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on perception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ive Internal Marketing Based on Cooperation Perception and Relational Diversity

  • YOO, Nina;OH, Yooj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7호
    • /
    • pp.49-6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der what conditions suggestion programs conducted by organizations actually increase individual perception of their work effectiveness.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s of cooperation perception and relational demography of employee on work effectiveness of suggestion programs. It does this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was collected from 1,872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e suggestion program of HCCP 6th DATA. This data was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higher employee cooperation perception enhances work effectiveness of suggestion program, but relational difference of knowledge diversity between team members has no effect on work efficiency; b) Positive effect of cooperation perception, and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on work effectiveness become greater as commitment increases. Howe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de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tenure on work effectiveness by suggestion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point to the importance of broadening the current conceptual models of employee work effectiveness of suggestion program to include relational demography, as well as the utility of conducting additional cross-level research on suggestion programs.

패션점포 내 모바일 제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제공의도와 협력의도 (Consumers' Willingness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operation Intention in the Use of Mobil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s for Fashion Stores)

  • 이현화;문희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139-115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sumers' usefulness and the hedonic perception of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operation intention in the use of location-context based mobil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s for fashion stores.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beliefs regarding marketer's information practices on their perceptions of provided service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epistemic curiosity and information control level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400 smartphone users were included as participants for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ho perceived information services as more hedonic and useful are more likely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cooperate with marke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fashion retailers who plan to introduce mobil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hedonic aspects of the servic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usefulness and hedonic perception of the two dependent variab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pistemic curiosity and information control.

중소공급업체 공정성 지각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upplier's fairness perception)

  • 김도헌;김상덕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61-7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공급업체의 공정성 지각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규명을 통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생을 위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소공급업체 공정성 지각의 선행요인으로는 수직적 조정, 협력지원, 정보공유, 법계약적지배의 네가지 변수를, 결과요인으로는 공급체인의존성과 공급체인유연성으로 가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첫째, 대형구매업체의 수직적 조정은 중소공급업체의 분배공정성 지각과 절차공정성 지각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구매업체의 협력지원은 중소공급업체의 분배공정성 지각과 절차공정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구매업체가 중소공급업체에 더 큰 요구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대형구매업체의 정보공유는 중소공급업체의 분배공정성 지각에는 정(正)의 영향을 미치고 절차공정성 지각에는 직접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형구매업체의 법계약적지배는 중소공급업체의 분배공정성 지각에 부(負)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절차공정성 지각에 부(負)의 영향의 방향성은 나타났다. 다섯째, 절차공정성은 공급체인의존성에 직접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정성은 공급체인 의존성 및 공급체인 유연성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학생의 노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Nursing Students)

  • 권상민;권말숙;곽오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29-1136
    • /
    • 2015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노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Y대학 간호학생 340명으로 자료는 2014년 6월부터 6월 25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지식, 지식과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 및 인식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노인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종교, 노인문제관심도, 지식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을 통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인관련 교육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PEC 국제교육협력사업에 대한 성과평가 연구: 국제교육활동 참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n Evaluation Study for APEC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 장덕호;차중찬;이정연;백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9-1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부가 추진해온 APEC 교육협력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국제적 평가를 살펴보고, 향후 동 사업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기 위한 전략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PEC 학생 교류 프로그램, 알콥 협력 프로젝트, 알콥 스쿨 네트워크, 국제 알콥 컨퍼런스, 국제교육협력봉사단 파견, 이러닝 연수 프로그램, 미래교육 포럼, 알콥 워크숍의 8개 사업들을 중점적인 평가 대상 사업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를 통해 각 사업별 참여자들의 사업들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및 공헌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개국의 283명의 전문가들과 사업 참여 유경험자들의 응답을 얻어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도 측면에서는 알콥 협력 프로젝트가, 참여도와 공헌도 측면에서는 국제협력봉사단파견이 가장 양호한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APEC 교육협력사업의 실행을 위한 향후 전략 및 과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위험인식과 기회주의 행동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Opportunism on the Project Performance)

  • 윤창수;조동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3-7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opportunistic behavior on project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operation in this relationship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large-scale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participant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using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isk percep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pportunistic behavior, and it was confirmed that opportunistic behavior among participating companies could occur even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Second, it has been proven that risk percep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portunistic behavior and projec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opportunistic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Finally, cooperation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risk and project performance. Conclusion: This study is a case of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workers, and provided a basis for reference in future related academic research and project implementation.

조직간 협력의 조건이 공동목표 달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Effect Analysis of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on the Achievement level of Jointed Goal and Its Simulation Model)

  • 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2권1호
    • /
    • pp.93-112
    • /
    • 2001
  •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s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strategy in modern public and privet sectors managerial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concepts of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means not selfish cooperation as in the game circumstance and theory, but general collaborative action between organizations, they have share same goal. The achievement level of jointed-goal of inter-organization is depended upon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cooperation.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on achievement level of the jointed goal between two organizations with computer simulation model of the system dynamics approach. In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 three factors, goal perception, communication, and control, are considered as a key conditions of cooperation, which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with focus on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se three factors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jointed-goal. Consequently, the results found in this paper may provide further grounds for reducing the time delay that included in the conditions of cooperation.

  • PDF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직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배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49-15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직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3명에 대한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 효능감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통제성과 사회성, 긍정성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직 전문성 인식은 학년, 보육실습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는 교직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교직 전문성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성과 통제성도 교직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성과 통제성이 높을수록 교직 전문성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긍정성과 통제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보건의료서비스의 여건변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the Services User's Perception by the Change of Social Condition in Healthcare Services)

  • 최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76-3283
    • /
    • 2015
  • 본 연구 목적은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보건의료서비스의 여건변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전국 표본가구원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자료는 층화비례계통추출방법을 이용하여 37,648개의 유효표본을 추출한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는 남자에 비하여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긍정적이었다. 둘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긍정적이었다. 셋째,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긍정적이었다. 넷째,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부정적이었다. 다섯째, 근로(고용)형태에서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상근근로자와 비교하여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부정적이었다. 여섯째, 동부 거주자는 읍면부 거주자보다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여건변화 지각이 부정적이었다. 결론으로 사회경제적 특성은 보건의료서비스 여건변화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여건변화 지각이 수혜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and Residental Satisfaction on Brand Apartment)

  • 이동찬;이찬호;황규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188-4196
    • /
    • 2010
  • 본 연구는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요인들을 자연환경 요인, 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 사회환경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 요인들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에 대한 브랜드 아파트 인식요인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아파트 건설회사들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요인들(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은 인식요인들을 고려하여 브랜드 아파트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