Characteristics in Gas Turbine Engine)

  • 김동준;박종훈;고현석;윤영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9-36
    • /
    • 2002
  • 두 번째 벤츄리 끝단 각도가 가스터빈 연소기의 유동 및 분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스월 vane 형태의 2중 스월컵을 장착한 산업용 가스터빈 엔진에 대해 두 번째 벤츄리 끝단 각이 수렴형, 직선형, 발산형의 세 경우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벤츄리 끝단 각도의 변화가 가스터빈 연소기의 재순환 영역의 위치, 크기 및 형상 등의 유동 특성과 연료 액적 분무 형태를 크게 변화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발산형 벤츄리에서는 내부 재순환 영역이 점화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가까운 곳에서 형성되므로 화염의 안정화에는 탁월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수렴형 벤츄리에서 가장 작고 균일한 크기의 액적들이 측정되었고, 내부 재순환 영역이 연소기 내에 길게 형성된 점으로 고효율, 저공해 연소기로는 수렴형 벤츄리의 경우가 적합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